모두가 행복한 스튜디오

신선한 감각이 가득한 종킴디자인스튜디오 신사옥

신선한 감각이 가득한 종킴디자인스튜디오 신사옥

 

한남동 신사옥으로 이전한 종킴디자인스튜디오. 팀원과 함께 성장해 나갈 영감과 경험의 장이다.

 

1층 입구에 걸린 현황판. 사진을 옮겨 출근과 휴가 현황을 기록한다.

 

2016년 혜성처럼 등장한 종킴디자인스튜디오. 7년이라는 시간 동안 삼성물산의 구호 플래그십 스토어, 아모레퍼시픽의 설화수 스파 등 굵직한 브랜드를 작업하며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가파른 성장 곡선 뒤에는 인력 충원이 필요충분조건처럼 뒤따랐다. 2년 전 10여 명에 불과했던 팀원은 하나둘 늘어나 어느덧 20명이 훌쩍 넘어 있었다. 탈피하고 새로운 공간을 찾을 시간이었다. “1차 목표는 누구든 장애물에 걸리지 않고 기지개를 제대로 켤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자는 것이었어요(웃음). 작년 여름에 이곳을 계약하고, 리모델링한 뒤 이사까지 한 달쯤 걸린 것 같아요. 한남동에서도 지대가 높은 편이라 날씨가 좋은 날 옥상에 올라가면 한강이 한눈에 내려다보여요. 그걸 보고 있으면 뭔가 성공한 것 같은 기분도 들고, 창이 커서 자연 채광도 무척 좋고요. 무엇보다 계단부가 굉장히 널찍한 점이 마음에 들었어요.” 긴 테이블 끝에 앉은 김종완 소장이 사옥 소개를 시작했다.

 

5층에 자리한 김종완 소장의 작업실. 개인 업무뿐 아니라 팀원들의 회의와 미팅이 이뤄진다.

 

신사옥은 총 6개 층으로 구성되는데, 1층에는 회의실 겸 탕비실이, 2~4층에는 팀원 업무 공간과 마감재실, 5층에는 소장실, 6층에는 휴게실이 자리한다. 의류 회사의 사옥으로 사용했던 건물의 특성상 창고처럼 구획된 공간이 많아 벽을 철거하고 바닥재와 조명 등 전반적으로 손을 봤다. 가장 신경 쓴 부분은 개개인에게 배당된 업무 공간. 2m 간격으로 배치하고 책상도 모두 맞춤 제작했다. 수평적인 분위기 조성을 위해 층마다 원형 테이블을 배치하고, 눈 건강을 위해 팀원들의 책상 위에 아르떼미데 티지오 테이블 조명을 하나씩 올렸다. “사무실보다는 스튜디오라는 이름이 어울리는 곳이 되었으면 했어요. 무엇보다 팀원들과 쾌적하게 지낼 수 있는 공간이 우선이었죠. 6층도 팀원 휴게실로 꾸몄는데, 아무래도 제 방을 통과해야 하는 구조이다 보니 제대로 활용을 못하더라고요. 곧 안마 의자도 놓고 리노베이션할 계획이에요. 쉽지 않겠지만 일하는 동안은 다들 행복했으면 하거든요(웃음). 층이 나눠져 있다 보니 소통을 위해 1층 입구에 타공판으로 현황 게시판을 만들었어요. 각자 사진들로 픽을 만들어서 출퇴근과 휴가 현황을 모두가 알 수 있도록 했죠.”

 

무엇보다 경험

 

비일상적인 경험을 위해 빨간 조명을 단 엘리베이터. 앞에 놓인 가재 오브제는 영국 팝아티스트 필립 콜버트의 작품.

