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누군가 만나면 진탕 마실 테고, 집에 가봤자 뻔하게 마시겠지.

 

에디터 추천 호텔바

 

적당히 근사하게 취하고 싶었던 7월의 밤, 호텔 깊숙이 숨겨진 바의 문을 슬그머니 열고 들어섰다. 쿠바? 멕시코? 여하튼 그 언저리 어딘가에 도달한 듯, 고막이 터질 것처럼 강렬한 열대의 음악이 귓가를 때렸다. 앞과 뒤가 깊게 파인 옷을 입고 진한 립스틱을 바른 여자들. 그리고 오직 그 여자만이 세상의 전부인 듯한 몸짓으로 술잔을 기울이는 남자들. 노란색 조명 아래 반짝이는 그들을 은밀히 감상하며 싱가폴슬링을 주문했다. “날씨랑 무척 잘 어울리는 술이죠? 덥고, 습하고. 마치 싱가폴 같잖아요.” 찰스 H(02-6388-5000)의 윤태은 바텐더가 싱그러운 웃음을 날리며 말했다. 롱 글라스에 담긴 세 개의 투명한 얼음 사이로 옅은 주홍빛의 액체가 미끄러지듯 흘러내렸다. 와인도 아닌데 괜히 잔을 흔들어보고, 빛에 비추며 법석을 떨었다. 참 신기하다. 고작 한 잔인데, 그 안에는 생각하는 여름의 맛이 모조리 들어 있었다. 파인애플 주스, 라임과 체리, 오렌지 리큐르, 베네딕틴…. 본래 칵테일은 2~3개의 베이스를 기본으로 하기 마련이지만, 싱가폴슬링은 꽤나 많은 술이 섞인다. 그럼에도 무척 맛있다. 1915년에 싱가포르 래플즈 Raffles 호텔에서 만들어졌다느니, 롱바의 바닥에는 사람들이 먹고 버린 땅콩 껍질이 산더미처럼 쌓여 있다느니, 그리고 그 껍질이 액운을 막아주는 의미가 있다느니. 술을 마시며 바텐더에게 듣는, 칵테일에 대한 여담을 듣다 보니 여흥은 쉽사리 달아올랐다. “여기, 몇번 오시지 않았어요?” 한 잔이 두 잔, 두 잔이 세 잔쯤 되었을 때 지나가던 바텐더가 친절한 미소로 물었다. 그냥 그런 척. 슬쩍 웃으며 애매하게 고개를 흔들었다. 괜히 노련한 척 보이고 싶었던 걸까. 어쩌면 여느 주당들은 싱가폴슬링이 술이냐며 비웃을지도 모르겠으나, 에이. 여름이니까. 핑계대기도 참 좋은 계절이다. 싱가폴슬링이 아니라면 다이퀴리나 사우스사이드피즈, 마이타이 같은 것들은 어떨까. 여름의 칵테일이라면 무엇이든 좋다. 잠도 오지 않는 불면의 밤, 약간의 알코올은 필요한 법이니.

Inserted new record. Affected rows: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