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유 있는 여백

이유 있는 여백

이유 있는 여백

감추고, 가리면서도 멋을 낸다. 거추장스러운 장식을 걷어내고 공간에 여백을 살리면서 실속을 챙기기란 쉽지 않은 법. 여기에 집주인의 감각이 드러나는 가구와 소품까지 더해져 보는 즐거움이 있는 집을 만났다.

↑ 부부를 위한 콤팩트한 다이닝 공간. 주방에는 빌트인 형식의 수납장을 짜 넣어 그릇과 커트러리 등을 수납했으며 주방 싱크대 쪽 벽에 창문을 만들어 단독주택 같은 느낌을 살렸다.

눈에 익숙한 북유럽 브랜드의 가구 몇 점만으로 이 집을 ‘북유럽 스타일’이라 단정지어서는 안 된다. 한 가지 스타일로 규정짓기엔 아까운 부분이 많기 때문이다. 푸드 스타일리스트인 아내와 패션 업계에 몸을 담고 있는 남편, 출장이 잦은 부부의 직업상 해외에 나갈 때마다 카페나 숍 등 멋진 공간을 접할 기회가 많았다. 그리고 결혼한 지 2년이 지나 새로운 집을 갖게 되면서 그동안 머릿속에만 담아뒀던 그들의 취향을 반영한 집을 꾸미기로 결심했다.

푸드 스타일리스트라는 직업적인 특성 때문에 주방을 중요하게 생각했던 집주인 김지현 씨. 그런데 시중에 출시된 주방 시스템 가구는 주로 화이트나 블랙 컬러 계열로 나뉘는 것이 문제였다. 그레이 컬러를 좋아하는 그녀는 그레이 톤의 주방 시스템을 갖춘 집을 우연히 보게 됐고, 그 집을 디자인한 인테리어 스타일리스트 김은정 실장과 연을 맺게 됐다. “디자이너와 저의 취향이 비슷해서 깜짝 놀랐어요. 서로 동시에 같은 가구 사진을 보냈을 때도 있었죠. 원래 미니멀한 스타일을 좋아했는데 이번에 이사하면서 클래식한 느낌으로 집을 꾸며볼까 고민했었어요. 그래서 처음에 보낸 시안은 화려한 몰딩과 앤티크한 가구들이 어우러진 사진들이었죠.” 하지만 김은정 실장은 그녀가 정말 좋아하는 스타일이 미니멀이라는 것을 알아챘다. 마음에 들었던 가구가 대부분 심플함 그 자체였기 때문이다. 가구와 소품을 베이식한 디자인으로 고르되 집이 차가워 보이지 않도록 바닥을 헤링본 패턴으로 시공하고, 걸레받이도 일반적인 높이보다 높게 만들어 클래식한 요소를 가미했다.

1 직업 특성상 그릇이 많은 아내를 위해 주방 곳곳에 수납장을 만들었다.
2 헤링본 패턴의 바닥재와 북유럽 스타일의 가구들이 어우러진 거실. 다이닝 공간이 좁기 때문에 손님이 왔을 때 편안하게 앉을 수 있는 식탁 용도의 테이블을 거실에 두었다.
3 입구에서 바라본 현관. 오른쪽 문을 열면 보이는 ㄷ자형 선반에 신발을 수납한다.
4 앞으로 태어날 아이를 위한 방은 남편이 종종 사용하는 전자피아노와 사이즈가 큰 모빌을 달아 사용하고 있다.

