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HERITAGE

NEW HERITAGE

NEW HERITAGE

김나연 작가

김수연 작가

임서윤 작가

NEW HERITAGE

신세계백화점이 한국적 라이프스타일의 본질을 조명하는 브랜드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를 론칭한다. 공예의 귀한 가치와 정성이 담긴 선물을 제안하는 이 공간은 전시와 워크숍, 디저트 살롱, 기프트 숍을 아우르며 전통과 현재를 잇는 복합문화 공간으로 구성된다.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새롭게 문을 여는 ‘더 헤리티지’와 함께 공식 공개되며, 하우스오브신세계 헤리티지는 이곳 5층과 지하 1층에 자리한다. 더 헤리티지는 근대 건축의 아름다움을 복원한 공간으로, 한국의 미감과 문화를 품은 새로운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오픈을 기념해 개최되는 첫 전시 <담아 이르다>는 우리 일상의 중요한 순간을 감싸온 ‘보자기’에 주목한다. 전통 보자기와 함께, 현대 섬유공예 작가 8팀의 시선을 더한 작품을 통해 보자기의 조형성과 삶의 지혜, 그 안에 깃든 문화를 되새긴다. 전시는 6월 15일까지 이어진다. ADD 서울시 중구 소공로 63

CREDIT

에디터

TAGS
럭셔리의 대중화, 프렌치 월페이퍼

럭셔리의 대중화, 프렌치 월페이퍼

럭셔리의 대중화, 프렌치 월페이퍼

한때 귀족의 전유물이었던 아름다운 벽지는 18세기 중산층의 손끝에서 일상으로 스며들었다. 기술과 취향,
그리고 시대를 담은 프랑스 벽지의 예술적 가치가 다시 조명되고 있다.

뉴욕 RISD 미술관에서 열리는 <프렌치 월페이퍼의 예술> 전시는 5월 11일까지 진행된다. © courtesy RISD

1840년대 베니스 풍광을 담은 벽지. © courtesy RISD

봄이 왔다. 굳이 이사를 가지 않더라도, 신선한 변화를 위해 한번쯤 생각해보는 것은 도배가 아닐까? 바로 이때 화사하고 우아한 포인트 벽지를 찾기도 하는데, 벽지 문화는 언제부터 왜 시작된 것일까? 이 의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는 전시회 <프렌치 월페이퍼의 예술>이 뉴욕 RISD 미술관에서 열리고 있다. 벽지는 집을 장식하는 ‘재료’ 정도로 여겨졌기에 시간이 흐르고 취향이 변하면 그저 버려지고 말았다. 하지만 이는 그 시대의 사회상과 취향, 기술, 나아가 사회적 맥락과 경제 상황까지 알아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이기도 하다. 후아드 Huard 컬렉터 부부는 1920~30년대에 버려진 벽지를 열정적으로 수집했고, 그 가치를 알아본 미술관은 1934년 컬렉션을 인수했다. 소장 컬렉션 500여 점 중 이번 전시에는 벽지, 도안 등 100여 점이 소개된다. 벽지 예술에 대한 대중적 인식이 부족한 탓도 있지만, 종이 재료의 취약성 때문에 앞으로 이러한 전시는 볼 기회가 많지 않을 듯하다.

아르 데코 감성의 뒤낭 컬렉션은 드 고네이 제품으로 유앤어스에서 판매. ⒸAlexandra Shamis

꽃과 새, 화병 등을 회화적으로 그려낸 피에트라 뒤라 컬렉션은 드 고네이 제품으로 유앤어스에서 판매. ⒸAlexandra Shamis

벽지를 탄생시킨 주인공은 신분이 점점 높아지고 경제력을 확보하게 된 18~19세기의 중산층 시민이다. 그들은 왕궁이나 귀족의 저택 벽을 장식하던 아름답고 화려한 프레스코 혹은 타피스트리 대신 종이를 바르기 시작했다. 또한 18세기 중후반 목판인쇄 기술의 보급으로 화려한 패턴과 섬세한 장식이 대량생산하게 되어 그 영향을 미쳤다. 화가에게 주문하거나 타피스트리를 만드는 것보다 훨씬 저렴한 비용으로 비슷한 효과를 낼 수 있었던 것이다. 아름다운 벽지는 신분의 벽을 넘어선 사람들에게 처음으로 허락된 사치스러운 인테리어인 셈이었다. 장식의 주제는 대체로 신화나 목가적 풍경, 전원생활, 혹은 이국적인 도시 풍경으로 로코코 궁중 문화에 대한 동경을 표출했다. 이 시기 인쇄술은 종이에만 적용된 것은 아니었다. 천에도 인쇄할 수 있게 되면서 ‘투왈 드 주이 Toile de Jouy’라는 것도 유행하게 되었는데, 이는 당시 인쇄산업의 근거지였던 주이 장 조자스 Jouy-en-Josas의 지명을 따서, ‘주이 지역의 천’이라고 이름 붙인 것이다. 목판에서 동판으로, 기계식 롤러프린트 등 인쇄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무늬는 단순한 것에서부터 정교한 것으로, 또 점차 풍경화나 역사화 같은 대형 파노라마 장면까지 구현할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같은 무늬를 인쇄해 천은 커튼으로, 종이는 벽지로 통일감 있는 실내 인테리어를 구성하기도 했다. 수작업처럼 보이지만 기계화로 대량 확산되었던 중산층의 문화는 아이러니하게도 오늘날 섬세한 손기술로만 구현이 가능한 희귀한 작업이 됐다. 기술을 재현해내는 과정에서 이왕이면 가장 어려운 과정에 도전하는 벽지 전문가들도 생겨나고 있다. 주로 중국이나 프랑스에서 상류층을 위해 제작한 직접 손으로 그리거나 목판 인쇄 후 수작업으로 색을 채워넣는 벽지가 대표적이다. 이처럼 벽지의 문화도 제작 방식, 크기, 용도, 계층 등에 따라 다양한 층위가 있다. 그동안 제대로 대접받지 못했던 ‘벽지 예술’에 대한 새로운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이번 전시는 컬렉터와 디자이너 모두의 관심을 끌 만하다.

