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차와 음악, 그리고 공간이 만들어내는 조용한 울림이 일상의 틈을 메운다.

오랜 시간 쌓아온 조은숙 대표의 감각이 머무는 이곳에서, 소리는 삶을 채우는 한 조각이 된다.

카레 클린트의 올 블랙 ‘KK47510 더 레드 체어 The Red Chair’, 박성철 작가의 옻칠 테이블, 플로스의 스트링 펜던트 조명이 어우러진 차실. 찻장을 촬영한 사진은 박찬우 작가의 작품.

데논의 CD 플레이어 DN – 951FA와 DB 테크놀로지 Technologies의 4496 컨버터.

 

집은 단순히 거처를 넘어, 삶의 취향과 태도를 담는 공간이다. 감도 높은 안목으로 조은숙아트앤라이프스타일 갤러리를 이끌고 있는 조은숙 대표의 집 한쪽에는 오디오가 놓인 차실이 있다. 소리와 취향이 공명하는 이 공간에서 그녀는 차를 마시고 음악을 듣고, 때로는 책을 읽으며 사색의 시간을 갖는다. 조은숙 대표에게 음악은 배경음을 넘어 취향의 한 조각인 셈이다. “음악은 듣기만 한다고 아는 게 아니에요. 차도 마찬가지죠. 많이 마셔봐야 차를 알고, 음악도 계속 들어야 그 깊이가 느껴지기 마련이에요.” 그녀의 말처럼, 이 공간은 청음실으로서 존재한다기보다는 감각을 키우고 취향을 확장하는 시간이 쌓이는 곳이다. 그녀에게 차와 음악은 공통점이 있다. 둘 다 오랜 시간을 들여야 진가를 알 수 있다는 것. “음악이든 차든 절대 금방 알아지는 게 아니에요. 시간이 필요하고, 경험이 쌓여야 비로소 내 것이 돼요.” 조은숙 대표는 차 마시는 행위를 ‘마음을 정리하는 시간’이라 말한다. 차를 우려내고 찻잔을 들어 올리는 순간에도 생각이 정리되고 긴장이 풀어진다. 그런 시간 속에서 음악이 더해지면, 공간은 더욱 깊어진다.

자이스 이콘의 시네마 튜브 앰프 도미날 Dominar – L Typ 32-02/11.

조은숙 대표는 이곳에서 종종 차와 함께 심적 안정을 취하는 시간을 갖는다.

화려함보다는 단정한 디자인과 깊이 있는 소리를 중심으로 선택한 오디오는 빈티지 자이스 이콘 Zeiss Ikon의 Ikovox D Typ 31-15/1이다. 1926년 독일에서 설립된 자이스 이콘은 정밀 광학과 기계 공학을 기반으로 한 카메라와 오디오 기기를 제작했으며, 특히 20세기 중반에는 고품질 의 라디오와 스피커를 생산하며 명성을 쌓았다. 조은숙 대표가 선택한 이 빈티지 오디오는 화려한 장식 없이도 묵직한 존재감을 지닌다. 공간 속에서 시간을 축적하고 감각을 확장시키는 매개체가 되는 것. “나는 돈 냄새 나는 것을 싫어해요. 너무 화려한 것보다는 차분하고, 묵직한 것. 그래서 블랙과 매트한 디자인을 좋아해요.” 실제로 드레스룸을 들여다보니, 놀라울 정도로 모든 옷이 블랙이었다. 그녀의 오랜 취향이 하나의 철학처럼 자리 잡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음악은 초보자라도 자꾸 듣다 보면 들리는 거예요. 글도 많이 읽어야 자연스럽게 이해되는 것처럼, 음악도 마찬가지죠.” 기기보다 중요한 것은 결국 듣는 사람의 감각이라고 조은숙 대표는 강조했다. 사실 처음부터 이곳이 차실로 계획된 것은 아니었다. 처음에는 음악을 듣는 공간 정도로 생각했는데, 자연스럽게 차를 마시게 되고 음반을 모으게 되면서 차와 음악이 함께하는 공간이 되었다. 그렇게 이 공간은 시간이 지나며 조은숙 대표의 취향에 맞춰 진화했다. 이곳에서는 그녀가 사랑하는 클래식과 재즈가 흐른다. 특별한 순간에만 음악을 듣는 것은 아니다. “음반 하나 듣는 데도 에너지가 필요해요. 그래서 늘 틀어두는 건 아니고 시간이 날 때나 저녁에 여유가 있을 때 틀어요.” 가끔은 다니엘 바렌보임의 연주처럼 편안한 곡을, 때로는 마음을 집중하게 만드는 클래식을 듣는다. “클래식은 듣다 보면 감정이 휘몰아쳐요. 그래서 더 몰입하게 되고, 함께 기쁘고, 함께 슬퍼지는 경험을 하게 돼요.”

그동안 사 모은 CD들이 빼곡히 들어 있다.

이곳에는 갤러리에서 전시했던 테이블이 놓여 있고, 작가들의 작품이 자연스럽게 스며들어 있다. 꼭 필요해서 들였다기보다는 마음이 가는 것을 하나둘 놓다 보니 자연스럽게 완성됐다. “저는 취향을 ‘공부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해요. 음악도, 차도, 공간도 계속해서 배워가는 중이에요. 취미가 생활이 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죠. 그냥 듣고 마시는 게 아니라, 내 취향이 점점 단단해지는 느낌이 들어요. 그래서 차와 음악을 즐기는 시간은 정말 소중해요.” 이 공간은 앞으로 차를 마시고, 음악을 듣고, 새로운 것을 경험하며 차츰 변해갈 것이다. 그러나 변하지 않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좋은 것들을 오래 곁에 두고 천천히 즐기는 태도’일 것이다. “나는 오디오 마니아는 아니에요. 그냥 내가 즐길 수 있으면 된 거죠.” 조은숙 대표의 말처럼, 음악과 차, 그리고 공간은 그렇게 그녀의 취향 속에서 조용히 흘러가고 있다.

덴스크에서 구입한 흔들의자와 달항아리 작품, 한지로 마감한 슬라이딩 창문에서 동양적 미감이 느껴진다.

벽에 걸린 회화는 김근종 작가의 작품.

조은숙 대표가 가장 애정하는 미국 가수 엘라 피츠제럴드의 음반과 미 부에노스 아이레스 큐에리도 음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