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인테리어 디자이너 이혜인과 크리에이터 두 명이 함께 사용하는
연희동 작업실은 일하며 머무는 곳, 그 경계가 없이 하루를
살아가는 공간이다. 고정되지 않은 배치, 느슨한 구조, 취향이
스며든 가구 사이로 각자의 리듬이 조용히 흐른다.

어두운 목재 기둥과 천장에 그은 선이 드라마틱한 공간감을 선사한다.

이혜인 디자이너가 애정하던 가구들로 꾸민 휴식 공간.

작업실을 공유하는 (왼쪽부터) 김영경 아트디렉터, 배민아 작가, 이혜인 디자이너. 작업실을 든든히 지키는 반려견 ‘버드’도 빼놓을 수 없다.

서울 연희동 오래된 주택 1층. 외부에선 상상하기 어렵지만, 문을 열고 들어서는 순간 그곳은 집이자 사무실, 혹은 작은 갤러리처럼 느껴진다. 1960년대 지어진 이 건물은 이혜인 인테리어 디자이너가 친구인 금속공예 작가 배민아, 아트디렉터 김영경과 함께 쉐어하고 있는 공간이다. 이들은 2023년부터 함께 지내게 되었는데, 시작은 조금 특별했다. 반려견 ‘버드’를 산책시키다 건물주를 만나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이사까지 이어졌다. 그렇게 동네의 ‘낡은 주택’은 지금의 ‘살고 싶은 사무실’로 변신했다. 이 사무실은 일반적인 오피스와는 거리가 멀다. 고정된 책상이 없고, 벽도 없다. 대신 천장에는 라인을 그었다. 기둥을 따라 이어지는 선은 구조적인 역할뿐 아니라 공간을 나누는 ‘무언의 경계’로 작동한다. 벽 대신 라인을, 문 대신 시퀀스를 만든 셈이다. “공간 안에 답답한 구조를 만들고 싶지 않았어요. 그래서 기둥을 활용해 공간을 여섯 개로 나눴고, 중앙 기둥에는 거울을 감쌌죠. 반사된 선들이 이어지면서 전체 공간이 확장되는 느낌이 들거든요.” 오래전부터 해보고 싶은 아이디어였지만, 클라이언트를 설득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래서 ‘내 공간에서 한번 해보자’는 마음으로 시도했다. 스튜디오에는 이혜인 디자이너의 취향이 곳곳에 스며 있다. 신발장이 있던 자리는 문을 떼내고 책장으로 바꾸었고, 자동문이 있던 입구에는 스리랑카 스타일의 시그니처 문이 들어섰다. 오래된 나무 창틀과 알루미늄 샤시 역시 그대로 살렸다. 이질감보다는 묘하게 잘 어울린다. 또한 스튜디오 곳곳에는 디자이너가 오랫동안 모아온 가구가 놓여 있다. 제각기 다른 의자가 모여 있는 큰 테이블은 정사각형 테이블을 연결한 것인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조합이 가능하다. 소파는 계절이나 기분에 따라 창가 쪽으로 옮겨지기도 한다. 배치는 자주 바뀌고, 그 과정 자체를 즐긴다. 일반 사무실의 단점 중 하나는 환경을 쉽게 바꿀 수 없다는 것 아닐까 싶다. 이곳은 배치를 바꾸는 일에서부터 스스로 재미를 느끼고 있다. 조명 선택도 흥미롭다. 이전에 로스팅 창고로 사용한 흔적처럼 벽 한쪽엔 커다란 환 기구가 있었고, 이를 감추기 위해 일부러 벽을 돌출시켜 벽등을 설치했다. “7~8년 전부터 집에 묵혀둔 조명이었어요. 구조상 한국에서 잘 쓰이지 않는 형식인데, 드디어 이번 기회에 사용하게 되었죠.”

세 친구의 작업물이 고루 모여 있는 작업실.

휴식 공간에 앉아 바라본 작업실 전경. 작업실을 가로지르는 커다란 테이블에는 이혜인 디자이너가 수집한 제각기 다른 의자들이 모여 있다.

사무 공간이면서도 일상의 휴식이 가능한 이곳은 일하는 방식, 공간을 바라보는 시선, 그리고 ‘일과 삶의 균형’에 대한 새로운 상상이 가능하게 한다. 날마다 바뀌는 가구 위치, 자연광이 닿는 테이블, 마당을 향한 창가. 이 모두 이들이 꾸려나가는 유연한 리듬의 일부다. 그저 예쁘게 잘 꾸며진 오피스가 아니라 ‘함께 살아가는 공간’으로 와닿은 느낌, 그게 이 공간이 주는 진짜 매력이다.

테이블 위 작은 오브제, 선반 위 작품들은 오랜 시간 이혜인 디자이너가 수집해온 애장품이다.

빈티지 행거를 뒤집어 조형적인 오브제로 연출했다.

김영경 아트디렉터 책상에서 바라본 모습. 세 사람의 책상이 같은 방향을 보며 나란히 놓여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