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 얼굴의 화가

두 얼굴의 화가

두 얼굴의 화가

현대미술의 거장, 프랜시스 베이컨을 조명하는 전시 두 가지가 유럽에서 열리고 있다. 화가와 디자이너를 넘나드는 프랜시스 베이컨의 예술 세계.

Self-Portrait’, 1973. © The Estate of Francis Bacon

‘Portrait of a Man Walking Down Steps’, 1972. The Estate of Francis Bacon

세계에서 가장 비싼 그림 순위에 항상 올라 있고, 수많은 마니아 팬층을 거느린 작가 프랜시스 베이컨(1909~1992). 그에 대한 흥미로운 전시회가 유럽 두 곳에서 동시에 열리고 있다. 런던 초상화갤러리의 <인간의 존재>(2025년 1월 19일까지)가 널리 알려진 인물 초상화를 다루고 있다면, 남프랑스 아트 콘크리트 스페이스 Espace de l’Art Concret에서 열리는 <프랜시스 베이컨과 디자인의 황금시대>(2025년 1월 5일까지)는 베이컨의 디자이너로서 면모를 소개한다. 그가 워낙 유명한 화가이기에, 디자인도 했다는 사실은 의외로 숨겨져 있는 부분이지만, 그가 20대 후반 그림을 시작하기 전 생계를 유지했던 분야는 인테리어였다. 프랜시스 베이컨은 영국 부유한 집안의 자제였으나, 어린 시절 드러난 동성애적 성향 때문에 아버지와 갈등을 일으키다가 10대 중반에 집을 떠나게 된다. 그는 런던, 파리, 베를린 등 여러 도시를 떠돌며 잡일로 생계를 유지했는데, 심지어 도둑질과 매춘도 마다하지 않았다. 파리의 한 갤러리에서 피카소의 그림을 보게 된 것이 그를 작가의 길로 이끄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고, 1929년 런던으로 돌아와 스튜디오를 차린 후 가구 제작과 작품 활동을 병행한다. 드디어 1944년 작품 <십자가 처형의 바닥에 있는 인물을 위한 세 가지 연구>가 1945년 전시에서 크게 호평을 받으며 전후 영국을 대표하는 작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고, 이후에는 디자이너 활동은 잦아든다. 그러나 당대 그가 디자인한 가구들은 인테리어 매거진에 소개되기도 하며 주문이 꾸준히 이어졌다.

작가는 베를린에서 본 바우하우스와, 특히 파리에서 발견한 프랑스 디자이너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회고한다. 그들은 같은 영국(아일랜드) 출신으로 프랑스에서 활동한 에일린 그레이, 르 코르뷔지에, 샤를로트 페리앙, 피에르 샤로, 안드레 루르카, 로베르 말레 스티븐슨 등으로, 이번 남프랑스 전시회에서 함께 소개된다. 베이컨은 페르낭 레제의 그림에서 영향을 받아 카펫을 제작하기도 했는데, 이 카펫 또한 레제의 작품과 함께 전시될 예정이다. 전시된 디자인 가구와 그림 속에서 프랜시스 베이컨의 작품을 찾아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만큼 당대 디자이너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는 뜻이기도 하고, 베이컨의 디자인 가구가 아직은 생소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Henrietta Moraes’, 1966. © The Estate of Francis Bacon

남프랑스 아트 콘크리트 스페이스에서 열리는 전시 <프랜시스 베이컨과 디자인의 황금시대> 전경. © The Estate of Francis Bacon

