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은 내가 누구인지 어떠한 취향인지 보여주는 가장 확실한 요소다. 그래서인지 다른 사람의 집을 구경하는 것은 언제나 흥미롭다.
패션 디자이너이자 청담동 레스토랑 Park의 오너, 최근에는 작가, 사진가, 비주얼 아티스트 등 끊임없이 매력적인 시각적 언어를 만들어내고 있는 그녀가 지난 5월31일부터 6월13일까지 2주간에 걸쳐 이태원 테이스트마켓 팝업 공간 2층에서 좋아하는 것들로 꾸민 ‘집’을 선보였다.

유럽에 정착해 일상을 담아낸 책 <애플 타르트를 구워 갈까 해>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박지원.
가장 눈에 띄는 콘텐츠는 그곳에 모인 서로 또 같고 다른 사람들이다. 일단, 그녀의 공간을 들여다 보자면 어느 하나 이야기가 담기지 않은 오브제가 없다. “한국에 우리 집을 꾸민다면? 이라는 콘셉트를 정하고 원하는 인테리어를 그려봤어요. 먼저는 사과로 유명한 파리 노르망디의 정취가 담긴 애플 타르트 향이 가득하고, 작가의 작품을 걸어 미술관처럼 만들고, 세월의 흔적이 묻어나는 빈티지 가구와 오브제로 여백을 채워나갔죠. 식물 없는 집은 왠지 썰렁해서 마당과 집 안에 꽃과 아시아 감성의 모던한 분재를 가까이 두고 싶었어요. 준비하는 기간은 결코 길지 않았지만 오래된 아니 또 새로운 인연과 물성, 이 모든 것이 만나 집을 완성했습니다.”

사이다의 빈티지 가구와 문승지의 업사이클링 가구, 문우림 작가의 아트, 박지원 특유의 시적인 감성이 느껴지는 사진, 분재박물관의 분재, 공정무역 볼가바구니 등 애정하는 것들로 꾸민 이 집에서 나오는 스토리는 무언가 ‘생명력’이 느껴진다.
집은 단지 최선, 최상, 최고의 것으로 꾸미는 것이 아닌 곧 사람이다. 자신이 아끼는 물건, 추억이 있고 히스토리가 있는 그리고 무엇보다 ‘사랑’으로 가꾸어 가는 것이라고 말하는 그녀. 이곳에 모인 살림을 하는 사람, 그림을 그리는 사람,사진을 찍는사람,향을 만드는 사람,옷을 만드는 사람,책을 만드는 사람 등 나이도 직업도 다양한 그들에게서 어딘가 모르게 느슨하지만 끈끈한 연대가 채워지고 있는 기분이었다.

유럽에 정착해 일상을 담아낸 책 <애플 타르트를 구워 갈까 해>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박지원.
“사람들의 따뜻한 후기를 들어보면 누군가에게 위로를 준 것 같아 뿌듯해요. 책을 읽고 또 이 공간을 찾아온 사람들이 여유를 되찾고 돌아가고 그 좋은 에너지를 다시 누군가에게 전해주며 새로운 에너지가 탄생되길 바라요. 이것이 바로 제가 추구하는 생명력 있는 ‘집’이고요. 파리로 돌아가면 한국 신진 작가의 작품을 소개하며 또 다른 ‘한국의 미’를 알리는 역할을 하고 싶어요.”
암스테르담에 살던 어느 때 아장아장 걷는 둘째 아이를 보고 지나가던 할머니가 “너의 아이니?” 묻더란다. 그렇다고 답하니 바로, “Enjoy”. 그 한마디가 뇌리에 꽂혔다. 순간을 즐기는 것 아, 이것이 진짜구나. 그 순간을 잊을 수가 없다고.
집은 구성된 모든 것으로 이루어진다. 지금, 그 모든 것을 즐기자. 라이프 디자이너 박지원의 집에는 그런 힘이 있다.

올리비에무르그 꽃 조명 아래 디자인 거장 폴 케홀름의 라운지 체어와 젊은 디자이너 문승지의 가구, 노이치 Noiich의 러그가 어우러진 사색의공간.

오랜 세월 퇴적된 모래 속에서 그녀만의 따뜻한 감성으로 찾은 조가비, 조약돌 사진은 그녀가 살고 있는 파리 노르망디의 풍경을 떠오르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