 

1층과 5층을 오가는 사옥의 엘리베이터는 조금 특별하다. 문이 열리는 순간 새빨간 조명이 내부를 비추는 것. “한번은 암스테르담 홍등가를 지나가게 되었어요. 어두컴컴한 길에 빨간 조명이 켜 있는데, 그 순간 굉장히 비일상적인 느낌이 들더라고요. 아, 내가 정말 여행을 떠나왔구나 하는 그런 기분이요. 반복되는 일상에서 잠시라도 비일상적인 기분을 느낄 수 있게 엘리베이터를 꾸며봤어요.” 사옥 곳곳에 작업을 함께 했던 아티스트의 작품을 배치한 것도 비슷한 이유. 뿐만 아니라 이곳에는 다른 인테리어 사무실에서 찾아볼 수 없는 특별한 연례행사가 있다. 마지막 달 3주간 회사 문을 닫고 휴가를 떠나는 ‘겨울방학’이다(물론 유급휴가). 이 기간과 겹쳐서 계약을 포기해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모두가 함께 쉬어야 한다는 원칙은 변치 않는다.

 

여행의 기억이 담긴 다양한 오브제. 스펙트럼 책장 위에 있는 공룡은 이번 파리 여행에서 사온 것.

 

여름에는 전 팀원이 함께 옷을 맞춰 입고 워크숍을 떠난다. “저는 디자이너가 성장하는 길은 경험에서 온다고 생각해요. 팀원들이 주거, 상업, 오피스 등 다양한 분야를 돌아가 면서 맡게 하고, 겨울방학 제도를 만든 것도 일하면서 하지 못했던 경험을 실컷 하라는 의미에서죠. 저도 1년에 최소 두 번은 꼭 여행을 가려고 하는데, 이번 겨울에는 마라케시에 다녀왔어요. 광장에서 피리를 부는 사람들, 바구니에서 올라오는 뱀, 이슬람 사원에서 울려 퍼지는 기도 소리, 곳곳에서 풍겼던 향신료 냄새와 연기 등이 참 생경한 경험이었어요.” 그는 인스피레이션을 위해 따로 스터디를 하기보다는 기존의 경험을 활용한다. 순간의 감정을 기억하고 기록하는 일을 무엇보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다. 몇 년 동안 다이어리에 글로 쓰고 그려 기록한 기억이 켜켜이 쌓이고 쌓여 큰 아카이브가 됐다. 실제로 그의 방에는 여행지에서 산 물건, 생경했던 감정을 불러일으키는 오브제 등이 빼곡하게 진열돼 있다.

 

틈틈이 휴식을 취하는 데이베드는 스텔라웍스.

 

 

넓은 공용부 덕분에 식물을 기르기 좋은 신사옥의 모습.

 

 

두번째 책을 쓰는 이유

 

 

다양한 클라이언트를 마주하는 직업 특성상 싫어하는 것을 웬만하면 만들지 않으려 노력한다는 그는 일에 있어서 누구보다 ‘진심’이다. “배우들이 한 역할을 맡을 때 빙의되어서 그 캐릭터에 푹 빠져 살잖아요. 저희도 마찬가지예요. 클라이언트에 거의 들어갔다 나오는 수준으로 일하거든요. 그들을 100% 이해하고 그 사람이 되어야 하는 과정이 굉장히 힘들기는 하죠. 그래서인지 클라이언트한테 잘 삐지기도 해요(웃음).” 실제로 종킴디자인스튜디오의 작업은 섬세한 디테일과 유려한 분위기, 고급스러운 미감, 공간 전략 디자인 등 여러 수식어가 따라다닌다. 과감한 패브릭, 대리석, 나무 등 여러 마감재를 사용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공간으로 읽히는 이유는 치밀하고 꼼꼼한 준비 과정이 있었기에 가능한 일.

