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ing with Rhythm

Living with Rhythm

Living with Rhythm

채도 높은 색감, 거침없는 패턴, 리듬을 따라 전개되는 장면들. ‘보여주는 집’을 넘어서 ‘살아보게 하는 집’으로 확장된 까사오넬라는
느린 박자라는 감각에 집중한 실험적 인테리어를 공개했다.

지중해의 리듬을 담은 거실 전경. 파지니 특유의 색 구성과 구조적 개방감이 공간을 관통한다. © Sara Soldano, 5VIE

아트 디렉터 마리아 비토리아 파지니. 까사오넬라 프로젝트의 기획자이자 공간의 스토리텔러다.

© Sara Soldano, 5VIE

거울, 그림, 조각 오브제가 뒤섞인 장면. 일상의 틈에 유머와 상상이 개입된다.© Isabella Magnani

벽을 따라 펼쳐지는 아치 구조는 공간의 리듬을 만드는 구조적 장치로 기능한다. © Isabella Magnani

매년 밀라노 디자인 위크에서 새로운 구성으로 소개되는 까사오넬라 Casaornella는 전시 공간이자 거주 개념을 실험하는 쇼하우스 프로젝트다. 아트 디렉터 마리아 비토리아 파지니 Maria Vittoria Paggini가 이끄는 이번 시즌 테마는 ‘Mediterranea – Andamento Lento’, 즉 ‘지중해’와 ‘느린 흐름’에 대한 이야기다. 그동안에는 디자인 위크 기간에만 문을 여는 일시적 공간이었다면, 올해부터는 성격이 조금 달라졌다. 까사오넬라는 이제 상설로 운영되며 끊임없이 변화하는 쇼하우스이자 디자인 실험의 플랫폼으로 확장된 것. 입구에 들어서면 녹색 세라믹 타일 바닥 위에 놓인 지오 폰티의 세면대, 마몰리의 수전, 그리고 이탈리아 타일 브랜드 퀸테센자 체라미케의 타일이 ‘물의 의식’이라는 인트로 장면을 만든다. 하얀 벽을 따라 이어지는 파란 프레스코 천장과 뾰족한 아치형 구조, 길게 드리운 거울 등 장식적으로 과하지 않으면서도 흐름을 조율하는 요소들로 채워져 있다. 욕실은 침실로 이어지는 하나의 전환 장면이 되고, 주방은 기능을 넘어 오감을 자극하는 실험실처럼 구성됐다. 무엇보다 눈에 띄는 건 파지니가 연출한 컬러의 리듬감이다. 짙은 블루의 하이글로시 키친, 동물 무늬 벽지와 붉은색 타일, 녹색 거울과 원색 오브제들이 반복적으로 등장하며 공간의 전체 분위기를 형성한다.

