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5년의 브랜드 역사는 곧 영감의 원천이라는 포르쉐의 디자인 철학을 소개한다.

포르쉐 브랜드 최초의 스포츠카 ‘356’과 그것을 오마주한 ‘비전 357’의 모습.
지난 4월 9일, 열흘간 킨텍스를 뜨겁게 달군 2023 서울모빌리티쇼가 성공리에 막을 내렸다. 전 세계 12개국, 163개 기업이 참가하고 약 51만 명의 관람객이 찾은 이번 페어의 하이라이트는 단연 포르쉐 부스. 창립 75주년을 맞이한 포르쉐가 아시아 최초로 ‘비전 Vision 357 콘셉트’ 모델을 국내에 공개했기 때문이다. 올해 1월 독일에서 처음으로 공개한 ‘비전 357’에 많은 이가 열광한 이유는 하나다. 1948년 포르쉐라는 이름을 단 첫 스포츠카 ‘356’ 모델을 오마주했기 때문. 포르쉐의 창립자 페리 포르쉐가 “내가 꿈꾸던 차를 찾을 수 없어 직접 만들기로 결심했다”는 바로 그 차다. 포르쉐 356은 미드십 엔진(자동차의 앞바퀴와 뒷바퀴 사이에 엔진이 위치)을 갖춘 2인승 차량으로 이후 약간의 수정을 거쳐 1965년까지 7만8,000여 대를 생산했으며, 디자인 아이콘인 포르쉐 911의 뿌리가 된 모델. 오래전 단종된 이 모델을 75년이 지나 굳이 들춰낸 이유가 무엇이냐 묻는다면, 포르쉐가 추앙하는 디자인 헤리티지에 대해 알아볼 차례다.

1948년 첫선을 보인 포르쉐 356의 당시 사진.

독일 본사에서 근무 중인 정우성 시니어 익스테리어 디자이너.
현재 포르쉐에서 생산되는 모든 차의 디자인은 독일 슈투트가르트 R&D 센터에 자리한 스타일 포르쉐 Style Porsche 팀에서부터 시작된다. 열 명이 채 되지 않는 익스테리어 디자이너들은 포르쉐가 75년간 쌓아온 디자인에서 미래의 디자인을 발견하고 새로움을 창조한다. 포르쉐는 스포츠카 브랜드 가운데서도 고집스러운 디자인 DNA를 고수하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브랜드 충성도가 높은 이유이기도 하다). 새로운 모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도 차폭과 넓이의 비례, 급격하게 경사진 루프 라인, 펜더보다 낮은 보닛, 코의 높이, V자형 리어 글라스, 운전자 중심의 레이아웃, 낮은 시트 포지션 등 익스테리어와 인테리어 모든 방면에서 ‘포르쉐를 누가 봐도 포르쉐처럼’ 보이게 만드는 아이덴티티를 반드시 준수하며, 이후 경쟁사들의 디자인, 개발 비용, 기술, 국가별 법규 등을 세세히 따져 세부적인 디자인 요소를 통해 각각의 개성을 불어넣는 것. 신차 기획부터 실제 양산까지는 대략 4년의 시간이 소요되는데, 디자인 과정은 크게 아이디어 스케치 과정인 아이디에이션 Ideation과 아이디어를 구체화하는 데피니션 Definition, 프로덕션 Production으로 나뉜다. 모든 과정에서는 VR과 3D 프린팅, 클레이 모델링 과정을 통해 시각화하며 세부적으로 끊임없이 조율해 나간다.

‘비전 357’의 스케치 모습.

스타일 포르쉐팀은 75년 역사의 디자인 아이덴티티를 무엇보다 중시 여긴다.
“미래형 컨셉트카를 위해 우리의 전통을 돌아보는 것은 생각보다 역설적이지 않습니다. 헤리티지를 통해 오히려 풍부한 영감을 얻을 수 있거든요. 정체성이 분명하면서도 각기 다른 개성이 묻어나는 디자인을 할 수 있습니다.” 본사 최초 한국인 디자이너로 주목받은 정우성 시니어 익스테리어 디자이너가 최근 방한해 베일에 싸여 있던 양산차 모델 개발 프로세스를 간략하게 소개하며 밝힌 소감이다. 본사의 디자이너가 직접 내한해 업무를 소개하는 일은 전례 없던 행보. 그만큼 포르쉐가 디자인 헤리티지를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 아닐까 싶다. 100주년을 맞이할 2048년에도 포르쉐는 여전히 전통과 혁신 사이에서 포르쉐다운 포르쉐를 디자인하고 있을 것이다.

창립 75주년을 기념해 독일 슈투트가르트에서 열린 특별 전시회. 포르쉐의 역대 자동차들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었다.
자료제공: 포르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