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럭셔리 시계 브랜드의 시계 소재가 변화하고 있다.


1,2 바젤월드 2016 불가리 부스. 3 깊이 있는 그린 컬러로 꾸며진 롤렉스 부스. 

 

올해로 100주년을 맞이한 시계 보석 박람회 바젤월드가 지난 3월 24일, 8일간의 대장정을 마치고 막을 내렸다. 1500여 브랜드의 최신 시계를 선보인 바젤월드에서 가장 눈에 띈 점은 바로 소재의 재발견. 불가리, 태그호이어는 티타늄 소재를, 로저드뷔는 카본 소재를, 크로노스위스, 지라드 페리고는 스테인리스스틸 소재를 전면에 내세우는 등 시계 소재의 주된 흐름을 얘기하자면 ‘쇠’가 금을 압도한다. 이러한 추세는 하이엔드 시계로 불리는 럭셔리 시계 브랜드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는데, 기존에 사용하던 값비싼 소재 대신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을 줄인 스틸 소재를 사용해 가격의 문턱을 낮추고 경량성을 높였다. 덕분에 럭셔리 시계에 쉽게 접근하지 못했던 일반 대중도 뛰어난 무브먼트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즐길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셈이다. 문턱을 낮추는 작업은 소재에서만 이루어진 것이 아니다. 시계 브랜드들은 새로운 모델을 발표하기보다 기존 인기 모델을 다양한 버전으로 내놓는 쪽을 선택했다. 예거 르쿨트르는 케이스를 슬림하게 디자인한 리베르소 원 리에디션을 선보였고, 크로노스위스는 레귤레이터 워치에 과감한 색을 입혔다. 꽤 많은 브랜드가 과거를 돌이키기 시작했다. 롤렉스는 1965년 모델을 연상시키는 코스모그래프 데이토나를, 오메가는 스피드마스터와 씨마스터, 글로브마스터 컬렉션을 더욱 다양하게 선보였으며, 파네라이는 라디오미르 1940 모델에 화이트 다이얼을 세팅한 라디오미르 1940 3 데이즈 오토매틱을 발표했다. 이번 바젤월드는 과거에 비해 혁신적 시계를 찾아보기 어렵다는 평을 들었지만, 세계적인 불황 속에서 도전보다는 안정으로 방향을 잡고 새로운 고객을 확보하려는 다양한 시도를 읽을 수 있었다.

 

 

4 오메가 부스에 설치한 입체적 조형물.

 

 


5, 6 지라드 페리고의 부스 전경.

 

 


7 3차원적 입체감을 보여주는 크로노스위스 시리우스 플라잉 레귤레이터 점핑 아워. 8 지라드 페리고의 스포츠 워치를 새롭게 제작한 라우레아토 2016. 9 무브먼트의 움직임을 볼 수 있는 티쏘 트레디션 오토메틱 오픈 하트. 10 모노블록 세라크롬 베젤을 장착한 롤렉스 오이스터 퍼페추얼 코스모그래프 데이토나. 11 독특한 컬러의 오메가 글로브마스터 41mm.

Inserted new record. Affected row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