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테리어 디자이너 김나리 대표의 감성을 따라 떠난 프라이빗 여행.
퇴계 이황이 즐겼던 풍경을 바라보며 대금 소리, 바람 소리에 취한 안동에서의 하루.

대금 장재혁, 고수 김정기의 계상고택 대솔밭에서 열린 대금 시나위.
지난 5월 21일, 하늘이 높고 화창한 날 ‘메종과 함께 가는 나리투어’가 진행됐다. 이번 여행의 행선지는 안동이다.
안동은 많은 매력을 품고 있지만, 이번 투어는 퇴계 이황의 자취가 남아 있는 안동 동측 편을 따라갔다.
여행은 도산서원과 국학진흥원을 관람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Step1 안동의 명소, 도산서원과 국학진흥원
“안동을 투어 장소로 선택한 이유는 답사를 다닐수록 장소성이 가진 역사적 매력에 푹 빠지게 되기 때문이에요. 오늘 우리가 여행할 곳은 천원짜리 지폐와 관련이 많아요. 퇴계 이황 선생의 삶의 흔적을 따라 가보고 지폐 뒤쪽에 있는 풍경 속에 자리한 고택을 둘러보고자 합니다.” 김나리 대표의 설명이다.
도산서원은 퇴계 이황이 학덕을 기리기 위해 문인과 유림이 중심이 되어 창건한 곳으로 한석봉이 쓴 편액을 볼 수 있다. 이어 도착한 국학진흥원에서는 당대 최고의 서예가, 문필가, 학자 등이 쓴 서예사적으로 의미가 있는 편액을 관람했다.

퇴계 이황의 도산서원. 한석봉이 쓴 편액은 국학진흥원에 보관되어 있다.
- 퇴계 이황의 도산서원. 한석봉이 쓴 편액은 국학진흥원에 보관되어 있다.
- 국학진흥원에서 만난 다양한 편액을 감상한 시간.
- 배를 타고 계상고택으로 가는 길.
- 배를 타고 계상고택으로 가는 길.
- 국학진흥원에서 만난 다양한 편액을 감상한 시간.
Step2 청보리밭 가득, 계상고택
이어 배를 타고 안동의 숨은 명소 계상고택으로 향했다. 계상고택은 퇴계 16대 손의 고택으로 안동댐이 수몰되면서 물 안에 수장되어 있던 것을 건져 지금의 자리에 보존한 것이다. 청보리밭에 둘러싸인 고택에서 안주인의 예사롭지 않은 손맛이 느껴지는 점심 식사를 한 후 솔숲으로 향했다.

푸르른 청보리밭에 둘러싸인 5월의 계상고택.
- 참가자 모두에게 증정한 안동 백진주쌀과 안동 맥주, 진맥 소주로 구성된 메종 꾸러미.
- 계상고택 도승원 안주인이 직접 만든 한우 샌드위치와 먹음직스러운 주전부리.
- 참가자들에게 인사하는 계상고택 안주인.
- 이번 행사를 기획하고 진행한 김나리 대표와 도승원 안주인.
- 계상고택 도승원 안주인이 직접 만든 한우 샌드위치와 먹음직스러운 주전부리.
- 청보리로 장식한 메종 꾸러미 머리에 이고.
- 청보리로 장식한 메종 꾸러미 머리에 이고.
- 고택의 앞마당에서 즐긴 점심 식사와 샴페인 타임.
Step3 조선시대 선비의 풍류를 즐긴 고산정
싱그러운 초록빛의 청보리밭 길을 따라 도착한 솔숲 피크닉 장소에서는 대금 시나위 공연이 펼쳐졌다. 대금 연주와 새소리, 바람소리, 물소리 들으며 마음이 평온해지는 정화의 시간을 만끽했다. 온전히 내면의 휴식을 취한 후 고산정 정자로 자리를 옮겼다. 고산정은 퇴계 선생의 제자인 금난수가 지은 정자로 퇴계 선생도 자주 찾아 빼어난 경치를 즐겼다고 전해진다. 정자는 다시 건축한 것이지만 그 터는 변함이 없으니 맞은편에서 바라보는 풍광이나 정자에서 바라보는 소나무 경치가 그림처럼 아름다웠다.

아름다운 고산정의 모습.
- 잊지 못할 고산정에서의 대금 산조.
- 계상고택에서 참가자들과 촬영한 단체 사진.
- 아름다운 고산정의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