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 감각, 공간이 빚어낸 미식의 새로운 단면. 강릉 신라모노그램 호텔에 문을 연 이욱정 PD의
‘더 그로브 테이블’은 미식 너머의 문화적 경험을 선사한다.

높은 층고와 콘크리트 구조가 돋보이는 건물은 김용덕 대표가 설계했다.

환하게 웃고 있는 이욱정 대표.
미식 경험은 단순히 음식 맛이나 공간이 주는 분위기만으로 정의되지 않는다. 재료에 대한 집요한 탐구로 완성된 맛의 구조, 공간이 건네는 감각, 그 안에서 흐르는 시간의 밀도까지. 모든 요소가 교차할 때 감각은 쌓이고 경험은 비로소 완성된다. 수십 년간 요리 다큐멘터리 <요리인류>, <누들로드>, <신의 술방울> 등을 제작하고, 르 꼬르동 블루 런던으로 유학을 떠날 정도로 음식에 열과 성을 바쳐온 이욱정 PD가 미식 경험에 대한 집념을 실천에 옮겼다. 테라로사를 창립한 김용덕 공동대표와 함께 공간 기획 & 디자인 회사 마카랩을 설립하고, 강릉 신라모노그램 호텔에 복합미식 공간 ‘더 그로브 테이블’을 선보인 것이다. IFC몰을 기획한 안혜주 대표까지 합류해 완성한 더 그로브 테이블은 단순한 푸드홀이 아닌, 음식과 공간과 문화가 유기적으로 엮인 공간을 지향한다. “예전부터 공간에 대한 관심이 있었어요. 서울시와 함께 ‘요리를 통한 도시 재생 프로젝트’를 진행할 당시 런던, 파리 등의 대도시에서 버려진 공간이 푸드마켓이나 F&B 시설로 재탄생하는 과정을 취재한 적 있어요. 그것을 지켜보며 지역이 활성화되려면 F&B 시설이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었죠.” 입점한 레스토랑 또한 다양하게 구성되었다. 럭셔리 치킨 펍 ‘마 코코트’, 오마카세와 로바다야키를 즐길 수 있는 ‘스시 츠키요와’와 ‘갓포 츠키요와’, 정통 이탤리언 레스토랑 ‘버터빌라’, 타이 레스토랑 까폼을 고급화한 ‘까폼 리저브’, 퓨전 누들 전문점 ‘팔복정’, 미트컬처에서 파생한 해산물 다이닝 ‘피쉬컬처’, 와인바 ‘ATC’와 스페셜티 커피 전문점 ‘테라로사’, 그리고 이욱정 대표가 직접 운영하는 아이스크림 숍 ‘라이프이즈 소프트’까지, 전 세계 미식의 다양성을 한자리에 모았다. 직접 개발한 메뉴를 하나하나 설명하는 이욱정 대표의 모습에선 달뜬 설렘마저 느껴졌다. “아이스크림은 가장 창의적인 음식이라는 생각이 들어요. 먹을 때 사람을 행복하게 해준다는 의미로 가게의 이름을 지었어요.”

따뜻하고 편안한 분위기를 풍기는 라이프 이즈 소프트의 외관.

퓨전 누들 전문점 ‘팔복정’의 국밥과 수육.

‘버터빌라’의 피자는 직접 화덕에서 구워 내온다.

갤러리 같은 외관을 자랑하는 더 그로브 테이블 건물 모습.

아이스크림 숍 ‘라이프 이즈 소프트’에서는 강원도 제철 과일을 활용해 수제 아이스크림을 만든다.
기존 호텔 안의 F&B 시설이 투숙객을 위한 폐쇄적 공간이었다면, 더 그로브 테이블은 그 경계를 과감히 허문다. 오픈형 구조로 설계된 이곳은 호텔 투숙객은 물론 지역민과 관광객 누구에게나 열려 있다. 공간 중심에 배치된 중정을 둘러싸고 네 개의 건물이 유기적으로 연결되며, 각기 다른 동선과 분위기를 연출한다. 2층 한편에는 앤더슨씨 가구들이 큐레이션되어 공간에 온기를 더한다. 갤러리 형태의 외관과 노출 콘크리트 구조에 높은 층고를 가진 건물은 김용덕 대표의 손끝에서 탄생한 결과물이다. ‘도시는 건축으로 말한다’는 일념으로 건축적 완성도를 높이는 데 집중한 것이다. 공간에 문화적인 요소를 녹여내는 것 또한 이들의 숙제였다. 산과 바다가 밀접한 ‘휴양의 도시’ 강릉에서 공연을 즐기고, 축제 분위기를 만끽하게 하고 싶었다. “문화가 없으면 일반적인 푸드코트가 될 뿐이잖아요. 괜찮은 식음료를 팔면서 문화적인 체험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적인 요소를 구현하고 싶었어요. 마을 사람이 모여서 편안한 시간을 보내는 유럽의 광장처럼요.” 실제로 더 그로브 테이블은 전시, 공연, 토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을 통해 맛의 경험을 문화적 맥락으로 확장하고자 한다. 숲을 뜻하는 ‘그로브 Grove’에 식탁을 의미하는 ‘테이블’을 더해 완성된 이름처럼, 더 그로브 테이블은 숲속 광장, 사람들이 모여 앉아 감각을 나누며 일상의 풍경을 바꾸는 미식의 장이 되어갈 것이다. ADD 강원 강릉시 해안로 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