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가 홍혜전의 새로운 작업실은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창작의 영감을 찾는 장소다.
삶과 예술이 긴밀하게 연결된 이곳에서 그녀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만끽하며 지낸다.

학동 부근이 한눈에 내려다보이는 스카이라인을 자랑하는 루프톱 메종 마르니.
사진가 홍혜전의 새 공간은 단순한 생활 공간이 아닌 작업실이자 영감의 원천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4년 전, <메종>에 처음 소개된 그녀의 루프톱 정원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풍기는 이곳은 그녀의 삶과 작업 스타일을 더 깊이 반영하고 있었다. “이곳 이름을 마르니 바이 루브르네프라고 지었어요. 9층 사진 스튜디오는 유려한 곡선으로 시스틴 채플을 연상시키며, 이탈리아 바티칸시티의 따뜻하고 자유로운 감성을 담고 있어요. 10층 ‘메종 마르니’는 루브르네프의 감성을 담은 모던 프렌치 가든을 품고 있죠. 각각 블루와 옐로 팔레트로 꾸몄으며, 앞으로 더욱 다채로운 컬러의 팔레트로 고객을 만날 예정이에요. 마르니 바이 루브르네프는 격식을 거부한 자유로운 이탤리언 감성을 지향합니다.” 홍혜전 작가가 공간에 대해 간략하게 소개했다.

사진 스튜디오이자 정원을 품은 홍혜전 작가의 작업실.

수국과 키 큰 팜파스로 풍성하게 채운 정원. 유럽에서 공수해온 빈티지 분수대가 눈길을 끈다.

탁 트인 전망의 10층 루프톱.
이전 공간과 비교했을 때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10층 루프톱 정원의 재구성이다. 지난번 정원에서 한 번의 ‘연습’ 과정을 거친 그녀는 아쉬웠던 부분을 보강한 정원 연출에 더욱 힘썼다. “지난번 정원은 첫 시도였어요. 완벽하지 않은 몇 가지 요소들로 아쉬움이 있었어요. 당시 다양한 식물을 심어봤는데 얕은 토심 때문에 잔디가 제대로 자라지 않았고, 그로 인해 시각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기 어려웠어요. 또 루프톱 바닥에 보일러가 깔려 있지 않아 겨울철에는 지나치게 추웠고요.” 그 당시의 문제점을 회상했다. 이번에는 그때 느꼈던 아쉬움을 보완하고자 건물의 설계를 맡은 엔이이디 건축사사무소 김성우 건축가와 함께 설계 초기부터 철저히 준비했다. 정원 연출을 염두에 두고 9층과 10층 구조를 설계했으며, 특히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땅을 1m 깊이로 파서 새로운 토양을 채워넣었다. 식물의 종류에도 변화가 있었다. 작가가 특히 좋아하는 그라스류와 팜파스가 주를 이룬다. “수국은 많이 줄이고 그라스와 팜파스 중심으로 식물을 배치했어요. 팜파스는 키가 큰 갈대같이 생긴 아이인데, 웨딩 촬영할 때에도 분위기와 잘 어울려 선택했죠.” 또한 이번에는 폴딩 도어를 설치해 실내외의 경계를 자유롭게 넘나들 수 있는 구조를 만들었다. 때로는 문을 닫아 실내처럼 활용하고, 다시 열면 정원으로 바로 연결되는 공간의 유연성이 특징이다. 바닥에는 보일러를 설치해 루프톱이 더욱 쾌적해졌고, 이는 그녀가 이전 공간에서 보완하려던 추위를 위한 중요한 변화였다.

9층 사진 스튜디오의 한쪽 벽면의 구조를 독특하게 마감해 웨딩 촬영 시 유용하게 활용하고 있다.
9층에 위치한 사진 스튜디오는 그녀의 작업 공간이자 창의적 영감을 주는 핵심 장소다. 6m의 높은 층고와 더불어 탁 트인 전망에 풍부한 자연광으로, 이전 스튜디오와는 확연히 다른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전 스튜디오에서는 빛이 충분히 들어오지 않았어요. 하지만 여기는 창문을 통해 쏟아지는 자연광 덕분에 사진 촬영 시 더욱 생동감 있는 장면을 연출할 수 있죠.” 홍혜전 작가는 이 스튜디오에서 다양한 촬영은 물론, 소규모 웨딩이나 프라이빗 행사를 위한 장소로 활용할 계획이다. 층고가 높아 웅장한 느낌을 줌은 물론 서울 시내 한복판의 스카이라인을 감상할 수 있는 장소이기에 특히 웨딩 촬영으로 인기가 좋다. 이렇게 탄생한 홍혜전 작가의 마르니 바이 루브르네프는 그녀의 삶과 작업이 긴밀하게 얽혀 있는 특별한 장소다. 자연에 대한 깊은 존중이 담긴 이곳은 방문자들에게 새로운 영감과 경험을 제공하며, 홍혜전 작가의 삶과 예술을 더욱 풍부하게 반영하고 있다.

연예인을 비롯한 유명 인사들의 웨딩 사진 전담 포토그래퍼 홍혜전.

아치 형태로 몰입감을 높인 스튜디오 내부 구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