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 나와라, 뚝딱!

빵 나와라, 뚝딱!

빵 나와라, 뚝딱!

백설 ‘카스테라믹스’, 큐원홈메이드 ‘치즈케익믹스’, 오뚜기 ‘쵸코 핫케이크 가루’

백설 ‘카스테라 믹스’
동봉된 당믹스와 올리고당에 우유, 달걀을 넣고 충분히 거품을 낸 다음 카스텔라 믹스를 넣고 섞은 반죽을 오븐에 구우면 되는 카스텔라 믹스. 팽창제 및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았다. 300g, 2천6백원.

조미아 촉촉하면서 부드러운 맛이 좋아 만족스러운 제품. 제과제빵의 원리를 잘 파악하면 조리 과정이 어렵지 않은 편. 반죽을 하고 굽기까지 총 1시간이면 충분하다.

이미령 다른 믹서에 비해 이 제품은 만드는 방법이 까다롭다. 핸드 믹서가 없어서 손으로 거품을 내었더니 거품이 충분히 나지 않았다. 그러다 보니 촉촉하고 보드라운 식감을 살리기 힘들다. 하지만 맛은 집에서 구운 카스텔라치곤 만족스러웠다.

최성희 총 1시간 정도가 소요되고 난이도는 어려운 편. 오븐이 고장나서 밥솥에 구웠는데 의외로 훌륭한 맛을 낸다. 단, 단맛이 강해서 차라리 사 먹는 게 더 좋겠다는 생각이 든다. 취향에 따라 한두 입 먹고는 말 듯하다.

이혜미 제과점의 폭신폭신한 카스텔라를 기대했다면 오산. 레시피대로 충분히 거품을 낸 반죽에 카스텔라 믹스를 넣어 재빨리 저었는데도 조금 질기고 쫀득한 식감이다. 또 알려주는 온도와 시간대로 오븐에 구웠지만 실패. 브라우니 믹스처럼 전자레인지에도 구울 수 있었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큐원홈메이드 ‘치즈 케익믹스’
덴마크산 에멘탈 치즈를 사용한 치즈 케이크 믹스에 우유를 넣어 반죽한 다음 초콜릿 크런치 위에 올려 굳히면 되는 치즈 케이크 믹스. 150g, 3천7백원.

조미아 마치 치즈 아이스크림과 같은 부드러운 맛이 좋다. 우유에 치즈 케이크 믹스를 섞어 냉동고에 얼리면 되니 조리 과정이 간단하다. 특히 오븐 없이 만들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다. 불을 사용하지 않아 아이와 함께 만들기에 좋을 듯하다.

이미령 달콤하고 진한 치즈 맛이 난다. 레시피대로 만든 반죽을 냉동실에서 1시간 동안 굳혔지만 치즈 케이크보다는 티라미수에 가까운 식감. 케이크 윗면을 매끄럽게 만들기가 어려워 제과점의 치즈 케이크와 같은 비주얼이 나오지는 않지만 홈 베이킹으로는 충분한 제품.

최성희 레시피와 같이 쉽고 간단하게 만들 수 있어서 만족스럽다. 단, 조금 덜 달았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 또 한 조각 분량의 치즈 케이크만 나와서 여럿이 즐기기에는 양이 부족하다.

이혜미 이전에 먹어본 치즈 케이크와 같은 진한 치즈 맛이 덜하고 단맛이 많이 난다. 치즈 케이크라기보다는 마치 치즈 아이스크림을 먹는 듯한 느낌이다. 유리컵이나 머핀용 베이킹컵에 넣어 얼리기에 적당할 만큼 양이 적다.

오뚜기 ‘쵸코 핫케이크 가루’
초콜릿 칩이 섞인 코코아 가루에 우유나 물, 달걀을 넣고 팬에 구우면 되는 초콜릿 핫케이크. 500g, 2천5백50원.

조미아 한데 섞은 반죽을 팬에 바로 구우면 되니 조리 과정이 편리하다. 또 핫케이크 반죽을 팬에 굽는 대신 오븐이나 찜통에 넣으면 초콜릿 케이크, 초콜릿 머핀로도 즐길 수 있다.

