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n of the Seventies Fan of the Seventies Fan of the Seventies By Maisonkorea.com|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티에리 르메르가 좋아하는 것은 1960~70년대 정신이다. 공간감이 주는 힘과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그의 파리 아파트를 보면 알 수 있다. 거실 겸 다이닝룸으로 쓰는 공간에 길이가 5m나 되는 큰 호두나무 테이블을 놓았다. 위엄 있는 테이블은 티에리 르메르가 디자인한 By Maisonkorea.com|
It’s my Style It’s my Style It’s my Style By 신진수| 유행하는 아이템 없이 집주인의 개성으로 채운 집을 만나기가 더욱 어려워진 요즘, 비하우스 김지영 실장의 집은 훌륭한 예가 될 것이다. 작은 응접실처럼 꾸민 거실. 부술 수 없는 내력벽을 벽난로 장식으로 마감한 점이 아이디어다. 거실에서 바라본 다이닝 공간과 주방. By 신진수|
클래식의 변주 클래식의 변주 클래식의 변주 By 권아름| 고전적이고 역사적인 공간이 새로 태어났다. 건축가 닉 레스 스미스와 그의 부인 주카는 조지아 시대의 집을 레노베이션했다. 본래의 공간이 지닌 영혼을잃지 않으면서 참신한 독창성이 가미된 공간이 되었다. 거울과 낡은 효과. 바니스를 칠한 떡갈나무 가구 ‘드링크 캐비닛 Drink Cabinet’은 닉이 디자인한 By 권아름|
Warm up Warm up Warm up By 권아름| 점차 쌀쌀해지는 이 계절, 포근하고 따뜻한 기운의 웜 톤 인테리어로 집 안의 온도를 높여보길. Wood & Khaki 따뜻한 공간을 연출할 때 공식처럼 따라오는 원목. 부드러운 촉감을 지닌 나무 가구와 소품으로 채워 한껏 온화한 분위기의 다이닝 공간을 만들었다. 벽면에는 초록에 노란 By 권아름|
Joyful house Joyful house Joyful house By 권아름| 고전적인 스타일부터 모던한 아이템, 캐릭터 있는 작품까지 다채로운 물건으로 채운 용산의 한 아파트는 어느 공간을 봐도 활기가 느껴졌다. 현관으로 들어오면 가장 먼저 마주하는 공간. 양쪽으로 길이 나 있어 거실, 침실로 이어지는 곳이다. 곡선으로 된 코너 벽에 무아쏘니에의 코모도 장과 By 권아름|
色 다른 집 色 다른 집 色 다른 집 By 박명주| 집에 대한 인식이 변화하면서 사람과 삶을 담기 위한 그릇 같은 집이 재조명되고 있다. 히노컨설팅 펌의 노희영 대표가 컨설팅을 맡은 판교 운중 더 디바인은 최고급 단독주택 단지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도감을 발표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국내 유명 공간 디자이너 마영범, 김계연, By 박명주|
Summer Eden Summer Eden Summer Eden By 권아름| 리빙,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카사 로페즈의 아트 디렉터 피에르 소바주가 여름을 보내는 집. 프랑스 프로방스 지방의 뤼베롱에 자리한 이 집은 친구들에게 개방된 ‘에덴 동산’이다. 시선을 끄는 디자인 가구. 임스 부부의 아이코닉한 리운지 체어가 데이비드 힉스 David Hicks에서 산 ‘코코 바바라 By 권아름|
FOR KIDS FOR KIDS FOR KIDS By 메종| 마지스 대표인 에우제니오가 자신의 손녀를 위해 2004년 론칭한 미투 컬렉션. 2~6세 아이들을 위한 디자인 가구와 소품, 각종 오브제를 선보이고 있다. DOWNTOWN 핀란드 디자이너 오이바 토이카 Oiva Toikka가 만든 다운타운은 흰색 폴리에틸렌으로 제작한 선반 시스템. PARADISE TREE By 메종|
Art&Lifestyle Art&Lifestyle Art&Lifestyle By 박명주| 이름 뒤에 아트&라이프스타일이라는 단어가 항상 따라다니는 조은숙 아트앤라이프스타일 갤러리의 조은숙 대표. 그녀와 떼려야 뗄 수 없는 아트&라이프스타일이 담긴 집을 방문했다. 허명욱 작가의 아톰 시리즈 앞에 앉은 조은숙 아트앤라이프스타일 갤러리 대표 조은숙. 재불 화가 황호섭 작가의 작품이 By 박명주|
Well Stay Well Stay Well Stay By 박명주| 소란스러운 세상에서 현실을 도피하고 싶은 마음이 극에 달한 현대인들. 각종 스트레스의 도피처는 결국 ‘집’이라는 것이 올해의 가장 큰 화두다. 집에서의 휴식을 꿈꾸는 이들은 각자의 방식대로 다양한 취미를 즐길 수 있는 엔터테인먼트룸을 꾸미고 있는 추세다. 공간을 통해 일상의 휴식을 조금 특별하게 보내기 위한 방법은 없을까? 공간 속에 또 다른 공간을 짓기도 By 박명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