테라조, 벨벳, 스트라이프 등 서로 다른 감각이 충돌하며 작은 휴식처를 이룬다. © ISara Soldano, 5VIE

다채로운 재료와 텍스처의 충돌. 파지니의 공간은 예상 밖 조합에서 생동감을 얻는다. © ISara Soldano, 5VIE

레오파드 프린트와 원형 수납장이 시선을 사로잡는 조리 공간. © ISara Soldano, 5VIE

동물 프린트와 녹색 유리, 반사 패널이 뒤섞인 키친. © ISara Soldano, 5VIE

기하학적 조명과 테이블, 오브제가 어우러진 침실. © ISara Soldano, 5VIE

소프트하우스와 협업한 테이블과 오브제. 부드러운 조형성과 유쾌한 소재감이 중심이다. © ISara Soldano, 5VIE

하이글로시 블루의 키친 공간. 기능 중심의 구성 안에 유화 초상화가 이질적 리듬을 만든다. © Isabella Magnani

스트라이프 벽지와 공간의 중심에서 시선을 이끄는 회화 작품이 인상적인 욕실. © Isabella Magnani

까사오넬라에는 두 개의 주방이 공존한다. 하나는 거실과 이어지는 장식적 성격의 키친으로서 애니멀 프린트 벽지와 대리석 상판에 글로시한 소재들이 조화를 이룬다. 다른 하나는 실용적인 블루 톤의 주방으로서, KWC 수전과 셰프 니코 로미토가 개발한 식재료 라인이 함께 구성된 조리 공간의 기능을 보여준다. 파지니는 이번 전시에서 이탈리아 가구 브랜드 소프트하우스와 협업한 가구도 다수 선보였다. 곡선 실루엣이 특징인 침대 로미오를 비롯해 유리 테이블, 우드 수납장, 플루티드 미러를 적용한 대형 식탁 등 다양한 오브제가 기능성과 시각적 완성도를 동시에 갖추고 있다. 이 프로젝트의 중심은 ‘살라 콘비비오 Sala Convivio’라는 식사 공간이다. 뾰족한 아치 형태의 조형적 구조물이 공간을 분절하면서도 시선을 유도하고, 퀸테센자 체라미케의 타일이 이를 감싸며 리듬을 만들어낸다. 중앙에는 널찍한 테이블이 놓여 있고, 그 위에는 감귤과 채소, 셰프 니코 로미토의 유리 과일 오브제가 함께 연출되어 지중해의 계절감과 식문화를 보여준다. 주변에는 스트라이프 벽면, 빈티지 그림, 세라믹으로 만든 수영복 오브제, 그리고 다양한 공예품이 믹스매치되어 위트 있는 분위기를 더한다. 낯선 재료, 평범하지 않은 오브제, 기능과 장식 사이를 오가는 가구와 구조물로 하여금 일상적인 집 풍경을 색다르게 해석한 까사오넬라. 이 집이 궁극적으로 제안하는 것은 완벽히 새로운 삶의 방식이라기보다는, 익숙한 공간 안에서 감각을 천천히 환기시키는 방식이다. 마리아 비토리아 파지니가 전하고자 한 메시지는 명확하다. ‘지금, 우리는 조금 더 느린 박자가 필요하다’.

CREDIT

에디터

TAGS
Box of Light

Box of Light

Box of Light

데커레이터 마리 위질은 생제르맹 섬에 있는 자신의 집에 빛을 듬뿍 담았다. 빛을 담아내는 통창은
풍성한 정원을 주인공으로 만든다. 캘리포니아 스타일로 리노베이션한 이 집은 흰색이 주를 이루면서
산뜻한 핑크와 빈티지 가구가 포인트를 이룬다.

거실(60㎡)은 빛으로 가득하다. 에로 샤리넨 Eero Saarinen이 디자인한 테이블은 놀 Knoll, 벼룩시장에서 구입. 꽃병과 볼은 AMPM. 주문 제작한 벤치의 시트는 피에르 프레이 Pierre Frey의 패브릭으로 커버링했다. 쿠션은 메종드 바캉스 Maison de Vacances. 의자는 생투앙 Saint-Ouen의 메종존 스튜디오 Maisonjaune Studio에서 구입. 라디에이터는 아코바 Acova. 오른쪽에 있는 꽃병 두 개는 AMPM. 왼쪽 흰색 촛대는 H&M 홈 H&M Home. 조명은 생투앙의 벼룩시장에서 구입. 태피스트리는 마라케시의 수피안 자리브 Soufiane Zarib에서 찾아냈다. 미국 모텔 사진은 생 시르 Saint Cyr의 포스틴 코르네트 Fuastine Cornette, 두 개의 흑백 사진은 세바스티앙 그레비유 Sebastien Grebille 작품.

녹음이 우거진 정원이 보이는 거실에서는 휴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암체어 ‘브라질리아 Brasilia’는 슈마이더 Schmieder. 낮은 테이블은 생투앙 벼룩시장의 라베르제르-보방 Labergere-Vauban에서 구입. 테이블 위에 있는 페이퍼 마셰 꽃병은 세락스 Serax. 금색 접시는 자라 홈. 촛대는 모로코에서 구입. 태피스트리는 생투앙 벼룩시장의 스테파니 폴 Stephanie Pol에서 구입. 바이닐 플레이어는 벼룩시장에서 구입. 안쪽의 꽃병은 AMPM.

