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두 아들을 위해 마련한 아파트 1층 집. 마음껏 뛰놀 수 있는 넓은 거실과 엄마의 감각이 만나 갤러리처럼 차분하면서도 실용적인 레노베이션을 완성했다.

1 갤러리의 한 코너 같은 거실. 미니멀한 집주인의 취향이 드러난다. 2 투명 소재와 흰색을 위주로 한 인테리어로 적당한 긴장이 감돈다.

 

독특한 인연이 있는 집을 만났다. 우연히 인스타그램을 통해 접하게 된 집이었는데 알고 보니 집주인 김젬마 씨 어머니의 집을 <메종>에서 취재한 적이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10년을 거슬러 올라가야 하는 기억이었지만 김젬마 씨 어머니에게는 추억으로 남아 있었다.

 

김젬마 씨는 이사 오기 전 지금의 집을 레노베이션했다. 68평형의 넓은 아파트로 방도 여섯 개나 있었지만 일부 방을 터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지금은 네 개의 방만 사용하고 있다. 가장 눈에 들어오는 공간은 널찍한 거실이었다. TV가 없는 거실은 많이 봐왔지만 마치 갤러리의 한 부분을 뚝 떼어다 놓은 것처럼 이 집의 거실은 독특한 아우라를 풍긴다. “TV는 이전 집에서도 거실에 두지 않았어요. 저 역시 그런 환경에서 컸기 때문에 어머니의 영향을 받은 것 같아요. 부모님이 미술 작품에 관심이 많고 좋아하셔서 집에 그림과 조각품이 많아요. 그런 이유로 집이 색다르게 보이는 것 같아요.” 거실 가구로는 카르텔의 투명한 소파 ‘엉클 잭’만을 두었고 벽 쪽으로는 제네바 오디오와 이영학 조각가의 작품을 바닥에 멋스럽게 두었다. 특히 집 안 곳곳에는 김종학 작가의 자연을 그린 작품이 많았는데 유독 김종학 작가를 좋아하는 아버지가 딸에게 건넨 선물들이다. 엉클 잭 소파에 앉으면 사시사철 모습을 달리하는 앞마당과 깨끗한 흰 벽과 회색 타일 바닥이 어우러진 거실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다. “의외로 주방보다 거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 같아요. 소파에 누워서 TV를 보는 사람이 없거니와 거실에 모여 앉아 얘기를 많이 나누곤 하죠. 그래서 푹신한 소파보다는 제 취향에 맞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의 소파를 골랐어요.”

 

김젬마 씨는 이사 오기 전 지금의 집을 레노베이션했다. 68평형의 넓은 아파트로 방도 여섯 개나 있었지만 일부 방을 터서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지금은 네 개의 방만 사용하고 있다. 가장 눈에 들어오는 공간은 널찍한 거실이었다. TV가 없는 거실은 많이 봐왔지만 마치 갤러리의 한 부분을 뚝 떼어다 놓은 것처럼 이 집의 거실은 독특한 아우라를 풍긴다. “TV는 이전 집에서도 거실에 두지 않았어요. 저 역시 그런 환경에서 컸기 때문에 어머니의 영향을 받은 것 같아요. 부모님이 미술 작품에 관심이 많고 좋아하셔서 집에 그림과 조각품이 많아요. 그런 이유로 집이 색다르게 보이는 것 같아요.” 거실 가구로는 카르텔의 투명한 소파 ‘엉클 잭’만을 두었고 벽 쪽으로는 제네바 오디오와 이영학 조각가의 작품을 바닥에 멋스럽게 두었다. 특히 집 안 곳곳에는 김종학 작가의 자연을 그린 작품이 많았는데 유독 김종학 작가를 좋아하는 아버지가 딸에게 건넨 선물들이다. 엉클 잭 소파에 앉으면 사시사철 모습을 달리하는 앞마당과 깨끗한 흰 벽과 회색 타일 바닥이 어우러진 거실을 동시에 감상할 수 있다. “의외로 주방보다 거실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는 것 같아요. 소파에 누워서 TV를 보는 사람이 없거니와 거실에 모여 앉아 얘기를 많이 나누곤 하죠. 그래서 푹신한 소파보다는 제 취향에 맞는 투명한 플라스틱 소재의 소파를 골랐어요.”  