이미령 반죽하는 10분과 굽는 10분, 총 20분이면 완성! 생각보다 달지 않고 고소한 맛이 느껴져 우유와 함께 아침 식사로 먹기에 좋다.

최성희 15분이면 뚝딱 하고 핫케이크를 만들 수 있다. 초콜릿 향이 나지만 초콜릿의 단맛은 거의 없다. 플레인 핫케이크보다 맛있어서 나이불문 남녀노소 좋아할 맛이다.

이혜미 코코아 가루에 들어 있는 초콜릿 칩이 녹기 때문인지 플레인 핫케이크보다 훨씬 부드럽다. 식감과 맛이 모두 만족스럽고 만들기도 쉬워 아이와 함께 쿠킹 타임을 가지기에 좋은 제품이다.

에디터 이경현 | 포토그래퍼 조용기ㅣ어시스턴트 김지희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
봄 마중 식탁

봄 마중 식탁

봄 마중 식탁

홍진경이 싱싱하고 향긋한 봄나물을 주제로 한 작은 파티를 열었다. 소박한 재료지만 그녀만의 감각을 살려 더없이 특별했던 봄날의 맛있는 식탁으로의 초대.

↑ 벽에 기댄 작품은 허명욱 작가의 ‘Scale 1800’ 시리즈.

바쁜 일상 속에서도 홍진경은 종종 손님들을 초대해 솜씨를 발휘하곤 한다. 아직 겨울의 흔적이 역력하지만 그녀는 싱싱하고 향긋한 봄나물로 작은 초대상을 마련했다. 달래와 곰취, 냉이, 미나리, 취나물, 쑥갓, 두릅 등 온통 녹색빛으로 가득한 주방에서 재료를 다듬고, 분주하게 요리하던 그녀는 일상 속에서 지인들과 즐기는 식사가 얼마나 큰 기쁨이 되는지 말했다. “지인들과 맛있는 음식을 나눠 먹고 이야기를 나누는 것만큼 즐겁고 편한 일은 없는 것 같아요. 저는 소박해도 푸근한 집밥을 대접하곤 해요. 손님들이 자기 집에 있는 것처럼 편하게 즐기다 가길 바라거든요.” 평소 철저하게 소식을 하지만, 되도록 하루 한 끼니 정도는 건강한 집밥을 챙겨 먹는다는 홍진경은 봄이 되면 달래부터 찾는다.

별다른 반찬이 없어도 갓 지은 잡곡밥에 잘 익은 김치와 달래장을 곁들이면 맛있게 한 그릇을 비울 수 있기 때문이다. 달래 된장국을 끓이거나 곱게 간 깨소금과 다진 마늘을 조금 넣어 간단하게 달래무침을 만들어 먹기도 한다. “봄에는 뭐니 뭐니 해도 나물이 맛과 영양 두 가지 면에서 모두 최고인 것 같아요. 많이 먹어도 부담 없고, 향도 좋아 먹고 나면 기분이 좋아지죠. 그래서 이번 모임에는 갖가지 봄나물을 이용한 요리를 만들어보았어요.”

↑ 깻잎나물을 무치고, 쑥갓을 데치고, 파를 다지는 등 봄나물 초대상을 준비하고 있는 홍진경. 향긋한 나물 향과 녹색으로 가득한 그녀의 주방에는 봄기운이 물씬 풍긴다.

날이 어둑해지자 홍진경은 세로로 길쭉한 거실에 가로로 놓인 큼직한 나무 식탁을 파티 테이블로 꾸미기 시작했다. 나뭇결이 고스란히 드러나는 테이블은 각기 다른 디자인과 컬러의 의자와 어울렸다. 평소 녹색 식물을 좋아하는 홍진경은 가지가 무성한 매화와 녹색 식물을 테이블 양 끝에 포인트로 놓고, 덴마크 브랜드 바이 라센의 모던한 촛대를 놓아 파티 분위기를 살렸다. 미나리 문어초, 전복 표고버섯 청경채볶음, 삼색 나물 등 봄나물을 이용한 다양한 요리는 이능호, 이세용, 김규태 작가 등의 한식기에 담겼다. “그릇을 좋아하지만 한 작가나 스타일을 고집하는 편은 아니에요. 심플하고 모던한 스타일을 좋아하다 보니 지금의 컬렉션을 이루게 됐어요. 또 한식 위주의 식생활에 어울리는 한국 도자 작가의 작품 위주로 구입하게 된 것 같아요.”

