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와 물성을 가리지 않고, 꾸준히 실험적이고 독창적인 방식으로 회화의 지평을 넓혀온 작가 하종현의 작품 세계.

〈접합 74-98〉, 1974, 마포에 유채, 225 × 97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자화상〉, 1959, 캔버스에 유채, 63 × 40cm.

〈도시계획백서 67〉, 1967, 캔버스에 유채, 112 × 112cm.
시대의 무게에 맞서고, 끊임없이 회화의 지평을 넓혀온 작가 하종현. 자신만의 실험적인 방식으로 전쟁이 남긴 상흔, 도시화와 경제 성장, 언론 탄압 등 변화하는 한국의 시대상을 작품에 반영해온 그의 작품 세계의 시작엔 앵포르멜 Informel의 영향이 있었다. 정형화된 회화의 틀을 깨고 물질성을 강조했던 앵포르멜은 하종현이 작품 활동을 시작한 1950년대 후반 유럽에 등장해 예술계에 큰 변화를 야기했고, 작가 또한 이에 대한 반향으로 두꺼운 물감과 불에 그을린 표면, 어두운 색조를 활용해 전쟁과 사회적 혼란이 남긴 집단적 기억을 시각적으로 형상화했다. 그가 대학을 졸업한 때인 1959년 그린 <자화상> 또한 당시 표현기법이 잘 녹아있는 작품 중 하나다. 이후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를 거치며 다시 한 번 정치, 경제, 사회적으로 큰 격변을 겪은 70년대의 한국부터 오늘날까지, 하종현은 계속해서 재료와 물질성에 대한 실험을 이어가며 독창적인 화풍을 구축해왔다.

〈대위(對位)〉, 1971(2012년 재제작), 신문, 종이, 91.5 ×111.5 × 80cm.

〈무제 B〉, 1965, 캔버스에 유채, 콜라주, 145.5 ×112cm, 국립현대미술관 소장.
하종현의 앵포르멜 작업부터 초기 단색화 작업까지, 작가의 초기 실험정신과 물질적 탐구의 여정을 조명하는 전시 <하종현 5975>가 아트선재센터에서 진행중이다. 전시는 1959년부터 1975년까지 격동적인 한국 사회의 변화 속에서 탄생한 40여 점의 초기 작업을 다룬다. 경제개발 5개년 계획으로 인한 급격한 산업화와 근대화 과정을 추상화한 <도시계획백서> 연작과 군사정권 시대의 언론검열, 사회적 억압을 은유적으로 드러낸 〈대위(對位)〉 등. 작가는 역사적 맥락 안에서도 회화의 영역을 확장하는 실험정신을 놓지 않았다. 전시의 ‘4부: 접합-배압법’은 특히 실험정신이 극에 달하던 시기에 탄생한 작가의 <접합> 연작을 조명한다. 마대자루를 캔버스로 사용하여 그 뒤에 물감을 듬뿍 바른 후 커다란 나무주걱으로 밀어내는 ‘배압법’은 그의 독창적 기법 중 하나인데, 2010년부터는 <이후접합> 이라는 이름으로 전개되며 오늘날까지 하종현의 작업 세계를 대표하고 있다. 단순히 단색화 하나로만 기억되기에는 그가 한국 현대미술사에 남긴 업적이 너무 많다. 스프링과 철조망, 심지어 휴지까지, 재료와 물성을 가리지 않고 시대 속에서 변화하고 성장해온 작가 하종현. 그의 독창적인 조형 언어를 담은 <하종현 5975>는 아트선재센터에서 오는 4월 20일까지 진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