 


아파트 1층의 장점을 살려 앞마당에 아웃도어 가구를 두었다.

 


카르텔의 루이 고스트 체어와 마스터 체어를 둔 다이닝 공간.

  


아이들이 좋아하는 장난감을  보관할 수 있는 ‘페이보릿 씽’ 조명. 2 바나나 섬유로 만든 이케아의 ‘굴홀멘 흔들의자’.

  


다이닝 공간 한쪽 벽은 수납장으로 만들어 아이들의 책이나 잡동사니를 수납할 수 있다.

 

 

화가 김종학의 작품과 어우러진 주방 코너. 2 큰아들 방에 설치한 귀여운 동물 모양의 훅.

 

 

시간이 지나서도 지루하지 않게 방을 활용할 수 있도록 흰색의 깔끔한 인테리어로 마감한 큰아들의 방.

 

 

1 침대 쪽과 책상 쪽을 파티션처럼 구분했다. 2 아들이 그린 그림으로 만든 그릇.

 

 

파란색 가구를 선택한 4살 둘째의 방은 앞으로 더 많은 소품과 장난감으로 채워질 것이다.


이 집에서 눈여겨볼 점 중 하나는 공간 구획이다. 특히 부엌은 딸려 있던 작은 방을 터서 일자로 긴 싱크대를 설치했는데 요리를 하면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볼 수 있도록 거실 쪽을 향하고 있다. 다이닝 공간 벽에는 여닫이 붙박이장을 만들어 문을 열면 각종 잡동사니와 스포츠 장비, 책 등을 수납할 수 있도록 했는데 문을 닫으면 몰딩 벽처럼 보여서 깔끔하다. 9살인 큰아들의 방도 실용적인 공간 구획이 돋보인다. 침대가 놓인 쪽과 책상이 놓인 공간을 파티션 형태로 만들어 숙제를 하거나 책을 읽을 때 아늑함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바로 옆방은 동생인 시완이의 방으로 꾸며 형제가 서로 드나들며 놀 수 있도록 배려했다. 마당이 보이는 큰 창문이 있는 방은 초등학생인 큰아들의 방으로 꾸몄는데 흰색을 기본으로 사용했고 아직 4살인 둘째의 방은 파란색 가구와 함께 전구 조명과 행잇올 등을 벽에 달아 아기자기하게 연출했다. 가구는 아이들이 크면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확장 가능한 제품들을 선택해 실용적이다. 부부 침실은 베란다를 확장한 부분에 문을 달아 서재처럼 연출해서 컴퓨터를 할 수 있는 공간을 별도로 만들었다. 침실과 구분돼 공간이 지저분해 보이지도 않으며 앞마당을 보면서 작업하거나 컴퓨터를 할 수 있어 단독주택 같은 느낌을 자아낸다. 

 


1 안방의 베란다는 확장한 뒤 문을 달아 단독주택처럼 앞마당의 바라보며 책상을 사용할 수 있다. 2 현관 문을 열고 들어서면 조각가 이영학의 작품이 방문객을 맞이한다.  

 

 

안방의 베란다는 확장한 뒤 문을 달아 단독주택처럼 앞마당의 바라보며 책상을 사용할 수 있다.

 

 

신혼 때 구입한 클래식 스타일의 스티클리 가구를 둔 부부 침실.

집주인 김젬마 씨는 넓은 집을 그냥 원래의 공간으로 두기보다 쓰임새에 맞게 공간으로 나누거나 터서 가족에게 필요한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 현관문을 열면 중문 코너에 이영학 조각가의 작품이 방문객을 반긴다. 현관이 집의 첫인상이듯 이 집은 적당한 긴장감으로 멋스러움을 건네는 공간이다. 넓은 집을 무조건 고급 가구로만 채운 것은 아니었다. 사용하던 가구를 재활용하기도 했으며 이케아처럼 경제적인 가격대의 가구를 믹스매치해 두 아이를 키우는 엄마의 현실적인 고충과 디자인에 대한 갈망을 적절하게 타협했다. 무엇보다 아이들을 위해 과감하게 1층을 선택한 김젬마 씨는 단풍이 들고 감이 익어가는 마당을 기다리고 있다며 행복한 웃음을 지어 보였다.

 

Inserted new record. Affected row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