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도 휴식이 필요해. 자연 속 벌을 위한 호텔

벌도 휴식이 필요해. 자연 속 벌을 위한 호텔

벌도 휴식이 필요해. 자연 속 벌을 위한 호텔

폭염을 식혀줄 시원한 호캉스가 우리에게 필요하듯

꿀벌도 그러한 휴식이 절실했다.

 

벌집을 닮은 조형물이 들판 곳곳에 들어섰다. 손바닥만 한 초소형 입구, 자연스러운 나뭇결, 벌의 눈에 띌 만한 파랑, 노랑, 보라색으로 꾸며진 벌집 모양의 외관까지. 누가 봐도 ‘벌을 위한 호텔’이다.

Seed Stories by Kristina Pulejkova, Jim Holden ⓒ RBG KEW

이 특별한 공간은 영국 웨스트 서식스의 야생 식물원인 ‘웨이크허스트 Wakehurst’에 설치된 설치 작품 <씨앗 이야기 Seed Stories>다.

이 프로젝트를 기획한 예술가 ‘크리스티나 풀레이코바 Kristina Pulejkova’는 씨앗에서 시작된 생명의 순환을 예술로 풀어내면서도 그 안에 지속 가능성과 생태 과학, 디지털 기술을 함께 녹여냈다. 작품은 단순한 시각적 경험을 넘어 더위에 지친 벌들에게 실질적인 안식처를 제공한다.

Seed Stories by Kristina Pulejkova, Jim Holden ⓒ RBG KEW

네 개의 조형물로 구성된 작품은 세계 최대 규모의 지하 씨앗 은행 ‘큐 밀레니엄 시드 뱅크(MSB)’에서 보존 중인 다양한 야생 식물 종에서 영감을 받았다. 또한 천연 항진균 성분과 방향성을 가진 마린 플라이와 삼나무를 재료로 선택해 여름철 폭염 속에서도 벌이 쉴 수 있는 조건을 완성했다.

심지어 호텔의 출입구 색상도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선정됐다. 벌의 시각 스펙트럼을 고려해 파랑, 노랑, 보라 등 꿀벌이 잘 인식하는 색을 적용하고 빨강과 초록은 피했다. 이 작은 디자인 요소 하나하나가 벌에게 휴식을 부여한다.

Seed Stories by Kristina Pulejkova, Jim Holden ⓒ RBG KEW

뿐만 아니라 이 조형물은 꿀벌의 꽃가루를 수집할 수 있도록 설계돼 수분 매개자 연구에도 실질적인 기여를 한다. 과학자들은 벌이 남긴 꽃가루를 분석해 어떤 종이 어떤 식물에 끌리는지, 생물 다양성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를 연구한다. 말 그대로 살아 있는 생태 실험실이다.

조형물에는 AR 기능도 탑재되어 있어 관람객이 전용 앱으로 작품을 스캔하면 큐 시드 뱅크의 특정 씨앗 이야기와 기후 보존, 식량 안보와의 연관성을 시청각 콘텐츠로 체험할 수 있다. 전시는 9월 14일까지. 이번 여름, 벌을 위한 호텔을 찾아 떠나볼까?

Seed Stories by Kristina Pulejkova, Jim Holden ⓒ RBG KEW

CREDIT

에디터

TAGS
호텔을 실은 영국의 가장 호화로운 열차

호텔을 실은 영국의 가장 호화로운 열차

호텔을 실은 영국의 가장 호화로운 열차

“영국에서 가장 호화로운 호텔 열차가 출발하오니

승객들은 탑승해 주시기 바랍니다.”

브리태닉 익스플로러 Britannic Explorer

@Belmond

벨몬드 Belmond의 고급 슬리퍼 열차 ‘브리태닉 익스플로러 Britannic Explorer’가 오는 7월 21일 첫 여정을 시작한다. 런던을 출발해 콘월, 레이크 디스트릭트, 웨일즈를 따라 3박 4일의 여정을 이어가는 이 열차는 로열 스코츠맨의 성공에 이어 벨몬드가 선보이는 또 하나의 럭셔리 열차다.

@Belmond

차분한 그린 톤과 벨벳 소파, 세련된 그래픽 아트 벽지, 빅토리아 시대 약제상에서 영감을 받은 칵테일 바까지, 1980년대 열차를 정교하게 리노베이션한 이 프로젝트는 런던의 디자인 스튜디오 앨비온 노드 Albion Nord가 맡았다. 그랜드 스위트와 더블 및 트윈 객실 등 모든 객실의 인테리어는 기차 여행의 향수와 낭만을 담아 고요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객실 이름은 ‘발레리안’, ‘주니퍼’, ‘엘더’ 등 모두 영국 본토에서 자라는 식물 이름에서 가져왔고 웰니스 스위트에는 해양 식물에서 영감을 받은 아트워크가 더해져 자연의 감각이 곳곳에 녹아 있다.

