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성은 묵직한 금속으로 일상의 물건을 만드는 금속공예가다.

그는 황동이나 구리처럼 전통적인 재료를 특유의 젊은 감각으로 해석해 커피 드리퍼나 찻잔, 그릇 같은 것들로 탈바꿈시킨다. 제4회 올해의 금속공예가상을 수상하는 등 그 실력을 인정받고 있으며, 최근에는 비마이게스트의 김아린, 물건연구소 임정주 작가와 함께 <Obscure for Mulas> 전시를 선보이기도 했다. “커피 드리퍼처럼 작고 정형화된 물건을 다루다 보니 새로운 것에 대한 고민이 많았어요. 하지만 이번엔 기존 것들과 달리 스툴이나 의자처럼 부피감 있는 것을 시도했어요. 작업물의 크기가 달라지다 보니 접합 방식도 그렇고, 프로세스가 완전히 바뀌었어요. 재밌더라고요.” 그는 이번 전시를 통해 그간 고민하던 많은 것을 해소하고 작업의 방향성을 찾을 수 있었다고 했다.


최근 진행한 전시에시 선보인 스툴과 테이블 작업.
물론, 작업의 본질은 여전히 금속이다. 금속은 금은방을 했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어릴 적부터 무척이나 친숙한 것이었다. 특히 황동은 그가 가장 애착을 갖고 있는 재료다. 제작 과정도 까다롭고, 만들고 난 뒤에 말도 많지만 이만큼 자기 목소리를 내는 것이 없다고 했다. “완벽하게 딱 떨어진 상태에 놓여 있지만, 스스로 계속 변하잖아요. 사용하는 사람에 따라서도 그 성질이 바뀌고요. 그게 참 흥미롭더라고요. 재료 자체가 무척 자연적이라 인간과 가깝다는 생각도 했어요.” 사람들의 선입견이 많지만, 동은 사실 굉장히 깨끗한 금속이다. 자체적으로 항균하는 놀라운 능력이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사람들이 황동을 불편하게 생각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완벽하지 않고, 자꾸만 유기적으로 변화하는 성질 때문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물건이라는 것은 결국 시간의 흐름을 담는다. 그가 황동에 매료된 것도 그처럼 자연스러운 특성 때문이다. “대량생산으로 찍어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의 손이 많이 가고 좀 더 고민의 흔적이 담긴 것. 그런 것일수록 물건에서 에너지가 느껴진다고 생각해요. 물론 비효율적일 수는 있어요. 하지만 좀 더 하나의 것에 집중하고자 합니다. 그렇게 좋은 물건을 만들고 싶어요.” 그는 앞으로도 금속을 가지고 벤치나 테이블처럼 커다란 작업을 선보이고 싶다고 했다. 그가 사랑하는 소재처럼 자연스레 변화해가는 작업이 앞으로도 무척 기대되는 바이다.

황동으로 컵을 제작하고 있다.

금속 작업을 할 때 오랜 시간을 보내는 작가의 책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