자신만의 방식대로 믹스매치를 즐기는 홍진경은 다양한 식기의 조합으로 스타일링에 변주를 주곤 한다. 이번 상차림에서는 한국 도자 작가의 식기를 메인으로 사용했지만, 물잔은 서양의 클래식한 찻잔에 아래로 와인의 스템 부분을 연결한 셀레티의 독특한 제품을 사용했다. “더 이상 동서양의 스타일을 나누는 것은 의미가 없는 것 같아요. 어떤 음식을 담고 어떻게 매치하느냐에 따라 서로의 쓰임이 바뀌기도 하거든요. 저는 앞으로 틀에 갇히지 않은 새로운 스타일링에 많이 도전해보고 싶어요.” 지인들이 하나 둘씩 도착하고 홍진경은 샴페인을 따는 걸로 봄날의 만찬을 시작했다. 향이 각기 다른 봄나물과 상큼한 샴페인의 색다른 조화. 그녀의 집은 이미 봄이 완연했다.

↑ 홍진경은 건강하고 풍성한 집밥으로 손님 초대상을 차리는 것이 즐겁다고 한다.

RECIPE

조개탕
모시조개 400g, 원추리 200g, 청양고추 1개, 소금 1큰술, 물 4컵, 다시마(5×5cm) 1장

1 모시조개를 찬물에 담아 약간의 소금을 넣고 해감한다.
2 차가운 물에 다시마를 넣고 끓여 다시마 육수를 우린다.
3 2에 해감한 모시조개를 넣고 끓인다.
4 3이 끓기 시작하면 원추리를 넣고 청양고추는 어슷하게 썰어 넣는다. 조개들이 입을 벌리면 소금을 넣고 끓인다.

삼색 나물 (쑥갓무침, 애호박볶음, 느타리버섯볶음)
쑥갓무침(쑥갓 200g, 파 10g, 깨소금 1큰술, 다진 마늘 · 다진 파 · 참기름 1작은술씩, 소금 조금), 애호박볶음(애호박 100g, 새우젓 10g, 다진 마늘 · 다진 파 1작은술씩, 올리브오일 조금), 느타리버섯볶음(느타리버섯 150g, 굵은소금 · 다진 마늘 · 다진 파 1작은술씩, 소금 · 깨소금 · 참기름 · 올리브오일 조금씩)

1 쑥갓은 끓는 물에 데쳐 찬물에 헹궈 물기를 짠다.
2 1에 다진 파, 다진 마늘, 깨소금, 참기름을 넣어 버무린 다음 소금으로 간해 쑥갓무침을 완성한다.
3 애호박은 길이로 반 자르고 0.5cm 두께로 썬다.
4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애호박을 볶다가 새우젓으로 간하며 볶아 애호박볶음을 완성한다(새우가 크면 다진다).
5 느타리버섯은 손으로 찢어 끓는 물에 데친다.
6 찬물에 헹궈 물기를 짜고 다진 파, 다진 마늘, 소금, 깨소금, 참기름을 넣어 버무린다.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볶아 느타리버섯볶음을 완성한다.
7 커다란 접시에 각 나물을 보기 좋게 담는다.

전복 표고버섯 청경채볶음
전복 5개, 마른 표고버섯 6개, 청경채 4포기, 쯔유 · 올리브오일 2큰술씩, 소금 · 후춧가루 조금씩, 다진 마늘 1작은술

1 표고버섯은 물에 불려 기둥을 떼어내고 물기를 뺀다.
2 전복은 끓는 물에 데쳐 먹기 좋은 크기로 자른다.
3 팬에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표고버섯, 전복, 다진 마늘, 쯔유를 넣어 볶다가 청경채를 넣어 살짝 볶는다.