 

 

오랫동안 아카이브처럼 남는 디자인을 하고 싶다는 그의 바람은 설계에 대한 사회적 인식을 재정립하는 일까지 가 닿는다. 기획 스케치부터 완공까지의 작업을 고스란히 담은 <공간의 기분>에 이어 곧 두 번째 책을 내는 이유. “디자인하는 사람이 왜 계속 글을 쓰냐고 물을 수 있는데, 저는 건축 설계와 디자인이라는 무형의 가치에 대해 합당한 보상을 받는 분위기를 만들고 싶어요. 아직까지 설계비가 시공비에 슬쩍 얹혀가는 경우도 많거든요. 설계비는 얼마, 시공비는 얼마라고 명확하게 말할 수 있는 사회가 되었으면 해요.”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임태준

TAGS
반클리프 아펠의 사랑 이야기

이야기가 담긴 반클리프 아펠의 하이주얼리

이야기가 담긴 반클리프 아펠의 하이주얼리

 

보석공의 아들이었던 알프레드 반클리프와 보석 딜러의 딸이었던 에스텔 아펠의 결혼으로 시작된 프랑스 하이주얼리 브랜드 반클리프 아펠. 그들의 운명적인 출발처럼 현재까지도 ‘사랑’을 주제로 특별한 러브 스토리를 담은 작품을 선보이고 있다.

 

발레리나 클립

 

반클리프 아펠은 DDP에서 진행된 <사랑의 다리에서 마주하는 시간의 서사시>전을 통해 오랜 역사와 유산이 담긴 패트리모니얼 컬렉션과 매혹적인 현대 작품을 대거 공개했다. 1921년에 제작된 클래식한 디자인의 시계부터 1941년 제작된 최초의 발레리나 클립, 뛰어난 기술력을 담은 워치와 주얼리까지, 연인이 나누는 사랑의 감정에서 피어난 세밀한 부분을 여실히 담아냈다.

 

룰렛 드 라무르 참

 

그중에서도 특히 눈길을 끄는 것은 1959년에 제작한 ‘룰렛 드 라무르 참 Roulette de L’amour Charm’이다. 프랑스어로 사랑해, 조금, 많이, 미치도록 등의 단어를 새겨 조그마한 구슬을 룰렛 돌리듯이 굴려 사랑의 정도를 확인해볼 수 있는 오브제인 것. 사랑에 대한 반클리프 아펠의 귀여운 면모와 위트를 엿볼 수 있다.

 

레이디 아펠 발레리나 뮤지컬 워치

 

이외에도 시계 다이얼에 담긴 발레리나의 안무에 맞게 음악이 흘러나오는 ‘레이디 아펠 발레리나 뮤지컬 워치’는 섬세한 기술과 절묘한 움직임으로 감탄이 절로 나올 정도. 대담한 독창성과 신비로운 이야기가 공존하는 반클리프 아펠의 철학을 다시금 느껴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WEB www.vancleefarpels.com

CREDIT

에디터

TAGS
쿠사마 야요이 70년의 여정

미술계의 빅스타 쿠사마 야요이

미술계의 빅스타 쿠사마 야요이

 

홍콩 M+ 미술관에서 진행 중인 쿠사마 야요이의 전시는 단 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작품을 봐준다면 계속 창작할 것이라고 말한 그녀의 열정과 의지를 고스란히 보여준다.

 

Installation view of Death of a Nerve (1976) at Yayoi Kusama: 1945 to Now, 2022. ©YAYOI KUSAMA

 

새해가 시작되자마자 미술계를 강타한 빅스타는 단연 쿠사마 야요이다. 좋아하건 좋아하지 않건, 안 볼래야 안 볼 수 없게끔 도쿄의 도심과 디지털 스크린을 장식하더니 서울, 뉴욕, 파리의 루이 비통 매장 곳곳이 그녀의 작품으로 장식되었고, 이는 곧 SNS 피드로 옮겨졌다. 그림 그리는 쿠사마 로봇 인형까지 등장하는 요란한 마케팅 속에서 쿠사마가 지나치게 희화화되었다는 평가도 지울 수 없는데, 이 작가에 대해 제대로 알고 싶다면 놓칠 수 없는 전시가 홍콩 M+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바로 <쿠사마 야요이: 1945년부터 현재까지>로 아흔을 넘긴 작가의 예술 활동 70여 년을 돌아보는 전시회다. 일본 외 아시아 국가에서는 처음으로 최대 규모로 꾸며지는 전시이자 보기 드문 초기 작품을 포함해 200여 점이 출품되었고 삶과 예술을 관통하는 그녀의 철학에 초점을 맞췄다.

