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핫한 젊은 디자이너 3인의 기발한 업사이클링 조명을 소개한다.
맥도날드 램프 시리즈

@gyuhan_lee

@gyuhan_lee

@gyuhan_lee

@gyuhan_lee
햄버거를 주문하면 쉽게 얻을 수 있는 종이 포장지가 페이퍼 램프로 탄생했다. 일상의 소재를 사용해 특별한 작품을 만들어내는 이규한 작가는 맥도날드의 로고가 지닌 팝적인 이미지와 한지의 전통적인 특징을 결합시켰다. 직접 한지 장인에게서 배운 전통 한지공예 기법을 통해 포장지에 풀을 바르고 한지를 배접하여 실제 한지 질감을 구현했다. 브랜드를 상징하는 M자 로고 패턴의 반복은 마치 한지에 쓰인 글자 같은 동양적인 느낌을 풍긴다. 늦은 밤 궁궐 내부를 밝혔던 전통 한지 조명 또는 등불을 떠오르게 하는 그의 독창적인 디자인 아이디어에 주목해보길.
INSTAGRAM gyuhan_lee
단 하나뿐인 브랜드 조명

@jaehunfive

@jaehunfive

@jaehunfive

@jaehunfive

@jaehunfive

@jaehunfive
아디다스, 노스 페이스 등 이름만 들어도 누구나 알 법한 브랜드 옷을 활용해 업사이클링 오브제를 만드는 오재훈 작가. sns에서 이미 화제가 된 그의 강렬한 작업은 브랜드 패션을 사랑하는 이들에게는 결코 눈을 뗄 수 없는 디자인일 것이다. 익숙한 로고와 재질에서 느껴지는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작가의 과감한 업사이클링 방식은 특별한 시너지를 이룬다. 실과 바늘로 엮어내는 그의 작업은 발칙한 매력이 느껴지는 ‘뜻밖의 소재’를 발견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팝한 컬러의 편의점 비닐봉지와 과자 봉지, 브랜드 의류 소재 등을 보고 창작 영감을 떠올린다. 쓰레기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업계가 패션이라는 점도 그가 의류를 활용한 작업을 이어가는 이유다. 일상에서 소비하는 브랜드의 옷을 활용한 디자인은 늘 익숙하지만 신선한 것을 추구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흔들기 충분하다. 어디서도 볼 수 없는 그의 아이코닉한 작업 여정 속에 함께해보자.
INSTAGRAM @jaehunfive
폐도자기를 활용하는 가장 멋진 방법

@neulkeem

@neulkeem

@neulkeem

@neulkeem

@neulkeem

@neulkeem

@neulkeem

@neulkeem

@neulkeem
버려진 것들로 독창적인 가구와 오브제를 만들어내는 김하늘 디자이너. 코로나 팬데믹 시절 버려지는 마스크 문제에 주목하며 폐마스크를 재활용한 의자를 만들었고, 최근에는 수산시장 스티로폼 박스를 재활용한 의자로 sns에서 화제를 모았다. 2024년 4월 이천 도자기 축제와 협업 당시, 가마터에 무덤처럼 쌓인 폐도자기 파편을 보고는 램프를 제작하기로 결심한다. 부서지거나 모양이 완벽하지 않다는 이유로 무자비하게 버려졌던 수많은 도자기들에 새 생명을 불어넣은 것. 불규칙한 파편 조각을 포개고 이어 붙여 조명의 형태를 잡았고, 이음새는 옻칠과 금박으로 마감했다. 불완전한 것들로 완전한 것을 탄생시킨 작가의 9가지 특별한 도자기 조명 컬렉션을 만나 보자. 폐소재는 곧 신소재라는 그의 말을 믿게 될 것이다.
INSTAGRAM @neulke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