봄나물 비빔밥
밥 4공기, 고추장 4큰술, 참기름 3작은술, 깻잎나물(깻잎 200g, 진간장 2큰술, 국간장 1/2큰술, 파 10g, 마늘 2톨, 깨소금 1큰술, 참기름 1작은술, 올리브오일 적당량), 취나물(취나물 200g, 진간장 2큰술, 국간장 1/2큰술, 파 10g, 마늘 2쪽, 참기름 1작은술, 깨소금 1큰술, 올리브오일 · 꽃소금 조금씩), 달래나물(달래 200g, 다진 마늘 1큰술, 깨소금 2큰술)

1 깻잎과 취나물은 데쳐 찬물에 헹궈 물기를 짠다.
2 파와 마늘은 다지고, 깻잎과 취나물에 각각 진간장, 국간장, 다진 파, 다진 마늘, 깨소금, 참기름을 넣고 무친다.
3 올리브오일을 두르고 2를 볶아 깻잎나물과 취나물을 완성한다.
4 달래는 다듬어 씻은 다음 5~6cm 길이로 자른다. 깨소금과 다진 마늘을 넣고 버무려 달래나물을 완성한다.
5 비빔밥 용기에 밥과 3가지 나물을 담는다.
6 작은 종지에 고추장과 참기름을 각각 담는다.

미나리 문어초
문어 300g, 미나리 200g, 레몬 1개, 굵은소금 적당량

1 문어는 굵은소금으로 비벼 씻은 다음 끓는 물에 삼는다.
2 1을 건져 껍질을 벗기고 0.3~0.4cm 두께로 썬다.
3 접시에 미나리를 보기 좋게 담고 문어를 올린다.
4 레몬은 4등분해 먹기 직전에 짜서 소스로 곁들인다.

곰취 쌈밥
밥 4공기, 곰취 40장, 소금 조금, 막된장(된장 100g, 무 50g, 달래 80g, 양파 · 파 40g씩, 청양고추 1개, 마늘 2쪽, 고춧가루 3큰술, 물 2컵)

1 무, 달래, 양파, 청양고추는 잘게 썰고 파와 마늘은 다진다.
2 냄비에 1의 재료, 물, 된장을 넣고 한소끔 끓이다가 고춧가루를 넣고 자박하게 끓여 막된장을 완성한다.
3 곰취는 데쳐서 물기를 짠 다음 밥을 올리고 말아 쌈밥을 만든다. 막된장을 쌈밥에 곁들인다.

위 왼쪽 샴페인 한 병을 따는 것으로 파티를 시작! 봄나물과 샴페인의 조화가 색다르다.
위 오른쪽 이정미, 이세용, 김규태 등의 한국 작가의 식기를 기본으로 이탈리아 브랜드 셀레티의 독특한 잔과 덴마크 브랜드 바이 라센의 촛대로 멋스럽게 꾸민 테이블.
아래 홍보대행사 APR 최은호 부장, 한남동의 맛집 빠르크의 박모과 대표, 매니즈먼트 ㈜신화사의 신귀란 대표 등 홍진경의 지인들이 음식을 먹고 이야기를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 홍보대행사 APR 최은호 부장, 한남동의 맛집 빠르크의 박모과 대표, 매니즈먼트 ㈜신화사의 신귀란 대표 등 홍진경의 지인들이 음식을 먹고 이야기를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내고 있다.

에디터 송정림 | 포토그래퍼 이과용 | 어시스턴트 김지희

CREDIT
후아유, 후무스?

후아유, 후무스?

후아유,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에 채소와 향신료 등을 넣고 갈아 만든 생식 개념의 딥 소스, 후무스. 원래 중동 지방의 음식이지만 담백하면서 고소한 맛에 세계 각국의 건강식으로 두루 활용되고 있다. 믹서에 넣고 후루룩 만드는 간단식이자 건강식인 후무스를 소개한다.

후무스란?
울퉁불퉁한 모양이 병아리를 닮았다 하여 이름 붙여진 병아리콩. 단백질과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칼슘, 칼륨, 비타민B까지 함유한 건강 식재료다. 이러한 병아리콩을 삶아 갖은 채소와 향신료를 넣고 되직하게 간 것이 바로 후무스. 빵이나 크래커, 채소 등에 발라 먹으면 좋다. 최근 말린 병아리콩은 물론 불릴 필요 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병아리콩이 수입되고 있어 후무스를 간단하게 만들 수 있다.