한편 런던 초상화갤러리에서 열리는 <인간의 존재> 전시회는 1940년대 후반부터 후대에 이르는 50여 점의 작품들로, 작가 자신의 자화상에서부터 그의 연인이던 피터 레이시, 조지 다이어 등의 초상 등이 포함되어 있다. 이 중에는 의자에 앉아 있는 교황의 초상화를 전기고문 의자에 앉아 괴로움에 소리치는 존재처럼 묘사한 <교황 이노센트 10세의 초상>(1953) 작품, 누워 있는 인물을 그린 <헨리에타 모라에스>(1966)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이 작품들은 스페인의 대가 벨라스케스가 1650년에 그린 작품과 티치아노의 여성 누드화를 재해석한 것. 미술을 정식으로 공부한 적은 없지만, 미술관을 자주 방문하며 대가들의 작품을 직접 보고 배운 그는 작품 세계의 근간을 이루는 등 대가들의 작품에서 큰 영향을 받았다. 이들은 그에게 작가가 되고 싶다는 희망을 준 피카소를 비롯해 벨라스케스, 티치아노, 렘브란트, 반 고흐 등이 대표적이다. 또한 베이컨이 후대의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하였는데, 이번 전시에는 현대 사진작가가 베이컨을 모델로 촬영한 흑백 사진들도 함께 소개된다. 가디언 지는 이번 전시를 지금까지의 베이컨 전시회 중 최고라고 평가하면서, ‘베이컨은 종교적이든 정치적이든 신념이 없었기 때문에 당시의 현실을 온전히 마주할 수 있었던 유일한 예술가였다’고 언급한다. 긍정적인 표현으로 바꿔보자면, 어떠한 판단과 윤리를 배제한 채, 오로지 인물에만 집중한 작품이기에 시간을 초월하여 관람객을 사로잡는 매력을 지닌 것이리라.

 

CREDIT

에디터

Writer

김영애(이안아트컨설팅 대표)

TAGS
겨울밤의 마리아주

겨울밤의 마리아주

겨울밤의 마리아주

와인과 어울리는 요리책 두 권이 출간됐다. 겨울 테이블을 더욱 풍성하고 따뜻하게 만들어줄 페어링 비법에 주목해보자.

1 정리나, 백은주 <푸드&와인 페어링 쿡북> 청담동 와인 다이닝바 비놀로지의 정리나 푸드 디렉터와 와인 전문가 백은주 교수가 공동 집필한 요리책이다. 이 책에서는 누구나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37가지 와인과 어울리는 메뉴를 소개하며, 페어링의 기본 원칙도 친절하게 풀어낸다. 나라별 로컬 요리와 산지 와인을 연결한 추천뿐 아니라, 와인의 보디감에 맞춰 음식 페어링을 세심하게 나누어 다룬다. 와인에 대해 잘 모르는 사람도 쉽게 활용할 수 있는 팁과 노하우가 가득하니, 와인과 음식을 더욱 즐겁고 깊이 있게 이해하고 싶다면 이 책과 함께 시작해보자. 2만5000원, 한스미디어.

2 이윤경 <이윤경 요리> 한남동에서 와인바 마나를 운영하며 와인과 어울리는 요리를 선보이고 있는 이윤경 작가의 레시피북이 출간됐다. 죽순 카르파치오, 토마토 참치 국수, 복숭아 문어 감자 샐러드, 무청 된장 숏파스타, 연두부 김 수프 등 80여 가지의 독특하면서도 친숙한 요리를 소개한다. 이 책에서는 각각의 레시피와 함께 요리를 더욱 즐겁게 만드는 팁도 아끼지 않고 전달한다. 또한 작가가 외할머니와 엄마에게 배운 ‘입말 음식’에 얽힌 소소한 에피소드가 함께 담겨 있어, 요리의 맛뿐만 아니라 따뜻한 가족 이야기도 만날 수 있다. 2만2000원, 유선사.

CREDIT

에디터

TAGS
Art of Heritage

Art of Heritage

Art of Heritage

제주의 자연과 루이 비통이 만나 감각을 일깨우는 특별한 전시가 펼쳐졌다. 다섯 개의 테마 속에 펼쳐진 루이 비통의 다채로운 컬렉션은 저마다의 미학을 마음껏 뽐냈다.

1880년대 중반, 탐험가들을 위해 탄생한 침대 트렁크가 멋스럽게 자리하고 있는 제주의 낮.