거실 창가 앞 암체어에 앉은 인테리어 데커레이터 마리 위질.

“우리는 분명 섬사람의 영혼을 지닌 것 같아요!” 데커레이터 마리 위질이 웃으며 말한다. 뇌이쉬르센의 자트 섬에 살던 마리와 그의 남편은 생제르맹 섬에 있는 이 집을 ‘우연히’ 방문하게 됐다. “원래 다른 집을 보러 가려 했어요. 그런데 그 집이 갑자기 팔려버렸고, 부동산 중개인이 사진도 보여주지 않은 채 우리를 이 집으로 데려온 거죠.” 처음엔 전혀 마음에 들지 않았다. 하지만 이상하게도 좋은 예감이 들었다. “어떤 스타일도 없고, 생기도 없었어요.” 마리는 리노베이션을 시작하면서 먼저 모든 벽을 허물었다. 1층은 정원과 맞닿은 통창으로 설치해 탁 트인 거실을 만들었고, 2층에는 부부의 침실과 드레스룸, 서재를 배치했다. 층은 두 아이만의 공간이다. 이 집의 메인 컬러는 핑크. 마리에게는 여행을 떠나는 듯한 기분을 주는 편안한 색이다. “핑크색을 좋아해요. 흔히 ‘소녀스러운’ 색이라고 하지만, 사실은 빛이 가득한 색이죠.” 그는 단색을 좋아하지 않아서 벽 페인트, 폴리싱 콘크리트, 주방의 젤리주 타일, 침실의 맞춤 벽지 등으로 미묘한 변화를 주었다. 직접 디자인한 짙은 나무 프레임의 창은 빈티지 가구와 조화를 이루며 공간에 깊이를 더했다. “이런 대비가 공간에 리듬을 만들어줘요!” 마리는 정원에도 캘리포니아 감성을 불어넣고 싶었다. 이국적인 정원은 친구이자 조경가인 파비앙 코몽의 도움으로 완성됐다. “파리에서 태어나 자란 우리는 늘 바닷가에서의 삶을 꿈꿔요.” 이 집이 파리 초입에 있다는 것이 믿기지 않을 정도다. 오히려 로스앤젤레스의 언덕 어딘가에 있는 집처럼 느껴진다.

“주방은 완전히 핑크 박스예요. 정말 제 스타일이죠!” 소목장이 제작한 주방 가구가 젤리주 타일(카레망 빅투아르 Carrement Victoire)을 돋보이게 만든다. 아일랜드 위에 있는 샐러드 그릇과 접시는 마르세이유의 지지 라 팜 도르 Jiji La Palme d’Or에서 구입. 유리잔은 자라 홈 Zara Home. 후드와 가스레인지는 스메그 Smeg. 빈티지 타부레 ‘바 스툴 Bar Stool’은 노만 셔너 Norman Cherner 디자인. 펜던트 조명 ‘인 더 튜브 In the Tube’는 DCW 에디션스 DCW Editions. 페인트 ‘팔라스 Palace’는 메르카디에 Mercadier.

계단에 칠한 핑크색 페인트 ‘팔라스’는 메르카디에. 조명은 메종 사라 라부안 Maison Sarah Lavoine. 스위치는 폰티니 Fontini. 달 베라 Dal Vera의 빈티지 의자는 생투앙 벼룩시장에서 구입.

마리는 샤워실과 드레스룸을 구분하기 위해 떡갈나무 창을 설치했다. 드레스룸에는 독서 공간을 마련했다. 우발드 클루그 Ubald Klug가 디자인한 카나페 ‘데 세데 De Sede’는 테라자 Terrazza, 생투앙의 메종존 스튜디오에서 구입. 쿠션은 피에르 프레이. 펜던트 조명 ‘PH5’는 루이스폴센 Louis Poulsen, 볼텍스 Voltex에서 구입.

