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가든 전문가가 추천하는 가을과 겨울철 실내에서 키우기 좋은 식물.

 

 

1 마삭줄 덩굴성 식물로 잘 알려진 마삭줄. 이처럼 목대가 굵은 나무처럼 만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가지치기가 필요하다. 에너지를 분산시키지 않고 모으면 어느새 목질화가 이루어지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단단하고 굵은 목대가 생성된다. 원래 덩굴성 식물이므로 길게 자라는 잎줄기를 보는 즐거움이 있지만 이맘때는 작은 꽃을 피워 잎과 줄기 뿐 아니라 꽃을 보는 재미가 쏠쏠하다. 초록 잎은 가을과 겨울 붉은 단풍으로 물들어 공간에 운치를 더한다.

 

 

2 직희남천 나무가 어릴때 철사로 곡을 넣어 식물의 수형을 잡으면 선과 여백의 미를 모두 감상할 수 있다. 꽃보다는 새순과 단풍을 즐기는 재미가 크고 수피에 자글자글한 주름이 고태미를 풍겨 이 또한 감상 포인트가 된다. 가지를 잘라 뿌리를 내리는 삽목이 가능해 여러 개체를 만들어내는 즐거움도 있다. 분재 식물로 실외, 베란다 등에서 광합성을 충분히 시켜주는 게 좋다.

 

식기난게 이수진 대표

 

 

1 나한백 사계절 푸른 잎을 자랑하는 나한백은 구름측백나무로도 불린다. 잎 곳곳에 물든 크림색 무늬는 기존 침엽수에 비해 사랑스러움을 배가시킨다. 작은 잎사귀가 겹겹이 쌓인 독특한 잎은 전체적으로 부피감 있게 자라지만 여백이 있어 좁은 공간에도 어울린다. 양지나 반양지, 반음지에서 키우면 좋고 환기가 잘되는 창가나 베란다에 두는 것을 추천한다. 자연스러운 질감의 베이지나 블랙 톤의 화기에 식재하면 거칠면서 푸른 잎이 돋보일 수 있다.

 

틸테이블 김미선 추천

 

 

프레디 프레디는 잎이 크고 화려해 집 안 분위기를 화사하게 만든다. 합성수지, 화학 제품 등에서 발생하는 포름알데히드와 일산화탄소, 암모니아를 제거하며, 뿌리로 흡수한 수분을 잎을 통해 내뿜는 증산 작용으로 천연 가습기라고도 불린다. 밤에는 수분 보호를 위해 잎이 줄기를 향해 모여들거나 말리기도 한다. 물은 흙이 포슬포슬할 때 잎과 흙이 흠뻑 젖도록 충분히 준다.

 

엘트라 바이 박소희 추천

 

 

1 아페란드라 아페란드라는 반양지식물로 건조한 가을과 겨울 실내에서 기르는 것이 좋다. 줄기 가운데에 딱딱한 사각형 모양의 노란색 꽃이 피는 것이 특징이며, 개성 있는 잎의 무늬 때문에 꽃꽂이 소재로도 사용된다. 아페란드라는 일산화탄소 제거 능력이 뛰어나 특히 주방에 두고 키우면 좋다.

2 포트멈 선명한 색채가 아름다운 포트멈은 통풍이 잘되는 장소에서 충분한 햇빛을 받으면 6~8주간 꽃을 감상할 수 있다. 반양지식물로 밝은 광을 필요로 하지만 고온에서는 꽃이 금방 시들 수 있으니 한낮에는 차광을 해준다. 뿌리는 약간 습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Inserted new record. Affected row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