40평형대인 이 아파트는 방이 4개다. 입구 쪽 2개의 방은 드레스룸과 서재로, 하나는 침실로, 남은 방은 앞으로 생길 아이를 위한 방으로 남겨뒀다. 공사를 진행하면서 모든 방과 공간이 새롭게 바뀌었지만 이렇게 재미있는 구조의 주방이었다는 사실은 의뢰인도 미처 몰랐던 사실이었다. 삼각형 모양의 싱크대 구조가 독특한 주방에는 창문도 만들었다. 집 안 어딘가에 매트한 느낌의 블랙 프레임 창문을 만들고 싶었던 집주인의 바람이 실현된 공간이다. “그레이 톤의 주방 가구, 매트한 블랙 프레임의 창문을 달고 싶었는데 이를 반영한 김은정 실장님 댁의 주방과 아이 방 사진을 보고 쾌재를 불렀죠. 두 가지 요소를 반영한 꼭 맞는 사례를 찾았으니까요. 주방 벽에 창문을 달았을 뿐인데 창문을 통해 서재를 볼 수 있다는 것이 재미있고, 단독주택 같은 느낌도 들어서 여러모로 만족스럽습니다.”

식탁 맞은편은 깔끔한 우드 패널 벽처럼 보이지만 문을 열면 그 안에 수많은 그릇과 커트러리, 패브릭이 정갈하고 빼곡하게 정리되어 있다. 이사를 하면서도 차마 버리지 못한 애정 있는 아이템들이어서 어떻게든 수납하기 위해 선반을 더 짜 넣기도 했다. 밖에서는 전혀 눈치챌 수 없는 반전 있는 코너로 문을 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깜짝 놀란다고. 남편이 좋아하는 서재는 자유롭게 꽂은 책들이 멋스러운 오픈형 책장과 캔들과 조명, 꽃을 꽂은 벽 수납함 등이 산뜻한 느낌을 주는 공간이다. 가구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제작했고, 대신 소품과 조명에 예산을 투자했다. 맞은편의 드레스룸 또한 군더더기가 없다. ㄷ자형 드레스룸은 문에 전신 거울을 달아 편리하며 공간이 넓어 보이는 반사 효과도 누릴 수 있다.

↑ 일반 매트리스의 2배 정도 되는 높이의 침대. 안방에는 클래식한 디자인의 창문을 달고 황동 소재의 사이드 조명을 달아 고급스러운 분위기다.

집주인이 처음에 생각했던 클래식한 느낌이 반영된 곳은 침실. 높이가 높은 매트리스도 그렇고 창살이 빼곡한 화이트 컬러 창문, 대리석과 원형 거울로 마무리한 욕실만 봐도 알 수 있다. 하지만 침실의 자투리 공간도 알차게 사용했다. 헤드보드와 같은 컬러로 칠해진 슬라이딩 도어를 열고 들어가면 간이 드레스룸이 나오는데 옷과 액세서리가 많은 부부를 위한 또 하나의 숨은 공간이다. 여행용 가방처럼 어딘가에 세워두기에도 애매한 아이템을 감쪽같이 수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처럼 김지현 씨네 집은 겉으로 보이는 가구와 소품은 적재적소에서 빛을 발하면서도 실생활을 고려한 실용적인 면모를 갖추고 있다. “집 안이 뭔가 허전해 보인다고 하는 분도 있지만 살면서 여백은 필요한 것 같아요. 바닥이나 벽, 몰딩 등을 베이식한 컬러와 디자인으로 시공했기 때문에 언젠가 다른 스타일의 가구가 들어와도 잘 어울릴 수 있죠. 북유럽 가구를 특별히 좋아해서 고른 것은 아녔어요. 최대한 심플한 것을 예산에 맞춰 찾다 보니 그렇게 된 거죠. 정말 마음에 들었던 소파는 아주 고가여서 적절한 타협점을 찾다 보니 북유럽 브랜드 가구들이 많아졌네요.” 집주인은 공사가 진행되면서 조금씩 변하는 집의 모습을 지켜보며 집을 가꿔가는 재미를 알게 됐다고 소감을 전했다. 그 기쁨과 재미를 잊지 못해 다시 이사 가고 싶은 생각이 들 정도라고. 하지만 부부는 그런 즐거움을 곱씹으며 취향과 비움의 미학을 이유 있게 실현한 이 집에서 한동안 행복할 것이다.

