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의 지원을 받아 제작 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우수공예품 지정제도(K-ribbon Selection)에 선정된 올해의 작가 5인을 만났다. 전통과 현대의 감각이 어우러진 그들의 작품은 한국 공예의 미래를 세계로 이끈다.

작가의 작업실 한쪽에 자리한 누비 공예품들. 도자 모양 액자는 쪽염색 기법을 통해 하나의 원단을 여러 색으로 물들여 만들었다.
누비 공예품의 디자인은 심심할 거란 편견도 정숙희 작가를 만나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미싱조차 할 줄 모르던 그가 누비 공예에 관심을 가지게 된 건 고향 통영에서 운영하던 특산품 가게 해수점을 운영하면서부터다. 우수한 품질에 비해 한정되고 투박한 디자인 때문에 통영누비 제품은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이를 개선하고자 수백 개 제품을 뜯어 원단 단위까지 분석하기 시작한 정숙희 작가는 스스로 재봉틀 사용법을 익히며 기존 제품에 새로운 원단을 덧붙였고, 어느새 디자인까지 직접 관여하며 자연스레 누비 공예가로서 첫발을 뗐다. 공예가로서 그의 행보는 실험의 연속이었다. 의류 디자이너 이상봉과 협업한 통영누비 작품을 서울패션위크에 선보이고, 부드러웠던 누비 천에 옻칠을 더해 딱딱한 소재로 재탄생시키거나 원단에 직접 그림을 그려 제품을 만드는 등 기존엔 없던 파격적인 시도를 이어왔다. 진지하게 통영누비의 현대화, 세계화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 건 청와대 사랑채에 작업물을 납품하고, 해수점을 찾은 보테가 베네타 한국 지사장에게서 명품 못지않은 통영 누비의 가치를 인정받게 되면서부터다. 한 번에 여러 줄을 박아 만드는 중국산 기계 누비가 아닌, 통영 고유의 노루발로 한 줄 한 줄 정성을 깃들여 만든 통영누비를 세계에 알리고 싶은 마음으로 공예품의 가치에 집중하기 시작했다.

통영누비로 만든 쿠션들.

2024 공진원 우수공예품으로 선정된 <누비혼 백>. 세상에 단 하나뿐인 가방을 만들기 위해 모든 디자인을 다르게 했다.

수없이 많은 원단을 자르고 이어온 작가의 손.
“공예품의 가치는 쓰임에서 오거든요. 기껏 만든 공예품이 쓰이지 않으면 그건 예술품이지, 공예품은 아니라 생각해요.” 이런 소신으로 2000원짜리 도장 지갑부터 600만원에 달하는 이불 세트는 물론, 클러치나 수면안대, 실내화 등 ‘쓰임의 가치’가 있는 모든 공예품을 누비로부터 탄생시킨 작가다.
2024년 우수공예품 지정제에 선정된 <누비혼 백> 또한 그 덕에 탄생할 수 있었다. 방석 등을 만들고 남은 자투리 천을 모아 손가방으로 만들며 쓰임의 가치’를 부여한 것이다. 저마다의 이유로 힘든 세상, 색으로나마 위안을 주고자 화려한 색상의 누비를 활용하면서도 내부 안감엔 무채색 누비를 더해 언제든 뒤집어 연출할 수 있도록 했다.

섬세한 작업을 가능하게 하는 통영 고유의 노루발.

작업실의 풍경.
지금까지 수많은 특허를 내고, 여러 상을 받은 정숙희 작가에게도 이번 2024년 우수공예품 선정은 더욱 의미 깊다. 목 디스크로 인한 건강 문제와 번아웃으로 휴식을 고민하던 찰나, 반가운 소식이 들려온 것이다. “우수공예품 선정 직후 리움스토어나 르베이지 등 제 작업물을 납품하고 싶은 곳으로부터 연락이 오더라고요. 11월 도큐서울에서 진행한 전시 <퓨쳐픽션: 유토피아를 꿈꾸는 사물>에 작가로 참여했고, 12월엔 공예트렌드페어도 예정되어 있어요. 2025년 1월엔 메종 오브제 박람회를 위해 또 한 번 파리에 가고요.” 메종 오브제엔 이미 여러 번 참가한 경험이 있지만, 우수공예품 선정 작가에게 지급하는 지원금 3500만원 덕분에 이번 출장은 더욱 풍성해질 것 같다. 과거 예산 문제로 제대로 만들지 못했던 영어 브로셔를 만들 수 있게 된 것이다. “제가 원하는 대로 브로셔를 만들 수 있게 되어 너무 좋습니다. 예전에 참석했을 때 제일 아쉬운 부분이 책자였거든요. 해외에 나를 알리기 위해서는 영어로 된 책자가 필요한데, 그땐 준비하지 못했어요.” 한창 막바지 작업 중인 책자엔 그가 지금까지 일궈온 작업에 대한 이야기가 꾹꾹 담겨 있다. 선정된 우수공예품엔 ‘코리아 프리미엄’을 상징하는 K-리본이 주어진다. 우수한 작가와 공예품이 수없이 많은 한국에서 인정받았다는 것은, 해외에서도 인정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그는 공진원의 우수공예품 제도를 통해 더 많은 한국의 공예품들이 주목받기 원한다. “저는 우리나라 공예품이 다 명품이라고 생각하거든요. 이제는 전 세계가 알아주는 우리나라 고유의 명품 브랜드가 나올 때가 됐다고 생각합니다.” 어쩌면 그 첫 번째 시작을 정숙희 작가의 통영누비가 끊게 될지도 모르겠다.

작업실의 정숙희 작가.

서울부터 밀라노까지, 원단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 방문해 직접 공수해온 원단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