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쪽을 비추다’라는 자신의 이름처럼 조영동 셰프는 동아시아의 미식을 자신만의 시선으로 비춘다.
동양의 문화와 서양의 테크닉이 교차하는 경계 위에서 쌓여가는 이스트만의 언어.

시그니처 메뉴인 갈비 스톤. 도넛 형태의 디시 안에는 잘게 찢은 갈비가 블루치즈와 곁들여졌다.

칼 같이 정렬된 테이블 세팅을 자랑하는 이스트 매장 전경.

이스트의 조영동 셰프.
세계 미식 시장에서 가장 권위 있는 지표로 꼽히는 미쉐린 스타를 받는 것은 모든 셰프의 꿈이겠지만, 이스트의 조영동 셰프에겐 특히 더 그랬다. 지난해 2월 미쉐린 가이드에 처음으로 레스토랑의 이름을 등재하며 목표에 가까워지던 그가 결국 올해 초 드디어 첫 스타를 거머쥐었다. 2022년 11월 처음 레스토랑을 오픈하고서 약 2년 만에 이룬 성과지만, 조영동 셰프에겐 결코 짧지 않은 시간이었다. 코로나19로 인해 외식업계가 어려운 시기에 문을 연 만큼 불안정했던 것이다. 그로부터 2년 뒤 ‘미쉐린 가이드 서울 & 부산 2025’이 발표되던 날, 이스트의 이름이 호명되던 순간은 아직도 그에게 생생하다. “무대에서 내려오자마자 예약 알림이 계속 떴어요. 하루에 서너 건 정도 들어오던 예약이 3일 만에 한 달치가 차버렸죠.” 함께 고생해 팀원들과 나누는 기쁨은 남달랐다. 조영동 셰프에게 미쉐린 스타는 단순한 훈장이 아니었다. 요리를 시작할 때부터 품어온 목표이자, 동료들에게 ‘함께 해낼 수 있다’는 자긍심을 안겨주고 싶던 상징이었다.
조영동 셰프가 요리를 처음 시작한 것은 23세. 컴퓨터 전공이 적성에 맞지 않는다고 생각할 무렵, 요리의 재미를 깨달았다. 전공을 호텔조리학과로 바꾸고, 졸업 후 호주의 모모푸쿠 세이보와 덴마크의 108에서 셰프 경력을 쌓았다. 호주 레스토랑에서 유일한 동양인으로, 덴마크 키친에서 유럽 셰프들과 함께하며 느낀 문화적 거리감은 오히려 그에게 무기가 되었다. 동아시아 음식 문화 전반을 아우르되, 특정 국가에 고정되지 않은 자신만의 ‘동양적 현대성’을 구축하기 시작했다. 퓨전이라기보다는 재료의 전통성과 조리법의 현대성이 교차하는 지점을 찾아내는 방식으로 말이다. “서양 테크닉에 동양 문화를 얹으면, 저만이 할 수 있는 새로운 장르를 탄생시킬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그렇게 이스트는 ‘동아시아의 현대적 표현’이라는 뚜렷한 방향을 갖게 되었다.

가브리살, 알등심, 새우살을 하나로 결합한 것이 특징인 제주 흑돼지 요리.

영덕 대게로 속을 채운 두부 요리는 캐비아와 아귀 간이 함께 곁들여진다.

분주하게 작업하고 있는 조영동 셰프와 이스트의 스태프들.
메뉴에는 하나의 국적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복합적인 구성과 철학이 담겨 있다. 시그니처 메뉴인 ‘갈비 스톤’은 가장 한식스러운 메뉴인데, 저온 조리한 갈비에 블루치즈의 쿰쿰한 맛이 조화를 이루는 도넛이다. 차완무시 요리는 일본식 달걀찜을 바탕으로 대만의 우롱차와 닭, 생강으로 만든 소스를 더해 풍미를 살렸다. 그 위의 전복은 다시마와 중국 소흥주로 찌는 방식으로 향을 입혔고, 구기자 열매와 파래 무침을 올렸다. 메인 디시는 제주 흑돼지의 세 부위인 가브리살, 알등심, 새우살을 하나로 결합해낸 요리다. 특이점이 있다면 유럽산 이베리코 대신 한국산 흑돼지로 요리를 선보였다는 점이다. 또 다른 메뉴인 두부 요리 또한 경남 진주의 백태콩을 이용해 만들었다. 한국에서 요리하는 만큼, 한국의 재료로 맛을 내고 싶다는 소신에서 비롯된 선택이었다. 메뉴 구성에는 일관된 기준이 있다. “다른 곳에서는 볼 수 없는 요리를 하고 싶어요.” 상하이의 마장면, 화자오 향이 가미된 대만의 수프 등 여행지에서 받은 인상이 재료의 조합과 조리법으로 이어진다. 조영동 셰프의 레시피는 언제나 현실과 경험에서 출발하고, 여행을 포함한 모든 일상에서 영감을 받는다. 이스트의 와인 페어링 역시 독특하다. 소믈리에인 박건우 매니저는 요리사 출신으로서, 그의 페어링은 음식 조리 과정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별점을 갖는다. “음식에 어떻게 간을 하고, 어떤 양념을 쓰는지를 아는 만큼 페어링할 때도 그 맛의 흐름과 균형을 섬세하게 읽어낼 수 있어요. 그 미세한 차이가 분명히 있죠.”
미쉐린 스타라는 꿈을 이룬 그의 다음 목표가 궁금해졌다. “외국 미식가들이 서울에 오면 꼭 들르고 싶은 레스토랑이 되었으면 해요.” 쉬는 날에도 다른 국가의 레스토랑 리뷰를 찾아보거나 새로운 경험을 위한 연구를 멈추지 않는 것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쉴 때도 결국 이스트 생각만 해요. 그런데 그게 가장 재미있어요.” ‘이스트 Y’east’라는 이름은 ‘동쪽을 비추다’는 뜻을 지닌 셰프 자신의 이름, ‘영동 暎東’에서 비롯되었다. 낯선 재료와 조리법 사이를 오가며 동아시아라는 넓은 스펙트럼 속에서 자신만의 미식을 완성해가는 조영동 셰프. 정해진 문법이나 경계 없이, 오직 자신만의 미식 언어로 쌓아올린 이스트는 조영동 셰프가 직접 보고 살아온 동양을 동시대 언어로 재구성한 하나의 해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