1 대리석과 타일로 마감한 욕실. 블랙 펜던트 조명으로 포인트를 주고 헤이의 거울을 달아 깔끔하게 연출했다.
2, 3 아기자기한 요소가 있는 서재. 책상과 책장은 모두 제작했다. 주로 아내가 즐겨 보는 요리 관련 책을 꽂았으며 좋아하는 캔들, 소품 등으로 책상을 꾸몄다. 벽에는 자석으로 붙일 수 있는 수납함을 달아 식물을 꽂거나 스테이셔너리를 보관한다.
4 양 옆으로 평행하게 설치한 옷장 시스템. 문에 거울을 달아 공간이 넓어보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에디터 신진수 | 포토그래퍼 김덕창(스튜디오 다) | 디자인 및 시공 스타일리스트 김은정(Blog.naver.com/0612kim)
출처 〈MAISON〉2013년 3월호

CREDIT
Just Another Paradise

Just Another Paradise

Just Another Paradise

인테리어 디자인 스튜디오 NR디자인이 과천에 위치한 알레 434농장 한 켠에 새 둥지를 틀었다. 나무처럼 편안하고 자유롭지만 밀도 있는 사무실을 찾았다.

↑ 각 지역에서 온 빈티지 가구들이 조화를 이룬 김나리 실장의 사무실. 알바 알토의 조명 A330 아래 요시모토 나라의 ‘아오모리의 개’가 눈에 띈다.

인테리어 디자이너 김나리 대표에게 남아도는 시간을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아침부터 자정까지 매일 계속되는 바쁜 일정이기에 그녀는 자신만의 은신처가 더욱 절실했다. 바로 사무실이다. “논현동 사무실에서 과천으로 이사 오기까지 1년 정도 고민한 것 같아요. 직업상 도심을 오갈 일이 많지만 10여 년 동안 쉼 없이 앞만 보고 달려온 것 같아 한 박자 쉬어갈 공간이 필요했어요. 아름다운 농장이 있는 이곳에서 좋아하는 요리도 만들고, 책도 보며 휴식을 취하고 일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 이사하게 되었어요.”

2003년 오픈한 NR디자인은 인테리어 디자인 설계, 시공을 전문으로 하는 디자인 스튜디오다. 그동안 레스토랑 그랑시엘과 시오코나 라보, 카페 코코브루니, 나폴레옹 베이커리 등 상업 공간의 디자인을 비롯해 건축가와 협업한 아트 센터 나비, SK 최태원 회장의 개인 주택, 그리고 최근에 완성한 SK의 MS연구소도 김나리 대표의 손끝에서 비롯되었다. 대학에서는 주거학을 전공했지만 어린 시절 부모님의 영향으로 그림이나 디스플레이와 관련된 인테리어를 접할 일이 많았다. 그리고 내재된 미술 감각과 예민한 감수성으로 지난 10년간 공간에 아름다움을 불어넣는 작업을 계속해올 수 있었던 것. “옴니 디자인의 이종환 사장님과 모노콜렉션의 장응복 선생님은 저를 이끌어주신 스승이세요. 옴니 디자인에서 8년, 모노콜렉션에서 1년 동안 일하면서 두 스승님이 가지고 있는 좋은 디자인 감각을 배울 수 있었어요.”

왼쪽 너른 창문 앞에 만든 한식 공간.
오른쪽 클래식한 저그와 작은 화병을 활용한 꽃 장식.

