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운드 전문가이자 디자이너 데본 턴불이 모듈 가구 브랜드 USM과 함께 뉴욕 소호에 소리로 지은 리스닝 룸을 오픈했다.
이곳에서 울려 퍼지는 소리는 귀로 듣는 것을 넘어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공간 음악 그 자체다.

1946년 설립된 미국의 세계적인 오디오 브랜드 클립쉬와 협업해 탄생한 박스형 스피커 클립쉬 X 오자스 K0-R1. 퓨터 그레이 컬러로 마감해 더욱 미니멀하고 시크한 매력을 지녔다.
소리는 형태가 없다. 하지만 이곳에서는 그 파장이 공기를 가르고 벽을 타고 흐르며, 마치 눈에 보이는 것처럼 공간을 채운다. 뉴욕 소호의 USM 쇼룸 한편에는 정적을 깨는 음악이 울려 퍼진다. 이곳의 이름은 ‘오자스 리스닝 룸 Ojas Listening Room at USM NY’. 아날로그 방식의 스피커와 오디오 장비로 유명한 뉴욕 브랜드 오자스의 수장이자 디자이너 데본 턴불 Devon Turnbull이 설계한 곳으로 사운드가 건축적 요소처럼 공간을 조형하는 실험적 공간이다. 사운드 마니아가 아니라면 다소 생소할 수 있는 데본 턴불은 사운드를 하나의 예술적 형태로 다루며 듣는 경험 자체를 새롭게 정의한 인물이다. 대학에서 오디오 엔지니어링을 전공하며 사운드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탐구를 시작했고, 동시에 그래피티, 음악 그래픽 디자인, 패션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동하며 창작자로서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2003년, 그는 이사 살라비 Isa Saalabi, 윌 위트니 Wil Whitney, 홀리 한송크람 Holly Harnsongkram과 함께 놈 드 게르 Nom de Guerre라는 패션 브랜드를 공동 설립하며 스트리트 패션과 서브컬처 신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하지만 그는 패션 산업에만 머물지 않았다. 브랜드 활동을 지속하면서도 ‘사운드 조각 Sound Sculptures’을 제작하며 점점 오디오 세계로 깊숙이 빠져들었고, 점차 그 작업이 전 세계 오디오 애호가들에게 알려지기 시작했다. 그렇게 탄생한 것이 바로 ‘오자스’다. 고효율 스피커와 저출력 진공관 앰프를 기반으로 한 오자스의 오디오 시스템은 20년 이상의 실험과 엔지니어링, 그리고 사운드 언더그라운드 신에서의 연구를 거쳐 탄생한 작품이다. 소위 뉴욕의 ‘힙쟁이들’ 사이에 입소문이 퍼지게 된 것을 시작으로 지금의 오자스가 탄생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관람객이 자유로이 앉아 음악을 들을 수 있도록 좌석을 마련했다. 크바드랏 어쿠스틱의 포스 소재를 입힌 것.

USM의 모듈 가구를 쌓아 올려 계단식 좌석을 만든 점이 인상적이다. USM은 국내 스페이스로직에서 만나볼 수 있다.
그런 그가 USM과 협업한 이 프로젝트는 그의 사운드 철학이 집약된 공간이라 볼 수 있다. 뉴욕 소호 플래그십 스토어 내에 자리한 이 리스닝 룸은 외부 소음으로부터 자유로운 환경에서 음악에 온전히 집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음악을 하나의 신성한 경험처럼 받아들일 수 있는 ‘사운드 성소’를 테마로 이 공간을 마치 신전처럼 느낄 수 있도록 만든 것. 턴불이 큐레이팅한 오디오 시스템과 USM의 모듈러 퍼니처, 그리고 크바드랏 어쿠스틱 Kvadrat Acoustics 패널이 결합되어 최적의 음향적 균형을 완성했다. 오자스 특유의 브루탈리즘 스타일이 반영된 스피커 시스템은 절제된 형태와 단단한 질감이 돋보이며, 특히 기술적 장치보다는 ‘음악을 위한 도구’로 기능하는 앰프, 스피커, 바이닐 레코드, 오디오 매거진 등이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 눈여겨봐야 하는 것은 맞춤형 고성능 음향 솔류션을 제공하는 크바드랏 어쿠스틱과의 협업이다. 소프트 셀 브로드라인 Soft Cells Broadline 패널과 트랙 시스템이 벽면과 천장에 적용 되었으며, 진저 2 Ginger 2 패브릭으로 덮인 패널과 커튼, 비다 4 Vidar 4 패브릭으로 마감된 블랙 잭 체어, 포스 Foss 소재의 좌석 플랫폼이 배치되어 공간 전체가 하나의 유기적인 흐름을 만든다. 오자스 리스닝 룸은 청음 공간을 뛰어넘어 소리가 공간을 만들고 공간이 소리를 조각하는 순간을 경험케 한다. 결국, 이곳에서 듣는 것은 공간으로 구현된 음악이다.

고효율과 저출력 진공관 앰프를 기반으로 제작된 오디오 시스템. 특별 제작한 바이닐 레코드, 오디오 매거진 등도 만나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