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바닷가의 모래언덕에서 꽃피운 우에다 쇼지의 독창적 연출 세계.

극장을 연상케 하는 프레임 너머로 사진을 보는 방식의 전시 디스플레이.

우에다 쇼지가 타계한 후 유족이 발표한 작품 <검은 파도>를 볼 수 있는 마지막 전시 공간.
아버지의 목마를 탄 아이는 활짝 웃고 있고, 어머니는 그 옆에 기모노를 입은 채 단정히 서 있다. 왼쪽에는 꽃 한 송이를 쥔 여자아이와 주머니에 손을 넣고 옆을 바라보는 남자아이가 서 있고, 오른쪽 저 멀리 자전거를 탄 아이가 짓궂은 표정으로 지나간다. 미소가 절로 지어지는 가족사진이지만 중앙에는 기울어진 우산과 중절모, 벗어놓은 부츠가 묘한 긴장감과 신비로움을 자아낸다. 르네 마그리트나 살바도르 달리의 초현실적인 그림이 연상되는 우에다 쇼지의 <아빠와 엄마와 아이들>(1949)이다. 연출 사진의 선구자이자 모노크롬의 대가인 우에다 쇼지는 일본 사진사에서 거장으로 평가받는 인물이다. 돗토리현에서 태어난 그는 10대 때부터 사진을 찍기 시작해 87세로 생을 마감할 때까지 70여 년 동안 작업을 꾸준히 이어갔다. 관습에서 벗어난 독창적인 구도와 연극적인 출력으로 주목받았으며, 현실의 시공간을 초월한 듯한 이미지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특히 그가 26세던 1939년 촬영한 <네 명의 소녀, 네 가지 포즈>는 우에다 쇼지의 이름을 세계적으로 알리며 초기 걸작으로 평가받는 작품이다.

빛번짐 현상을 역이용한 사진집 <하얀 바람> 전시 공간. 작가가 사용한 단렌즈 카메라(속칭 베스단)을 볼 수 있다.
그의 작품을 한국에 처음으로 소개하는 전시가 피크닉에서 열린다. <우에다 쇼지 모래극장>에서는 그의 초기 습작부터 대표작인 모래언덕 연작, 어린이들의 초상, 정물과 후기 컬러 사진까지 다양한 시대를 아우르는 작품들을 테마별로 선보인다. 우에다 스타일이라는 뜻의 ‘우에다조(Ueda-cho)’라는 고유명사로 불리는 독특한 미감을 경험할 수 있으며, 180여 점의 오리지널 프린트도 볼 수 있다. 특히 전시 제목의 모티브가 된 모래언덕 사진은 관람객이 주목해야 할 핵심 작품으로, 우에다의 예술 세계를 깊이 이해할 수 있는 기회다. 우에다 쇼지는 일본의 주류 사진가들과 달리 대도시가 아닌 시골에서 작업한 독특한 이력을 지녔다. 그의 고향 돗토리현의 독특한 자연 지형인 사구는 그에게 더없이 이상적인 촬영장이었다. 광활한 야외 공간을 스튜디오처럼 창의적으로 활용해 인물들을 철저하게 계산된 방식으로 배치한 연출 사진들이 대표적이다. 1930년대 후반부터 집중적으로 촬영된 인물 군상에서는 그의 세련된 연출 감각을 엿볼 수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초현실적 분위기의 모래언덕 사진과 함께 모래사장을 연상시키는 전시 연출이 관람의 몰입감을 더한다. 삶의 다양한 순간을 포착한 작품들 역시 눈에 띈다. 우에다는 다양한 사진 기법을 끊임없이 탐구하며 새로운 연작들을 발표했다. 이후 자신의 주관을 표현하기 위해 다양한 사진 기술을 모색하며 여러 연작들을 선보인다. 시골 사람들의 소박한 삶을 담은 <아이들의 사계절>, 핫셀블라드 카메라를 이용해 피사체와의 교감을 표현한 <작은 이야기>, 빛번짐 현상을 역이용해 따뜻한 느낌을 살린 컬러 사진 연작 <하얀 바람> 등의 작품에서 그가 시대를 초월한 사진가임을 확인할 수 있다. 1980년대와 1990년대에도 그는 새로운 스타일을 지속적으로 탐구했으며, 아내와의 사별 후 일흔이 넘은 나이에 패션 사진에 도전한 일화는 그가 사진에 대한 열정을 끝까지 잃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아빠와 엄마와 아이들>, 1949.

<네 명의 소녀, 네 가지 포즈>, 1939.
사진계에서 존경받는 위치에 있으면서도 스스로를 ‘시골에 사는 아마추어’라고 칭한 우에다는 상업적 성공보다는 자신이 찍고 싶은 것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데 몰두했다. 그가 마지막 순간까지 카메라를 놓지 않은 이유는 바로 이 아마추어 정신 때문이었을 터. 이번 전시는 그의 사진을 통해 ‘사진 찍는 즐거움’을 다시 일깨우며, 우에다의 순수한 창작 정신을 경험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전시는 2025년 3월 2일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