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우리는 왜 잠을 자야 할까

하루도 거르지 않고 잠을 자야하는 이유는 뭘까? 선뜻 답하기 어렵다. 단 하루라도 잠을 거르는 일은 더 어렵다. 세계적인 신경과학자이자 수면 전문가 매슈워커는 이 책을 통해 잠을 자야 하는 이유와 꿈은 어떻게, 왜 꾸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아티스트에게 잠이란?

잠을 영감 삼아 작품을 완성한 샤갈, 마티스, 달리 등 다양한 예술가의 이야기를 담은 책 <잠에 취한 미술사>. 작가 백종옥은 작품의 소개뿐 아니라 잠 못 드는 사람들에게 휴식과 위안을 주는 작품을 소개하고 잠과 예술의 상관관계에 대해 살펴본다.

 

현실과 꿈이 혼재한 세계

타인의 꿈속으로 들어가 생각을 주입하거나 제거할 수 있는 기술을 기반으로 기업과 요원이 펼치는 음모와 암투를 다루는 영화 <인셉션>. 영화는 꿈의 세계를 설계하고 그 속에서 자신의 정체를 위조하거나 꿈의 시간을 지속하는 약물을 개발하는 등의 능력을 가진 캐릭터를 통해 꿈에 대한 상상력을 확장시킨다.

 

순수한 청년의 스위트 드림

꿈과 일상을 구분하지 못해 팍팍한 현실에 적응하지 못하는 스테판은 옆집의 스테파니를 짝사랑한다. 몸만 자란 소년은 꿈속에서 스테파니의 사랑을 얻기 위해 골판지 상자로 자동차를 만들고 천을 꿰며 인형을 제작해 자신만의 세계를 표현한다. 엉성하지만 낭만이 흠뻑 묻어 있는 그만의 꿈의 세계가 아름다운 영화 <수면의 과학>.

 

잠을 대출하는 디지털 무비

웹툰 작가 이말년이 그린 <잠은행>을 원작으로 하는 디지털 무비. <잠은행>은 잠을 대출받아 파산 직전까지 치닫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그려냈다. 배우 박휘순, 양동근 등이 작품에 출연했고 주호민이 직접 제작에 참여했다.

 

가장 지루한 영화 <바바랜드>

잠이 오지 않는 밤, 천장에서 보이지 않는 양을 세는 대신 영화<바바랜드>를 볼 것. 감독 가스 토마 Garth Thoma는 8시간 동안 초원에서 한가로이 양떼들이 풀을 뜨는 모습을 보여준다. 최소한의 시퀀스와 테이크로 강력한 메시지 대신 분위기, 기분을 전하는 슬로 시네마 장르의 깊은 맛 혹은 졸음을 경험할 수 있다.

 

글렌 굴드의 자장가

괴짜이자 은둔자 그리고 천재 연주가였던 글렌 굴드를 세상에 알린 앨범은 <골드베르크 변주곡>이다. 갓 스물이 넘은 캐나다의 청년은 바흐가 한 백작의 불면증 치료를 위해 1741년 작곡한 ‘골드베르크 변주곡’을 31가지의 연주법으로 들려준다. 빠르게, 경쾌하게 때로는 차분하게 피아노를 두드리는 글렌 굴드의 연주를 듣고 있으면 안식이 찾아온다.

 

불면증 아내를 위한 앨범

피아니스트이자 싱어송라이터 윤한이 불면증을 겪은아내를 위해 만든 수면 음악 앨범<Sleep Science>. 윤한은 2년 넘게 신경 정신학, 뇌과학, 음악학 논문을 읽으며 수면과 음악의 상관관계를 찾아내고 뇌가 편안하게 느끼는 템포, 박자, 곡의 구성을 연구해 앨범을 만들었다. 수면 진입에서 숙면 단계로 넘어갈 때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에 집중해 작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