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에 톡! 동글동글 버블 오브제 공간에 톡! 동글동글 버블 오브제 공간에 톡! 동글동글 버블 오브제 몽글몽글 부풀어오른 듯한 경쾌한 버블 실루엣이 돋보이는 아이템. 1 퍼프-버프 Puff-Buff, 수퍼스타 Superstar 여러개 공기 방울이 모여 하나의 구 형태를 띤 조명. 100cm에 달하는 지름에도 8kg의 가벼운 무게를 갖춰 공기 중을 떠다니는 듯한 연출이 가능하다. 2 스티키 글라스 Sticky Glass, 버블 by 문혜준|
자연의 숨결을 빚은 세라믹 테이블웨어 4 자연의 숨결을 빚은 세라믹 테이블웨어 4 자연의 숨결을 빚은 세라믹 테이블웨어 4 자연에서 태어나 손끝에서 빚어진 네 브랜드의 세라믹 테이블웨어. 크럼즈 접시 크럼즈 대접 숨 컵앤소서 숨 접시 크럼즈 샐러드볼 소일베이커 ‘흙을 굽는 사람’이라는 의미를 지닌 소일베이커는 세라미스트, 디자이너, 요리사 등 다양한 by 문혜준|
차원을 넘어선 건축, 세계의 랜드마크 차원을 넘어선 건축, 세계의 랜드마크 차원을 넘어선 건축, 세계의 랜드마크 자연과 기술,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사이 서 있는 대담한 건축의 세계. 푸른 포도밭 풍경과 어우러진 건물은 지면에 떠 있는 듯한 구조를 갖췄다. © Hufton+Crow 와인 보관과 압착, 병입, 라벨링 등의 제조 공정이 진행되는 건물 내부 공간. © by 원지은, 문혜준|
초현실을 실현한 건축, 세계의 새로운 랜드마크 초현실을 실현한 건축, 세계의 새로운 랜드마크 초현실을 실현한 건축, 세계의 새로운 랜드마크 자연과 기술, 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사이 서 있는 대담한 건축의 세계. 조경 디자이너 피트 아우돌프의 설계에 따라 다양한 식물이 조화롭게 어우러진 아파트 발코니. 조각을 연상케 하는 비정형 석재 구조로 완성된 밸리의 독창적인 외관. 건물 사이를 by 원지은, 문혜준|
식탁 너머의 이야기, 더 그로브 테이블 식탁 너머의 이야기, 더 그로브 테이블 식탁 너머의 이야기, 더 그로브 테이블 맛, 감각, 공간이 빚어낸 미식의 새로운 단면. 강릉 신라모노그램 호텔에 문을 연 이욱정 PD의 ‘더 그로브 테이블’은 미식 너머의 문화적 경험을 선사한다. 높은 층고와 콘크리트 구조가 돋보이는 건물은 김용덕 대표가 설계했다. 환하게 웃고 있는 이욱정 대표. by 문혜준|
유행을 넘어선 차 한 잔, 뉴욕 12말차 유행을 넘어선 차 한 잔, 뉴욕 12말차 유행을 넘어선 차 한 잔, 뉴욕 12말차 유행보다 깊이를 택한 뉴욕의 말차 전문점을 소개한다. 밝고 산뜻한 분위기의 1층 카운터에는 맞춤형 정수 시스템이 마련돼 있다. © Michael Carbone 뉴욕은 요즘 말차 열풍이 불고 있다. 미국에서 말차가 본격적으로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2015년 무렵, 소위 ‘힙스터’ 카페들이 말차를 by 문혜준|
미술 거장들의 작품이 우리 집으로 스며든다면? 미술 거장들의 작품이 우리 집으로 스며든다면? 미술 거장들의 작품이 우리 집으로 스며든다면? 미술 거장들의 작품이 우리 집으로 스며든다면? 미술관을 떠나, 생활 속으로 녹아든 상상 속 네 개의 방에서 일상은 예술이 되고, 공간은 이야기로 가득 찬다. ROOM 1 제임스 터렐, 경계 없는 빛 모든 요소가 빛 속에 잠겨 있지만, 그 빛은 단순히 밝히는 by 원지은문혜준, 원하영|
르 카페 루이 비통 르 카페 루이 비통 르 카페 루이 비통 프랑스적 삶의 예술이 깃든 미식과 공간 이야기. 돔 형태의 천장 구조가 돋보이는 르 카페 루이 비통 내부. 루이 비통은 언제나 공간의 잠재력을 탐구해왔다. 패션과 아트, 여행과 라이프스타일이 교차하는 매장 구조, 아카이브를 감각적으로 풀어낸 파사드, 독립형 카페와 레스토랑까지. 공간은 by 문혜준|
2025 아트위크, 놓치면 후회할 예술 현장 48선 II 2025 아트위크, 놓치면 후회할 예술 현장 48선 II 2025 아트위크, 놓치면 후회할 예술 현장 48선 II 프리즈와 키아프, 그리고 을지로, 한남, 청담, 삼청 나잇 프로그램 등 대형 전시부터 실험적 퍼포먼스까지, 서울 전역이 예술로 물드는 9월. 메종 기자와 아트 메신저들이 추천하는 전시와 공간을 소개한다. ‘Maman’(2019) 설치 전경.© 호암미술관 <루이즈 부르주아: 덧없고 영원한> 호암미술관 8.30.~2026.1.4. by 원지은문혜준, 원하영|
삶의 시작과 끝에서 삶의 시작과 끝에서 삶의 시작과 끝에서 오랜 기간 삶과 죽음, 그리고 그 경계에 대한 탐구를 이어온 시오타 치하루의 작품 세계. (The Self in Others), 2024, Mixed media, Dimension variable 삶의 시작과 끝은 모두 ‘흙’과 맞닿아 있다. 삶과 죽음, 주체와 타자, 기억과 소멸. 시오타 치하루는 by 문혜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