NR디자인은 여느 디자인 사무실과는 사뭇 다른 모습이다. 사무 공간보다는 커다란 그릇장과 아일랜드 공간의 비중이 큰 것이 새롭다. 오븐을 갖춘 작은 주방과 아일랜드 주변으로 여러 개의 테이블을 배치해서 언뜻 보면 쿠킹 스튜디오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 ”이사를 계획하면서 여기저기 흩어져 있던 책을 모아놓을 수 있는 공간과 그동안 컬렉션해온 그릇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고 싶었어요. 요리하는 것을 좋아해 커다란 아일랜드 식탁을 만들어 지인들과 파티를 즐길 수 있도록 했고요.” 그동안 컬렉션해온 그릇과 부모님께 물려받은 한식기의 양만 봐도 요리 전문 스튜디오가 부럽지 않을 정도. 그리고 연말 파티 때 보여준 요리 솜씨와 테이블 세팅에서도 요리에 대한 열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간은 크게 사무실, 창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 나뉜다.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왼쪽으로는 김나리 대표의 사무 공간과 오른쪽 뒤로는 원목 문으로 차단된 개인 룸이 자리한다. 자질구레한 소품을 모아둔 창고와 주방, 개인 공간으로 통하는 입구를 제외한 나머지 공간은 서로 소통하는 구조를 띤다. ”폐쇄적인 공간 구성을 선호하지 않아요. 구조 자체가 가지고 있는 원래의 모습을 그대로 활용하는 것을 좋아해요. 예컨대 직원들의 공간과 제 사무실이 기둥 하나로 시선을 살짝 피할 수 있는 것처럼요.” 중첩된 레이아웃과 원목 가구, 한국적인 소품, 현대의 디자인이 믹스&매치된 사무실은 한마디로 규정짓기 어려운 김나리 대표만의 스타일로 채워졌다. 시간의 더께를 입은 가구와 소품들은 곳곳에서 훈훈함을 더하고 있고, 마하람의 폴스미스 원단과 미나 피호넨의 패브릭으로 제작한 의자와 스툴은 현대적인 디자인 가구와 어우러져 포인트 역할을 하고 있다. “책상 옆에 있는 찬장은 근대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부모님이 물려주신 거예요. 책을 수납한 수납장은 북유럽의 근대 제품, 그리고 책장은 30년 전 아버지가 쓰시던 리바트 책장이에요. 이 공간은 각 지역의 빈티지들이 모여 한목소리를 내고 있어요.”

창문 너머로 보이는 자연, 빛으로 충만한 사무실. 자신이 좋아하는 일과 휴식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이곳은 그녀만의 파라다이스다. 그리고 앞으로는 이곳을 오가는 많은 사람에게까지 좋은 영감을 나눠줄 공간으로 자리할 것 같다.

↑ NR디자인의 김나리 대표.

위 왼쪽 비트라 뮤지엄에서 사온 미니어처.
위 오른쪽 책상 반대편에 놓인 메모 보드.
아래 요리 전문 스튜디오 부럽지 않은 사무실. 너른 수납장 안에는 컬렉션해온 그릇들이 가득하다.

에디터 박명주 l 포토그래퍼 박성훈(달링하버 스튜디오)

CREDIT
기발한 미스터 브롬리

기발한 미스터 브롬리

기발한 미스터 브롬리

데이비드 브롬리는 멜버른에 있는 갤러리 겸 작업장에서 자신의 작품들과 씨름한다. 작품에 열정을 쏟아부은 결과 브롬리의 컬렉션은 선풍적인 반응을 얻었다. 그는 다음 작품을 위해 이 작품들을 모조리 처분하기를 반복한다.

↑ 데이비드 브롬리와 스타일리스트인 그의 부인, 유지 유가 전시 작품인 “달과 어린이(Lchr(39)enfant avec la lune)’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그 주변에는 호주 작가 마크 섈러(Mark Shaller)와 빅터 루빈(Victor Rubin), 일본 작가 이토(Ito)의 작품과 전 호주 수상이었던 토마스 플레이포드(Thomas Playford)의 흉상 등이 두 사람을 에워싸고 있다.