도미니크 부이옹 Dominique Bouillon에서 맞춤 제작한 벽지로 마감한 부부 침실은 언제나 봄 분위기. 베개 커버와 침대보 ‘블뢰 오스트랄 Bleu Austral’은 쿨뢰르 샹브르 Couleur Chanvre. 파란색 쿠션과 핑크색 양모 담요는 메종 드 바캉스. 인도 담요는 심란 Simrane. 침대 옆 테이블은 라 푸아르 드 샤투 La Foire de Chatou에서 구입. 벽등은 DCW 에디션스. 바닥에 마감한 폴리싱 콘크리트 ‘몽 비트리에 Mon Vitrier’는 메르카디에.

마리는 2층 벽을 모두 터서 침실과 욕실도 벽 없이 연결했다. 주철 욕조는 르봉쿠앵 Leboncoin에서 구입. 타부레 ‘비숍 Bishop’은 인디아 마다비 India Mahdavi. 욕실 가구는 주문 제작. 세라믹 세면볼은 토스칸 에 트라디시옹 Toscane et Tradition. 수전은 네브 Neve, 아키배스 Archibath에서 구입. 거울은 카라반 Caravane. 벽등 ‘인투 더 선 Into the Sun’은 DCW 에디션스. 세르주 갱스부르 사진은 옐로코너 YellowKorner. 각각 벽과 바닥에 마감한 폴리싱 콘크리트 ‘팔라스’와 ‘몽 비트리에’는 메르카디에.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얀 드레 Yann Deret

TAGS
A Whisper of Purity

A Whisper of Purity

A Whisper of Purity

인테리어를 사랑하는 안나 피오렌티노는 낭트의 3층 집을 배경으로 웰빙에 대한 자신의 비전을 조용히 들려준다. 절제된 아름다움,
유기적인 형태, 자연 소재 등이 밝고 부드러운 색감 안에서 조화를 이루며 공간에 생기를 불어넣는다.

안나가 반려견 뤼시앙과 함께 계단에 서 있다. 바닥과 계단은 미니멀하고 밝은 인테리어를 위해 폴리싱 콘크리트로 새로 마감했다. 타부레 ‘올리 Oly’는 누마.

“나무를 좋아해요. 어떤 공간이든 따뜻하게 해주거든요!” 식탁은 포르투갈의 파프 팩토리 Paf Factory에서 주문 제작. 꽃병과 아프리카 바구니(오른쪽)는 낭트의 부아이아주 데코 갤러리 Voyages Deco Gallery. 촛대는 모로코에서 가져왔다. 볼은 자라 홈 Zara Home. 의자 ‘아르카드 Arcade’는 NV 갤러리 NV Gallery. 펜던트 조명은 아이 일뤼미나트 Ay Illuminate. 그림은 팬시 Fancy. 커튼은 AMPM.

이 집의 메인 공간인 넓은 주방에는 가족과 친구들이 모인다. 떡갈나무 주방 가구와 합판 조리대는 베네타 쿠치네 Veneta Cucine. 수전은 브라다노 Bradano. 가운데 아일랜드에 있는 검은색 샐러드 그릇은 잔지바르 Zanzibar에서 가져왔다. 나무 화분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유리잔과 꽃병은 카사 Casa. 창 앞에 있는 촛대는 낭트의 부아이아주 데코 갤러리. 조명은 세락스 Serax. 페이퍼 마셰 볼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오븐은 네프 Neff. 펜던트 조명은 웨스트윙 Westwing.

