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집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사람과 삶을 담기 위한 그릇 같은 집이 재조명되고 있다. 히노컨설팅 펌의 노희영 대표가 컨설팅을 맡은 판교 운중 더 디바인은 최고급 단독주택 단지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도감을 발표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 유명 공간 디자이너 마영범, 김계연, 양태오, 김종혁이 참여해 만든 네 곳의 모델하우스에서는 우리가 꿈꾸는 집의 이상향뿐 아니라 새로운 주거 문화 트렌드를 읽을 수 있다.

 

New Oriental Style

샹들리에, 의자, 테이블은 모두 태오양스튜디오에 제작한 것.

태오양스튜디오의 양태오 디자이너는 조선시대 사대부 가옥의 사랑방을 형상화한 공간을 연출했다. 너무나 빠르게 변하고 새로운 것을 맹목적으로 따라가기보다 과거로 돌아가 클래식함이 주는 편안함 속에서 위트를 찾을 수 있는 공간이다.

 

Changing Korea Style

한지 벽지와 테이블, 의자는 모두 소갤러리에서 제작한 것.

소갤러리의 마영범 대표는 색동 디테일이 있는 한지로 만든 벽지로 마감한 미지의 공간을 연출했다. 한국의 공예 하면 마치 공식처럼 전통 스타일을 떠올리지만 그와 상반되는 현대적인 가구와의 매치를 보여주었다. 앞으로 전통 한지가 다양한 공간에서 폭넓게 사용될 거라는 예측도 읽을 수 있다.

 

IN&OUT

포르나세티 패턴을 입은 벽지는 콜앤선 제품. 아웃도어 가구는 마이오리 제품.

아데스인테리어의 김종혁 대표는 외부의 자연을 실내에서도 만끽할 수 있는 싱싱한 초록 공간을 제안했다. 아웃도어 가구, 캠핑 문화, 식물 인테리어의 유행은 In&Out 공간을 테마로 잡은 이유를 대변한다. 이파리가 무성한 실제 같은 벽지를 중심으로 바람이 잘 통하는 아웃도어 가구, 식물을 키울 수 있는 커다란 화분이 놓인 공간은 시각적으로 청량감을 선사한다.

 

Library Lounge

조명, 책상, 의자, 소파, 커피 테이블은 북유럽에서 수입했으며 모두 이노홈에서 판매.

이노필의 김계연 대표는 북유럽 미드센트리 스타일의 라운지를 제안했다. 역사, 문화, 예술, 건축 등 자신이 관심 있는 분야의 책이 진열되어 있는 서재야말로 오롯이 나만을 위한 휴식의 공간이자 이야기를 담을 수 있다는 것이 그녀의 설명. 편안하게 앉아 책을 읽을 수 있는 디자이너의 가구가 놓인다면 또 하나의 이야기를 담을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