가을이라 하기엔 여전히 따스한 바람이 불던 지난 10월의 끝자락, 제주에서 아름다운 자연과 루이 비통의 세계가 만나는 감각적인 광경이 펼쳐졌다. 루이 비통의 장인정신과 창의성을 담은 ‘사보아 레베’ 행사가 지난 10월 23일부터 11월 1일까지 JW 제주 메리어트 호텔에서 열린 것. 이 행사는 매년 큰 주목을 받는 글로벌 행사로서 그 위상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번 사보아 레베에서는 루이 비통의 대표적인 오브제 노마드 컬렉션과 하드 사이드 러기지, 이그조틱, 하이 워치 및 하이 주얼리 컬렉션이 다섯 가지 테마의 살롱으로 나뉘어 전시되었다. 제주의 낮과 밤에서 영감을 받은 살롱들은 각기 다른 콘셉트로 꾸며져 관객에게 몰입형 경험을 선사했다. 송학도 트렁크 타워로 시작해 제주의 낮과 밤을 담은 ‘Jeju by Day’와 ‘Jeju by Night’ 공간을 지나면, 이국적이고 다채로운 색감을 지닌 이그조틱 살롱이 펼쳐졌다. 다음으로는 하이 워치메이킹과 하이 주얼리가 빛나는 공간으로 이어지며, 관람객들이 제주의 분위기와 메종의 정수를 만끽할 수 있었다.

루이 비통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엿볼 수 있는 오브제 노마드 컬렉션으로 꾸민 공간.

특히 주목할 만한 오브제 노마드 컬렉션은 루이 비통의 창의성과 혁신성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작품들로 가득했다. 아틀리에 비아게티의 플라워 타워는 투명한 이탈리아 유리로 만들어져 마치 공중에 떠 있는 꽃과 같은 환상적인 조명 효과를 선사했다. 프랭크 추가 설계한 시그니처 소파와 의자는 유려한 아치형 디자인에 루이 비통의 가죽, 이탈리아 디자인 브랜드 파올라 렌티의 패브릭이 어우러져 실외에서도 사용할 수 있는 독특한 작품으로 눈길을 끌었다. 이 외에도 페르난도 & 움베르토 캄파냐 형제가 디자인한 코쿤은 하루의 여유를 만끽할 수 있는 편안한 안식처로 기능했고, 마르셀 반더스 스튜디오의 페탈 체어는 꽃잎 모양의 쿠션으로 구성되어 착석하는 순간 포근히 감싸주는 느낌을 선사했다. 행사장에는 하드 사이드 러기지 컬렉션이 함께 전시되었다. 그중 특히 여성의 로망을 실현시키는 방돔 트렁크는 파리 주얼리 장인정신을 반영해 제작된 하이 주얼리 트렁크로서, 핑크색 마이크로화이버 안감과 세련된 디자인이 돋보였다. 게다가 와인 및 증류주용 파티 트렁크로서 플렉시 글라스 패널과 디스코 볼로 현대적인 감각을 더했다.

페일 핑크 컬러로 물들인 하이 주얼리 방돔 트렁크가 돋보인다.

와인 애호가들을 위한 와인 트렁크는 새로운 아이코닉 아이템으로 큰 주목을 받았다. 루이 비통의 이그조틱 컬렉션 역시 크로커다일, 오스트리치, 리자드 등 특수 가죽으로 제작된 가방이 전시되었으며, 매 시즌 새로운 소재와 컬러로 진화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 또한 루이 비통의 대표 워치 컬렉션인 에스칼과 땅부르 시리즈는 전통적인 스위스 워치메이킹 기술과 메종의 혁신적인 접근이 반영된 타임피스로서 그 독창성을 엿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LV 모노그램과 V 시그니처를 기반으로 한 하이 주얼리 컬렉션은 다이아몬드와 다양한 고급 소재를 활용한 디자인으로 관람객의 이목을 사로잡았다. 루이 비통은 이번 사보아 레베 행사를 통해 제주의 풍경과 메종의 미학적 정수를 조화롭게 엮어내어 관람객에게 단순한 전시를 넘어서는 감동적인 경험과 오랜 여운을 남겼다.
WEB louisvuitton.com

페르난도&옴베르토 캄파냐 형제가 디자인한 흔들의자 코쿤.

와인이나 증류주를 수납할 수 있는 파티 트렁크.

구름을 연상케 하는 봄보카 소파.

매력적인 와인 컬러를 중심으로 연출한 제주의 밤.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