 

루비 비통과 쿠사마 야요이가 협업한 알마 백.

 

쿠사마는 종묘원을 운영하는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지만, 어린 시절부터 부모님의 불화와 어머니의 학대를 받았고 10살 때부터 점이 계속 보이는 환각 증세를 겪기 시작했다. 전쟁 중이던 일본에서 낙하산 공장에 배치 받아 바느질을 해야 할 때도 있었지만, 미술에 재능이 있던 그녀는 전쟁 후 교토미술대학을 졸업하고 전시도 열게 된다. 이후 1957년 뉴욕으로 떠나 이스트 빌리지에 머물면서 대형 유화로 인피니티 시리즈를 제작하게 되는데, 무려 10m가 넘는 대작도 이 시기에 탄생하게 된다. 수십 시간 동안 끊임없이 그물망을 그리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예술은 그녀로 하여금 삶의 고통을 잊게 할 뿐 아니라 예술로 승화시키는 방편이었는데, 때로는 사나흘을 잠도 자지 않은 채 그림만 그렸다고 한다. 다행히 뉴욕에 이어 베니스, 스톡홀름 등 주요 전시에 초청받고 유명 작가 및 갤러리와 교류하며 활발하게 활동했지만, 1973년 정신병이 심해지면서 도쿄로 돌아왔고 이후 정신병원에 머물면서 작업하고 있다.

 

Installation View of Dots Obsession- Aspiring to Heaven’s Love(2022) at Yayoi Kusama: 1945 to Now, 2022. ©YAYOI KUSAMA PHOTO: Dan Leung

 

그러나 M+ 미술관이 전시를 통해 강조하고자 한 것은 그녀의 흥미로운 인생을 둘러싼 가십거리가 아니라 삶의 문제가 어떻게 예술로 연결되고 또 각각의 작품이 서로 어떤 연결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시대순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가령 멀리서 보면 빨강 바탕에 검은 점을 찍은 ‘점’ 시리즈 작품으로 보이는 것도 가까이서 들여다보면 바탕을 먼저 검게 칠한 후 기름을 거의 섞지 않은 빨강 물감으로 작은 점을 남기며 촘촘하게 칠한 ‘그물망’ 시리즈인 셈이다. 이처럼 쿠사마의 작품은 점에서 그물로, 퍼포먼스, 오브제, 설치로 연결되고 확장되어왔다. 연결성은 그녀의 작품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대표작인 ‘점’만 해도 하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수많은 점이 연결되어 에너지와 움직임을 만들어내는데, 쿠사마는 이를 재탄생으로 보았다.

 

Installation View of Self-Obliteration(1966–1974) at Yayoi Kusama: 1945 to Now, 2022. ©YAYOI KUSAMA

 

일본으로 돌아와서도 계속 작업을 이어나갈 수 있었던 힘은 살기 위해서는 예술을 할 수밖에 없는 내면의 절박한 요청 그리고 그녀의 놀라운 의지 덕분이다. 젊은 시절 그녀가 한 말이다. 만약 100년을 살 수 있고, 내 작품을 봐주는 사람이 단 한 명이라도 있다면 나는 그 사람을 위해 창작을 계속할 것이라고. 성공을 위해, 유명해지기 위해서가 아니라 바로 그 한 사람을 위한 마음으로 걸어온 그녀의 70년 예술 인생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코로나19 기간 중 개관한 M+ 미술관 개관 1주년을 기념하는 특별 전시이기도 하다. 5월 14일까지 열리니 3월 23일부터 25일까지 오랜만에 문호를 열고 개최될 아트바젤 홍콩과 함께 가볼만하다.

 

CREDIT

에디터

writer

김영애(롯데백화점 아트콘텐츠 상무)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