병아리콩 손질법
1 병아리콩은 찬물에 담가 4시간 정도 불린다.
2 냄비에 불린 병아리콩과 잠길 정도의 물을 넣고 30분 정도 삶는다.
3 믹서에 삶은 병아리콩과 병아리콩 삶은 물을 조금씩 넣어가며 곱게 간다.

TIP 병아리콩을 갈 때 삶은 물을 넣어야 적당한 농도가 완성된다. 삶은 물이 없으면 따뜻한 물을 조금씩 넣어 되직할 정도로 간다.

* 완성된 후무스는 모두 500ml 정도입니다.

두부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 2컵, 삶은 물 적당량, 두부 200g, 검은깨 · 레몬즙 1큰술씩, 올리브오일 2큰술, 다진 마늘 2작은술, 큐민 · 고춧가루 1/4작은술씩, 소금 1작은술

1 모든 재료를 믹서에 넣고 곱게 간다.

피넛버터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 2컵, 삶은 물 적당량, 피넛버터 4큰술, 올리브오일 2큰술, 레몬즙 3큰술, 다진 마늘 1작은술, 소금 1/4작은술

1 모든 재료를 믹서에 넣고 곱게 간다.

타이식 칠리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 2컵, 고수 2줄기, 삶은 물 적당량, 홍고추 1개, 참깨 · 피넛버터 · 올리브오일 2작은술씩, 라임즙 1/2컵

1 고수와 씨를 제거한 홍고추는 곱게 다진다.
2 고수와 홍고추를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믹서에 넣고 곱게 간다.
3 1과 2를 고루 섞는다.

이탈리아식 바질 토마토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 2컵, 삶은 물 적당량, 참 토마토 2개, 참깨 2큰술, 레몬즙 · 올리브오일 · 다진 바질 2와1/2큰술씩, 큐민 1/4작은술, 다진 마늘 1작은술, 소금 1/2작은술

1 토마토는 십자로 칼집을 내고 껍질을 벗겨서 굵직하게 썬다.
2 1의 토마토와 나머지 재료를 믹서에 넣고 곱게 간다.

시금치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 2컵, 삶은 물 적당량, 다진 시금치 1/2컵, 다진 마늘 4큰술, 레몬즙 3큰술, 참깨 · 올리브오일 2큰술씩, 소금 1/4작은술

1 모든 재료를 믹서에 넣고 곱게 간다.

멕시칸식 할라피뇨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 2컵, 삶은 물 적당량, 다진 마늘 1작은술, 시판 치폴레피망 1개, 레몬즙 · 올리브오일 3큰술씩, 참깨 1과1/2작은술, 고수 잎 1/4컵, 소금, 1/2작은술

1 고수 잎은 곱게 다진다.
2 고수 잎을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믹서에 넣고 곱게 간다.
3 1과 2를 고루 섞는다.

TIP 치폴레피망은 은은한 훈제 향이 좋은 구운 피망. 통조림 형태로 마트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

그리스식 요거트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 2컵, 삶은 물 적당량, 레몬즙 1큰술, 다진 마늘 · 소금 1작은술씩, 무가당 요거트 2/3컵

1 모든 재료를 믹서에 넣고 곱게 간다.

파프리카 후무스
삶은 병아리콩 2컵, 삶은 물 적당량, 노랑 파프리카 1개, 참깨 1큰술, 레몬즙 1과1/2큰술, 올리브오일 1/2큰술, 큐민 3/4작은술, 다진 마늘 1작은술, 소금 1/2작은술

1 노랑 파프리카는 곱게 다진다.
2 노랑 파프리카를 제외한 나머지 재료를 믹서에 넣고 곱게 간다.
3 1과 2를 고루 섞는다.

에디터 이경현 | 포토그래퍼 이과용 | 요리 문인영(101recipe) | 어시스턴트 김가영 · 조수민
출처 〈MAISON〉 2014년 3월호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