@Belmond

@Belmond

@Belmond

@Belmond

@Belmond

‘말바 Malva’와 ‘샘파이어 Samphire’ 두 개의 식당칸에서는 셰프 사이먼 로건 Simon Rogan의 철학이 담긴 메뉴가 제공된다. 로건의 농장에서 직접 공수한 제철 식재료로 구성된 코스는 영국의 풍미를 섬세하게 풀어낸다.

지난 공식 론칭 행사에는 배우 키이라 나이틀리를 비롯한 다수의 유명 인사들이 참석해 현장을 특별하게 빛냈다. 열차의 요금은 2인 기준 11,000파운드부터. 진짜 영국을 느끼고 싶다면 브리태닉 익스플로러를 주목해 보자.

@Belmond

@Belmond

@Belmond

@Belmond

CREDIT

에디터

TAGS
정리와는 거리가 먼 맥시멀리스트들

정리와는 거리가 먼 맥시멀리스트들

정리와는 거리가 먼 맥시멀리스트들

정리 전문가 ‘곤도 마리에’가 설레지 않는 물건은 과감히 버리라고 말했지만 이들은 정반대의 삶을 선택했다. 책 더미, 빈티지 장식, 작고 쓸모없는 수집품까지, 누군가에겐 무질서일지 몰라도 이들에게는 정돈된 취향의 질서다. 각자의 취향으로 공간을 채우는 맥시멀리스트들.

 

여행에서 수집한 오브제로 빼곡히 채운 집

런던베이글뮤지엄의 대표이자 디렉터로 활동하는 료는 일상 속 사물을 감각적으로 재조합하는데 탁월한 사람이다. 그녀의 집은 아이 같은 호기심으로 수집한 오브제, 앤티크 인형, 작은 액자들이 층층이 쌓여 하나의 이야기처럼 느껴진다. 유럽 골동품 가게, 일본의 공예 상점, 서울의 벼룩시장이 한 방에 모인 듯한 이 공간은 료의 크고 작은 취향들이 충돌 없이 공존하는 장이다. 벽지를 뜯기보다 포스터를 겹겹이 붙이고, 수납장 위엔 또 다른 오브제를 얹었다. 어지럽기보다는 흥미롭고, 복잡하기보다는 생동감이 살아있는 느낌을 준다.

@philosophy_ryo

@philosophy_ryo

@philosophy_ryo

@philosophy_ryo

@philosophy_ryo

@philosophy_ryo

충동구매로 완성한 맥시멀 하우스

물건으로 가득 찬 집. 오죽하면 ‘애오개 박수 무당’이라는 별명이 붙은 김도훈 칼럼니스트의 공간은 책, 굿즈, 오래된 카메라 등 크고 작은 사물들로 빼곡하다. 수백 권의 책이 들어찬 책장 칸막이 사이사이엔 영화 관련 소품과 수집품들이 끼워져 있고 그 모든 물건에는 저마다의 이유와 감성이 묻어있다. 그는 최근 펴낸 신간 〈나의 충동구매 연대기〉에서 이렇게 말한다. “우리에겐 나다운 물건으로 가득한 세계가 필요하다.” 누군가에겐 단순한 잡동사니로 보일지 몰라도 그에겐 한 문장보다 더 명확하게 자신을 설명해주는 취향의 기록이다.

출처: @r.tenderco, Photographed by @bakjesa

 

옷 잘 입는 할머니의 민속관

‘패션 할머니’라는 별명으로 알려진 인스타그래머 유수미. 그녀는 한국 고가구를 40년 동안 모아온 주부 수집가로서 70대에 접어든 지금까지도 바느질과 민속품을 활용한 독창적인 오브제 등을 제작하며 SNS에서 활발히 활동 중이다. 그녀의 집은 마치 작업실과 박물관, 그리고 갤러리를 합쳐 놓은 듯한 공간이다. 천 조각을 덧댄 손바느질 인형부터 민속 시장에서 모은 탈과 액자까지 크기와 성격이 다른 오브제들이 곳곳을 메운다. 한국 앤티크를 사랑하면서도 패션에 있어서는 뉴 컬렉션을 놓치지 않는다. 크롬하츠, 꼼데 가르송 등 패션할머니다운 센스있는 취향도 엿볼 수 있다.

@yoo_su_mi_

@yoo_su_mi_

@yoo_su_mi_

CREDIT

에디터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