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사로운 봄볕에 나른해지는 토요일 오전, 시티 파머의 두 번째 만남이 이루어졌다.
따사로운 봄볕에 나른해지는 토요일 오전, 시티 파머의 두 번째 만남이 이루어졌다. 한 달간 시티 파머로서의 임무를 수행하고 다시 만난 독자들은 마이 알레 3층 커뮤니티 라운지에 모여 각자의 플랜트 다이어리를 공개했다. 지난 시간에 만들었던 화분에 심은 채소들이 자라는 모습을 틈틈이 사진으로 찍어두었다가 차례대로 발표하고 의견을 나누는 시간을 가진 것.
마당에서 상추를 튼튼하게 잘 키우고 있는 독자, 씨를 너무 깊게 심어 싹이 나오지 않아 흙을 엎고 소금 뿌리듯 다시 씨를 심어 이제 싹이 나기 시작했다는 독자, 잘 자란 상추를 이미 솎아서 샐러드를 해 먹은 독자, 밥그릇으로 물을 줘 싹을 다 쓰러뜨린 독자 등 사연도 제각각인 시티 파머들의 경험담은 서로를 더욱 결속시키고 친밀감을 높여주었다. 이어서 마이 알레의 우경미 대표와 우현미 소장은 이들의 멘토답게 친절한 조언을 잊지 않았다. 우경미 대표로부터 ‘참 잘했어요’라는 특급 칭찬을 받은 한정아 독자의 플랜트 다이어리는 시티 파머의 모범 케이스였다.
왼쪽 위 한 달간 키운 채소 사진을 함께 보며 이야기를 나눴다.
왼쪽 아래 독자가 직접 가져온 사진을 구경 중이다.
오른쪽 베란다에서 2년간 키웠다는 위스킨 라일락나무 화분.
한 달간의 경험을 공유하고 우경미 대표의 조언을 들은 시티 파머들은 이날, 마이 알레의 정원으로 내려와 상추 모종을 직접 밭에 심어보기로 했다. 4월은 상추, 치커리, 토마토, 고추 등 다양한 모종을 구할 수 있는 시기. 모종을 구입할 때는 키가 작고 짙은 녹색을 띠는 것이 좋다. 또한 고무 포트에서 꺼냈을 때 흙이 조금 말라 있어서 뿌리와 흙이 뭉쳐 있는 것이 좋다. 모종을 심기 전 수분 유지, 잡초 억제, 오염 방지 등의 효과가 있는 검은색 비닐로 멀칭을 했다.
그다음 호미 등으로 비닐에 구멍을 낸 후 흙을 파내고 모종을 심었다. 이때 나중에 크게 자랄 것을 생각해 적당한 간격을 두는 것이 중요하다. 상추의 경우 25~30cm 정도의 간격이면 적당한데 크게 자라는 채소라면 모종보다 5배 정도 커질 수도 있다. 모종을 심은 후 흙을 지긋이 눌러준 후 물조리개를 이용해 물을 줬다. 모종 심기 체험이 다 끝난 다음 독자들은 다 함께 마이 알레에서 미리 심어놓은 당근, 토마토 등의 싹도 구경하고 민트, 레몬밤, 레몬 버베나 등 겨울을 난 허브, 앵두꽃 등을 구경하며 봄의 정원을 만끽했다. 다음 달에는 더욱 쑥쑥 자란 채소 소식을 가지고 만나자고 서로 약속하며 클래스를 마무리했다.
왼쪽 위 상추 모종을 살펴보는 우경미 대표와 독자들.
왼쪽 아래 멀칭 후 모종을 심는 독자들.
오른쪽 모종을 심은 후 흙을 지긋이 눌러주고 있다.
● 한정아 독자의 플랜트 다이어리
1 동향의 베란다에 화분을 놓고, 6줄의 홈을 만들어 상추, 케일, 치커리 씨를 각 두 줄씩 뿌려 심었다.
2 흙을 덮고 물을 흠뻑 준 후 아들 지환이가 직접 만든 푯말을 세웠다. 분무기로 물을 꾸준히 줬더니 4일 만에 싹이 났다.
3 일주일 후의 모습. 상추 싹이 제일 먼저 나왔고, 일주일 만에 2cm 정도 자랐다. 나보다 아이가 더 지극 정성으로 매일 물도 주고, ‘생일 축하합니다’ 노래까지 불러주며 세심하게 돌봤다.
4 2주 후의 모습. 햇빛 쪽으로 채소가 기울어 화분을 반대로 놓았다. 상추가 수북하게 자랐고, 치커리와 케일도 잘 자라고 있다. 상추는 한번 솎아내서 닭 가슴살을 넣어 샐러드를 해 먹었는데 상추의 어린잎이 야들야들해서 너무 맛있었다. 수확하는 즐거움이 쏠쏠했다.
에디터 이하나 | 포토그래퍼 박상국
출처 〈MAISON〉 2014년 5월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