이것은 자신을 둘러싼 세속적인 것들을 거부하는 지극히 목가적인, 즉 1950년대 모험담에서나 볼 수 있는 벌거벗은 젊은 여인이나 나비를 쫓아다니는 어린이에 관한 이야기이자 괴짜 예술가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또한 끓어 넘치는 갈망과 혼자가 되는 것은 아름답다는 고집 끝에 호주에서 끊임없이 떠도는 한 사람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곳의 주인이자 이야기의 주인공인 데이비드 브롬리(David Bromley)는 예술 작품, 빈티지 가구, 산업 제품 등을 일상생활에서의 창조력을 자극하는 요인으로 받아들인다. 데일스포드(Daylesford)의 시골집에서 양지바른 바이런 베이(Byron Bay) 구역까지, 그는 자신의 거대한 갤러리 겸 작업장을 사우스 프라한(South Prahan)에서 멜버른으로 옮기면서 잡다하지만 눈길을 끄는 그의 장식품들을 갖고 다니며 전시하고 또 팔기도 했다. 이들 작품은 그 만의 섬세한 미적 감각, 누구나 과거를 떠올리면 각인되어 있을 법한 아름다움을 엿볼 수 있다.

그는 스타일리스트가 되기 위해 변호사라는 직업을 버리고 아내 유지 유(Yuge Yu)와 함께 나이도 잊은 채 자유롭게 세상을 돌아다니며 동화처럼 살고있다. 또한 그가 모든 것을 뒤엎거나 옮기면 곧바로 구매자들이 그의 작은 전시장(다음 정착지에 도착하면 그들은 곧 다른 전시를 열곤 했다)에 몰려들어 그의 작품을 손에 넣으려고 안달하는 것도 흔한 일이었다.

↑ 발코니의 오래된 기둥 밑으로 동양적인 두루미상, 은색 샹들리에, 둥근 프랑스 유리병, 호주 작가 마이클 퍼그(Michael Pugh)가 제작한 ‘현세’라는 이름의 세라믹 화병과 스웨덴 작가 크리스 마틴(Chris Martin)이 만든 의자 ‘Tio’가 보인다. 바닥의 타일은 일일이 손으로 깔았다.

↑ 대양의 푸른빛으로 도색한 층계참 위의 스테인드글라스창을 통해 들어온 빛이 톰 리폰(Tom Ripon)의 붉은색 철망으로 만든 조랑말과 어린이 초상화 두 점, 세라믹 접시와 천을 씌운 의자 (모두 브롬리의 작품이다), 챙 없는 붉은 모자를 쓴 남자의 초상화, 은색 샹들리에와 중국식 찬장을 비추고 있다.

↑ 빅토리아풍의 난간. 난간 위로 중심을 잡고 서 있는 ‘Masked Boy’라는 채색된 조각상과 그 옆으로 브롬리의 작품 ‘Boy with hammer‘가 보인다. 벽에는 작가미상의 우크라이나 풍경화, 베르나르 뷔페(Bernard Buffet)의 조각, 마크 셸러의 ’Visage(얼굴)’과 맥클린 에드워즈(Mclean Edwards)’의 데생이 걸려 있다.

↑ 환각과 꿈 사이의 방 침대의 머리 부분이 벽을 뚫고 들어가는 듯한 착각을 불러일으키는 벽면 옵아트와 이불 위에는 어린아이의 장난처럼 그린 데이비드 브롬리의 그림이 그려져 있다. 원통형 돌조각 받침대 위에는 세라믹 생쥐 마스코트가 앉아 있다.

↑ 초현실적 연출로 빚은 공간. 사무실 안, 부채꼴 창문이 보이고, 천장에 브롬리가 제작한 비행기 모양의 철제 모빌이 마크 터키(Mark Tuckey)의 목제 스툴과 낮은 탁자 위에서 돌고 있다. 탁자 위에는 대리석으로 만든 해골이 놓여 있다. 에펠탑 미니어처, 이집트산 나무에 도금을 하여 제작한 소파와 필립 스탁의 ‘마드모아젤’ 의자가 있고, 안쪽에는 송판 받침대 위로 ‘Young Painter’라고 명명한 브롬리의 구리 조각상이 보인다.

에디터 장 파스칼 비이요드(Jean-Pascal Billaud) | 포토그래퍼 뱅상 르루/템프스 머신(Vincent Leroux/Temps Machine)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