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벽면에는 양혜규 작가와 런던 디자이너 그룹 OK-RM이 협업해 2013년 스트라스부르 현대미술관에서 처음 선보인 벽지 작업 ‘이모저모 토템’ 시리즈가 걸려 있다. 높은 천고의 허전함을 채워주는 해골 모양의 작품은 김지민 작가의 작품.
발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청담동에 또 하나의 핫플레이스가 오픈했다. 딱딱하기만 한 화이트 갤러리에서 벗어나 일상적인 공간에서도 작가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가 늘어나는 추세다. 아시안의 입맛과 이탤리언의 취향을 접목시킨 퓨전 요리를 선보이는 보메 청담은 갤러리에서나 볼 법한 작가의 작품이 가득해 이곳이 먹거리를 위한 공간인지, 작품을 감상하는 갤러리인지 헷갈리게 한다. “작품을 모으기 시작한 지는 4~5년 정도밖에 안 되었어요. 20여 년간 의류업을 해온 제가 자체 브랜드 보메를 론칭하면서 개인적으로 소장해왔던 작품과 어우러질 수 있는 레스토랑 겸 보메의 쇼룸을 오픈하게 되었죠”라며 배진 대표가 설명했다. 콘크리트 마감과 다크한 대리석을 사용해 거친 공간에 직선의 디자인 가구와 곡선의 멋이 살아 있는 조명을 배치하는 등 식사를 위한 장소를 넘어 현대적인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경험을 선사한다. 널찍한 테라스를 지나 실내로 들어가면 3m에 달하는 프랑스 설치미술가 장 미셸 오토니엘의 유리 구슬 작품을 중심으로 김지민 작가의 대형 해골 작품이 눈길을 사로잡는다. 그리고 양혜규 작가와 런던 디자이너 그룹 OK-RM이 협업해 2013년 스트라스부르 현대미술관에서 처음 선보였던 작품이 높은 천고를 가득 메우며, 프라이빗한 식사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작은 룸에는 장마리아 작가와 윤종석 작가의 작품이 자리한다. 뿐만 아니라 화장실에는 다니엘 아샴의 거울 작품을 걸어 발자취가 닿는 곳곳에서 자연스럽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이곳을 찾은 손님들이 직접 앉고 사용하는 가구와 식기 역시 범상치 않았다. 디자이너 양태오가 실내 다이닝 체어를 디자인했으며 벨기에 아웃도어 가구 브랜드 트리뷰의 체어로 테라스를 채워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보메 청담의 요리는 태국의 포슬린 브랜드 야나칸 그릇에 담겨 서빙되는데, 작품으로 둘러싸인 곳에서 작품에 담긴 맛있는 요리까지 맛볼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맞은편에 자리한 스케줄 청담이 20~30대를 위한 공간이라면 보메 청담은 예술적인 감성을 갈망하는 40~50대를 위한 레스토랑이지 않을까. 감각적인 인테리어와 더불어 작품을 감상하며 특별한 식사를 경험하고 싶은 이들이라면 한 번쯤 이곳을 들러봐도 좋겠다.

레스토랑 안쪽에 자리해 프라이빗한 식사를 즐길 수 있는 작은 룸. 왼쪽에는 두텁게 쌓아올린 마티에르의 물성이 두드러지는 기법을 선보이는 장마리아 작가의 회화 작품을 걸었다. 오른쪽에는 주사기통에 물감을 넣어 헤아릴 수 없는 점을 찍어 작업하는 윤종석 작가의 작품.

레스토랑 입구에서는 3m에 달하는 프랑스 설치미술가 장 미셸 오토니엘의 유리 구슬 시리즈를 감상할 수 있다.

양태오 디자이너는 간결하면서도 공간과의 어우러짐을 고려해 다이닝 체어를 디자인했다.

화장실에는 뉴욕을 기반으로 활동하고 있는 아티스트 다니엘 아샴의 ‘브로큰 미러’가 존재감을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