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르망 기요맹 ‘센강의 풍경’ 1890년 ©Wikimedia
로또에 당첨되어 아무한테도 말하지 않고 혼자 은행에 갔는데, 담당 직원이 큰 소리로 “로또 당첨금 찾으러 오셨어요?”라고 물어봐서 당황했다는 한 남자의 뉴스가 화제가 된 적이 있었다. 사실 우리 주변에도 로또에 당첨된 누군가가 있을지 모른다. 갑작스레 부자가 된 사람들에 대해서는 로또에 당첨돼서 그렇다는 소문이 돌기도 한다. 예술가 중에는 모네가 로또에 당첨된 덕분에 지베르니에 거대한 작업실을 꾸미고 작품에 몰두해 유명 작가가 될 수 있었다는 잘못된 내용이 TV 예능에 나오기까지 했다. 로또에 당첨된 이는 그와 같은 시기에 활동한 아르망 기요맹(1841~1927)인데 인상주의 화가 중에서 가장 유명한 모네로 오인한 것이다. 낮에는 정부 철도에서 일하고 아침이나 주말에만 그림을 그리며 고되고 부지런한 삶을 이어가던 기요맹에게 행운이 찾아온 건 1892년, 51세에 이르러서다. 그는 복권에 당첨되어 10만 프랑이라는 거금 수령한 후 하던 일을 때려치우고 작품에만 몰두하며 86세까지 여생을 보냈다. 그러나 예술가에게 진짜 로또는 당첨금 수령이 아니라 그 자신이 유명 작가가 되는 것이 아닐까? 작품이 비싼 값에 팔릴 수 있으니 화수분이 따로 없다. 헌데 그 당첨금을 누가 찾을까? 여기에 흥미로운 사례가 있다.

아르망 기요맹 ‘자화상’ 1872년 클리브랜드 미술관. ©Guillaumin

아르망 기요맹 ‘이브리의 일몰’ 1873년 오르세미술관. ©Guillaumin
초현실주의를 대표하는 작가 르네 마그리트 (1898~1967)는 수수께끼 같은 그림을 그리며 생계를 위해 광고와 디자인 일을 병행했고, 피카소 등 대가의 그림을 모작하거나 심지어 위조지폐를 만들기도 했다. 예술가라 하면 으레 베레모에 자유분방한 복장일 것 같은데 중절모에 양복을 입은 작가의 모습도 인상적이다. 지금은 튀는 패션이지만 당시 유럽 남성 대부분이 중절모를 쓰고 다녔기에 사람들의 눈에 띄지 않고 평범해 보이기 위해서 선택한 방편이었다고 한다. 사람들 눈에 띄고 싶지 않았던 바람은 13세에 우울증을 앓던 어머니가 강물에 투신자살해서 온 마을에 화제가 된 사건과도 무관하지 않으리라. 60대가 되어 비로소 알려지기 시작했고 드디어 자신의 작품 세계를 알아봐주는 프랑스의 철학자 푸코와 서신을 교환하기도 했으나 성공의 기쁨도 잠시, 67세에 췌장암으로 사망했다. 헌데 20년 뒤 우연히 마그리트의 아내를 만나 작품에 대한 전권을 물려받은 이가 등장한다. 현재 마그리트 재단의 대표인 찰리 헬스코비치다. 그는 자녀도 없이 고군분투하던 노부인을 돕다 오늘에 이르렀다고 설명하는데, 과거도 모호하고 부인의 유서가 공증되지 않은 것이기에 혹자는 그를 가르켜 ‘개를 산책시키던 사람’ (부자의 유산을 물려받은 개를 산책시키던 이가 재산을 차지하게 되는 상황)이라는 표현을 쓰기도 한다. 시작이야 어쨌거나 1998년 브뤼셀에 마그리트의 재단을, 2009년에는 마그리트 미술관을 설립하였으며, 세계적인 뮤지엄 순회 전시를 열며 오늘날 마그리트의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긁지 않은 복권이었던 마그리트를 가꾸고 널리 알려 열매를 얻은 셈이다. 제발 로또에 당첨되게 해달라는 기도에 신이 하셨다는 ‘로또를 사라’는 말씀은 어쩌면 마그리트 재단의 대표처럼 주변을 잘 둘러보고 평소 덕을 쌓으라는 말씀은 아닐지.

마그리트 뮤지엄, 브뤼셀. ©Wiki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