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요한 고택에 스며든 바람, 그리고 섬유에 새겨진 자연의 기억.
무형문화재 안동포 마을인 금소의 풍경과 삼베실에 깃든 애환이 전통 한옥과 자연의 조화 속에서 다시금 살아난다.
역사를 빚는 손
안동의 대마섬유를 다루는 어르신들의 손에는 세월의 흔적이 깊이 새겨져 있다.
그 손길은 자연과 하나되어 대마를 섬유로 엮어내고, 그 속에서 전통을 이어간다.
주름진 손바닥과 손끝에서 전해지는 따스함은 대마섬유에 스며들어 안동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예술작품으로 새롭게 태어난다.
금소 마을 봇도랑 물길에 사는 버들치
봇도랑을 따라 흐르는 물길에는 작은 생명들이 어우러져 살아간다. 삼베를 짜는 재료인 개추리를 꼬리에 달고 버들치가 물 아래에서 춤추듯 노닌다.
안동포 마을의 소소하고도 아름다운 일상은 이 물길을 따라 번지고 물속의 작은 존재들은 그 속에 빛나는 생명을 이어간다.
고요한 바람
금소 마을의 한적한 재배지에서 자라난 헴프는 그 자체로 한 폭의 그림이 되었다.
바람에 나부끼는 이파리는 시골의 고즈넉함을 닮아 한없이 유연하다.
안동 한지로 고택의 벽면을 감싸고 개추리로 재현된 밭은 농촌의 정겨운 풍경을 담아낸다.
금곡재 하얀 제비 떼
금소 마을의 고택에 하얀 제비 떼가 날아들어 바람을 타고 유영한다. 섬유로 만든 제비들은 마치 살아 있는 것처럼 한없이 자유로이 한옥의 기둥 사이를 누빈다.
바람이 불어올 때마다 날개를 퍼덕이며 고택의 시간과 공간을 넘나든다.
아직 닿지 못한 꿈
무거운 도시의 압박을 벗어나 구름처럼 가볍고 자유로운 존재가 되고픈 소망을 담은 백아란 작가의 ‘입지 못할 옷’ 시리즈.
현실과 꿈의 경계에서 부유하는 듯한 이 작업은 마음의 해방을 갈망하는 현대인의 내면을 섬세하게 드러낸다.
당겨지는 인연
세상은 넓지만, 사실 우리는 좁은 공간 속에서 무언가를 끊임없이 잡고 당기며 붙들고 살아간다.
우리 삶의 여러 가지 복잡한 감정과 상황을 표현한 작품. 서로 얽히고설킨 섬유는 우리가 살아가는 복잡한 세계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