단순한 집이 아니라, 그 이상의 선언 같은 공간이다. 인테리어에 열정이 많은 라이프스타일 인플루언서 안나는 ‘아무도 원하지 않는 공간’을 바꾸는 걸 좋아한다. 그가 낭트에 마련한 3층짜리 새 집에 소박한 취향을 반영한 건 어쩌면 당연한 일이다. 10년도 안 되어 벌써 네 번째 리노베이션이다. “집을 작업 공간으로 만들었어요. 촬영 배경이면서, 일종의 쇼윈도 같은 거죠!” 남편 마르탱과 함께 구입한 이 1970년대 건물은 이미 전 주인이 전체 리노베이션을 마쳐놓은 상태였다. “공간 구조는 그대로 두고, 인테리어만 다시 만졌어요.” 유일하게 바꾼 부분은 바닥과 계단, 그리고 곡선으로 디자인한 벽난로인데, 모두 폴리싱 콘크리트로 마감했다. 모노 톤 공간에 황백색과 다양한 베이지 톤을 중심으로, ‘자유로운 감성을 지키기 위해’ 일부러 가구는 거의 두지 않았다. 질감이 있는 양모와 실크 카펫과 나무가 미니멀한 스타일에 온기를 더한다. 가구와 오브제는 가까운 숍이나 갤러리, 장인에게서 하나하나 고른 것이고, 다이닝룸 테이블처럼 몇몇은 주문 제작했다. 각각의 요소들이 모여 일상의 웰빙을 위한 유기적인 분위기를 완성한다. “맨발로 생활하는 걸 좋아해요.” 단순함이 이 집의 따뜻함을 더해준다.

아주 편안한 식사 공간. 주문 제작한 벤치에는 몽디알 티쉬 Mondial Tissus의 리넨과 벨벳으로 된 시트와 쿠션을 놓았다. 테이블 ‘서클 Circle’은 메종 뒤 몽드 Maison du Monde. 그 위에 있는 접시와 유리잔은 카사. 병은 마라케시의 시장에서 가져왔다. 의자 ‘바베트 Babette’는 르로이 메를랭 Leroy Merlin. 창 앞의 조명은 세락스.

멋진 벽난로가 있는 거실. 안나가 곡선으로 디자인한 벽난로가 거실의 주인공이다. 벽난로는 칼파이어 Kalfire. 카나페 ‘오스테르 Auster’는 NV 갤러리. 단색 쿠션과 담요는 메종 드 바캉스 Maison de Vacances. 쿠션 ‘발로리스 Vallauris’는 엘리티스 Elitis. 푸프와 태피스트리는 낭트의 부아이아주 데코 갤러리. 낮은 테이블은 낭트의 셉템버 콘셉트 스토어 September Concept Store. 그 위에 있는 그릇은 낭트의 부아이아주 데코 갤러리. 금색 접시는 카라반 Caravane.

단색 침실에는 샤를로트 비르폴레 Charlotte Virfolet의 그림과 쿠션(금색은 엘리티스, 브론즈색은 메종 드 바캉스), 줄무늬 베개 커버(리베코 Libeco)로 컬러를 더했다. 담요는 메종 드 바캉스. 꽃병과 조명은 낭트의 부아이아주 데코 갤러리.

가구는 주문 제작. 세면볼 ‘슈이 Shui’는 세라미카 시엘로 Ceramica Cielo. 거울은 AMPM. 녹색 꽃병은 벼룩시장에서 구입.

순백의 욕실이 빛으로 물들어 있다. 욕조는 포르셀라노사 Porcelanosa. 수전은 허드슨 리드 Hudson Reed. 수건은 아오미 Haomy.

침실의 독서 공간. 암체어 ‘알바 Alba’는 오노레 데코라시옹 Honore Decoration. 낮은 테이블 ‘루이 Looi’는 누마. 종이 꽃병은 세락스. 초는 낭트의 부아이아주 데코 갤러리. 거울은 AYTM. 둥근 테이블과 금색 테이블 램프는 AMPM. 카펫은 생 마클루 Saint Maclou.

CREDIT

에디터

포토그래퍼

세실 페리네 레르미트 Cecile Perrinet Lhermitte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