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기사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의 지원을 받아 제작 되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가 주최하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에서 주관하는 우수공예품 지정제도(K-ribbon Selection)에 선정된 올해의 작가 5인을 만났다. 전통과 현대의 감각이 어우러진 그들의 작품은 한국 공예의 미래를 세계로 이끈다.

고운 빛깔이 인상적인 두루주머니. 양면이 서로 다른 색감으로 구성되어 더욱 아름다우며, 우리나라 옛 풍습의 의미도 담고 있어 더욱 특별하다.

전통의 흔적을 찾아 현대적 감으로 풀어내는 작업을 하는 김영은 작가.
김영은 작가는 오래된 옷감 사이, 소리 없이 자리한 전통의 흔적을 찾아낸다. 어깨와 겨드랑이, 고름 뒤에 자리한 작은 천 조각, ‘바대’가 그 주인공이다. 한복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덧대는 이 작은 조각은 실용성을 넘어 장식적인 아름다움까지 품고 있다. 김 작가는 이 바대를 한복에서 떼어내어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한 작업을 선보인다. 보이지 않던 전통의 심미성을 작품으로 드러낸 것. 작업 과정에서 바대를 붙이는 전통 침선 기법을 고수하면서도 형태와 색상, 배열에서 다양한 실험을 이어간다. “바대라는 작은 요소를 통해 한복을 더욱 깊이 있게 들여다보고 싶었어요. 오랜 세월 동안 변하지 않은 한복의 구성 요소인 바대를 통해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고자 합니다.” 김영은 작가가 말했다. 그녀의 대표작인 <두루주머니>와 <바대가방>은 2024년 우수공예품으로 선정되며 그의 독창성, 심미성을 인정받았다. <두루주머니>는 ‘복을 선물한다’는 전통적 의미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공예품으로서, 주머니에 콩을 넣어 선물하는 옛 풍습을 그대로 담아냈다. “복을 선물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어, 이 주머니를 통해 주는 이와 받는 이 모두가 기쁨을 느끼기 바랐어요. 바대 가방은 전통 한복의 바대 기법을 활용해 장식성과 내구성을 동시에 살린 공예품이고요. 특히 바대의 기능과 장식성을 모두 살리고, 현대 생활에서도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가방을 만들고 싶었어요.” 김 작가가 말했다. 그녀의 의도와 바람을 읽은 듯 <바대가방>은 전통적 소재의 아름다움과 실용성을 결합한 공예품으로 많은 이들에게서 큰 호평을 받아왔다.

직접 한 땀 한 땀 손바느질해 만드는 만큼 그 정교함이 우수하다.

샘플 작업으로 가득찬 김영은 작가의 작업 공간.

아름다운 색감은 물론 활용성까지 챙긴 바대 가방.
사실 한국 전통에 대한 그녀의 관심은 유학 시절에서 비롯되었다. 네덜란드에서 디자인을 공부하며 한국 전통 공예에 대한 관심이 깊어졌고, 이를 계기로 2015년부터 중요무형문화재 침선장에게 침선 기법을 배우며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한복의 다양한 요소 중 하나인 바대에 집중하는 그녀의 작품은 전통 바느질 기법과 현대적 감각이 조화를 이루며, 전통 공예의 가치를 새롭게 조명하고 있다. 이번 공진원의 2024년 우수공예품 선정은 김 작가에게 큰 도움이 되었다고 꼬집는다. 선정된 작가에게 제공되는 지원금으로 인해 전시 홍보와 해외 박람회 참가 등 다양한 활동을 이어갈 수 있게 되었고, 이를 통해 공예품을 더 많은 사람에게 선보일 기회를 얻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번 지원을 통해 공예품을 소개할 수 있는 기회가 생겨 감사한 마음이에요. 우수공예품 지정을 통해 얻은 브랜드 효과는 물론, 지원금 덕분에 자생력을 쌓을 수 있었어요. 공진원의 이러한 지원이 전통 공예의 발전에 큰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감 작가는 들뜬 마음을 가감 없이 내비쳤다. 실제로 그녀의 공예품은 리움미술관 숍에 입점하며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으며, 전통의 소재와 현대적 디자인이 결합된 독창성으로 관객의 관심을 끌고 있다. 올해 연말에는 공예트렌드페어를 통해 더 많은 이들에게 공예품을 선보일 계획이며, 25년 1월에는 프랑스에서 열리는 메종&오브제에 참가해 한국 전통 공예를 세계에 알리려 한다. 앞으로도 김영은 작가는 전통 바대 기법을 다양한 형태로 확장해 전통 공예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더 많은 이들이 한국 공예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도록 전 세계를 무대로 도전할 계획이다.

작업에 사용되는 색색의 실.

로파 서울과 협업해 만든 레이어드 퍼니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