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천 복원 20주년을 기념해
청계광장에 새로운 공공미술이 자리했다.
청계천 복원 20주년을 맞아 청계광장에 세계적인 현대미술가 이수경 작가의 신작 <그곳에 있었다–청계천 2025>가 설치됐다.

작품은 청계천의 발원지인 북악산 두꺼비 바위를 본떠 제작한 돌 위에 금박을 입혀, 오래전부터 풍요와 번영을 상징해온 전설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다. 빛을 받아 반짝이는 금박은 청계천의 물결과 어우러져 도시 속에서 한국적인 정서를 마주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그간 청계광장을 대표해온 클래스 올덴버그의 <스프링>이 청계천의 상징이었다면, 이번 이수경 작가의 작품은 청계천을 대표하는 또 하나의 공공미술로 자리할 예정이다.

이수경 작가의 신작과 함께 청계천에는 신진 작가들의 작품도 자리했다. 장승태는 기억을 담은 의자를, 전영은은 촉각과 시각을 연결하는 점토 드로잉 <청계초록: 눈길 손길>을 선보였으며 임근영, 전재봉은 재생 금속을 활용한 작업 <청계유석>으로 자원의 순환을, 임정민은 새들의 순간을 포착한 작품 <청계천 조우>로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표현했다.
또한 11월 말까지는 시민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열린다. <스프링>의 조명 색을 바꾸거나 <그곳에 있었다>의 이야기를 공모하는 프로젝트, 파빌리온 상영회, 청계천 생태 탐방과 도슨트 프로그램, 해시태그 이벤트까지 다채로운 활동이 마련돼 예술과 시민이 함께 어우러지는 축제가 이어질 예정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