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하하하프렌즈의 고정관념을 깬 실험적 설계.
2025 서울시 건축상 대상을 수상한 ‘코어해체시스템’
어떻게 탄생했을까?

© 2025 FHHH Friends
서울 성수동에 위치한 패션 브랜드 디스이즈네버댓의 오피스 건물 ‘코어시스템’이 제 43회 서울 건축상 대상을 수상했습니다.
건물 가운데 코어를 해체해 기둥 없는 공간을 만들고, 내부를 자연광으로 채운 점이 높이 평가받았다고 하는데요. 기존의 건축방식을 깨뜨리고, 이 대담한 설계를 만든 주인공은 바로 ‘푸하하하건축사사무소 (한양규)’입니다. 어떻게 건물을 설계하면서 중심을 고정하지 않는 것이 가능했을까요?

© 2025 FHHH Friends
보통 건물 한가운데에는 계단과 엘리베이터가 있는 코어가 들어갑니다. 건물의 뼈대이자 구조적으로 중요한 부분이죠. 그러나 ‘코어해체시스템’은 코어를 건물 가장자리로 밀어내고, 중간을 비워둔 채 한쪽 끝만 고정된 ‘캔틸레버 구조’를 통해 내부를 기둥 없이 구성합니다. 결과적으로 중앙에 빈 공간이 생기고, 빛과 공기가 들어와 밝고 쾌적한 환경이 완성되었죠.

© 2025 FHHH Friends

© 2025 FHHH Friends
사실 이 건축의 핵심은 가위 계단입니다. 한번에 3개의 층을 연결하는 가위 계단은 흔히 백화점 에스컬레이터에서 볼 수 있는데요. 곧은 계단 두 개를 교차시킨 형태로, 사용자는 몸을 회전시키거나 방향을 틀 필요 없이 자연스럽게 위층 혹은 아래층으로 이동할 수 있죠. 양옆에서 동시에 출입할 수 있는 원리를 적용해 지하철 역사를 이동할 때처럼 동선에 흐름을 만들었습니다. 부서 간 미팅과 회의가 많은 디스이즈네버댓의 업무 문화와 유연한 조직 구조를 반영한 결과물입니다.

© 2025 FHHH Friends

© 2025 FHHH Friends

© 2025 FHHH Friends
설계의 뼈대는 간단합니다. 건물 중앙에는 가위 계단, 양 끝에는 엘리베이터, 넓은 복도가 있고 복도 양옆으로 업무 공간을 배치했습니다. 설비 공간과 화장실은 계단 근처에 모았죠. 사람이 사용하는 공간의 크기, 책상 사이 거리, 조명과 소방설비 위치까지 꼼꼼하게 계산해 만들어진 이 오피스는 효율적인 공간이 무엇인지를 다시 생각하게 만듭니다.

© 2025 FHHH Friends
제한된 면적 속에서 건축물의 수직적 한계를 극복하고 만들어낸 순환하는 구조. 단순한 구성이지만 건축물의 용도와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공간으로 완성된 건축은 앞으로 건축의 방향을 제시합니다.
K-건축문화 선도할 서울시 건축상 8개 수상작들은 오는 9월 열리는 서울건축문화제에서 전시될 예정! 서울시는 앞으로도 창의적 아이디어로 서울 변화시킨 건축물과 건축가,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