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 심심찮게 OTT 서비스를 비교하는 글이 올라온다. 거기에 적힌 넷플릭스 평 중 풍요 속의 빈곤이라는 말에 심히 공감한 바 있었는데, 유독 눈이 가는 코멘트가 또 있었다. 국내 OTT 서비스 왓챠를 두고 ‘이 영화가 있다고?’ 라는 평이었다. 간혹 왓챠를 둘러보다 보면 월척이라도 낚은 듯 정말 괜찮은 작품이 더러 보인다. 장 뤽 고다르 감독의 <미치광이 삐에로(1965)>는 가장 최근에 열람한 영화다. 학부생 때 리포트를 쓰기 위해 처음 봤던 작품인데, 예술 영화와 오래된 영화를 꺼리는 이들이 말하는 이유를 모두 쏟아넣은 영화다. 다만, 주변인들에게 이 영화를 꼭 한 번쯤 권하는데, 영업(?)할 때면 대사가 기가 막히다는 말을 꼭 한다. 연인이었던 페르디낭과 마리안이 나누는 장면의 대사 “당신은 나에게 단어로 말하고, 나는 당신을 느낌으로 바라보니까요”는 다시금 영화를 보더라도 잠시 정지 버튼을 누르게 만든다. 드라마틱한 내면 서사도 매력적인데, 사랑에서 혐오로 그리고 자멸로 이어지는 감정의 시퀀스는 지금의 영화와 비교해도 단연 걸출하다. 이미지적으로도 눈이 즐거운 색과 장면이 계속된다. 페르디낭을 피에로라 부르는 마리안의 말처럼 정말 퍼런 분장을 덕지덕지 얼굴에 바르고 목에 다이너마이트를 두르는 그의 모습은 아름다워서 더욱 처연하니 말이다. 영화를 보고 나서 여운이 가시지 않아 홀린 듯 왓챠를 디깅해 연신 보고 싶어요 버튼을 눌러댔다. 이번 추석도 영화와 함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