CREDIT

에디터

WRITER

김영애(이안아트컨설팅 대표)

TAGS
Feminine Beauty

Feminine Beauty

Feminine Beauty

서로 다른 매력을 지닌 여성 네 명을 떠올리게 하는 테이블웨어 컬렉션 4.

페리 플레이트

페리 머그

로즈 에퀴메 플레이트

알베르틴 티포트

알베르틴 캔디 디시

Bernardaud
프랑스 리모주 지역의 도자기 공장에서 유난히 두각을 나타내던 견습생 레오나르 베르나르도에게서 시작된 베르나르도의 역사는 지속적으로 생산성과 품질 향상에 박차를 가하며 성장해왔다. 5세대인 미셸 베르나르도가 경영을 이어받으며 장인이 만든 그릇에 현대적인 감성을 더하기 시작해, 지금까지 세계적인 셰프들과 미세린 레스토랑의 사랑을 받고 있다. 그중에서도 수많은 물방울 형태를 음각으로 새긴 에퀴메 Ecume는 베르나르도의 시그니처 패턴이며, 파우더리한 핑크 컬러를 더한 로즈 에퀴메 Rose Ecume는 테이블 위를 꽃처럼 장식한다. 또한 마치 그릇에 불꽃놀이가 펼쳐진 것 같은 민들레 꽃씨와 별, 벌새와 나비 등이 화사하게 그려진 페리 Féerie, 한 가지 색상으로 풍경을 담아내는 투알 드 주이 Toiles de Jouy 스타일로 목가적인 느낌을 그려낸 그린 컬러의 알베르틴 Albertine은 싱그러운 초여름을 닮았다.

코코 컵

튤립 베이스

에브리싱 나이스 버터 접시

튤립 카라페

페탈 플레이트

튤립 와인잔

Sophie Lou Jacobsen
소피 루 제이콥슨이 소개하는 디자인은 우아하고 기품이 있는데 여기에 실용성까지 갖췄다. 프랑스계 미국인 디자이너이자 예술가,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등 다재다능한 그녀는 다문화적인 감성이 깃든 홈 액세서리부터 조명, 수집품, 스튜디오 작업을 선보인다. 브루클린에서 수작업으로 제작하는 유리 주문 제작 제품은 꽃잎과 원형의 정교한 유리 장식 덕분에 소장 욕구를 불러일으킨다. 브랜드 드 고네 de Gournay를 위한 조명 튤리파 Tulipa, 수백 년 된 파초레토 Fazzoletto 기법을 통해 손으로 회전시켜서 만든 물결치는 유리 갓이 특징인 파초Fazzo 램프처럼 테이블과 식탁 위를 밝혀줄 조명 디자인 또한 매혹적이다. ‘천사의 나팔꽃’이라고 불리는 엔젤 트럼펫의 모양을 본딴 와인과 샴페인 잔, 원형의 요소가 앙증맞은 달걀 컵, 꽃잎을 닮은 접시 같은 소피 루 제이콥슨의 테이블웨어는 평소 ‘여성스러운’ 디자인에 끌리지 않는 이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충분히 매력적이다.

블루 하프 레이스 파스타 볼

퍼플 플루티드 풀 레이스 골드 플레이트

블루 하프 레이스 케이크 스탠드

퍼플 플루티드 풀 레이스 골드 티포트와 컵 & 소서

Royal Copenhagen
새하얀 자기에 그려진 코발트 블루는 왠지 모르게 더욱 푸르고 화려하게 느껴진다. 1775년 덴마크 왕실의 지원을 받아 왕립 자기 공장에서 성장했고, 이후 민영화가 되면서 전 세계적인 사랑을 받기 시작한 로얄 코펜하겐은 블루 컬러의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본차이나의 영향을 받았지만 동양적이기보다는 푸른색 꽃이 핀 정원을 닮았다. 하나의 그릇이 완성되기까지 30여 명의 장인을 거쳐야 하는 로얄 코펜하겐의 그릇은 가장자리의 작은 홀까지 세밀함의 극치를 보여주는 브랜드의 시그니처 패턴인 블루 풀 레이스를 비롯해, 최초의 디너웨어 라인인 블루 플레인과 가장자리 레이스가 귀엽고 사랑스러운 프린센스, 큼직한 로고가 특징인 메가 라인 등 시대의 흐름을 따르며 새로운 패턴을 만들고 있다. 디자이너 아놀드 크로그가 1888년에 디자인한 블루 하프 레이스는 뚜껑과 핸들에 달팽이 장식을 더해 식물과 꽃 패턴과의 조화로움을 보여주며, 특히 창립 250주년을 맞이해 출시한 퍼플 플루티드 풀 레이스 골드는 고급스러운 자줏빛 패턴과 금테 장식이 어우러져 기품 있는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찰스 풋 볼

몽 앙쥐 케루빔 플레이트

생 자크 스몰 플래터

Carron
새하얗고 은은한 광택이 감도는 브랜드 까홍 Carron의 컬렉션에서는 왠지 모를 익숙함이 느껴질지도 모른다. 까홍을 이끌고 있는 마틸드는 집안 브랜드 아스티에 드 빌라트의 공동 설립자였다. 그녀는 아스티에 드 빌라트에서 독립해 2014년부터 아들 찰스와 함께 자신만의 브랜드 까홍을 운영하고 있다. 조각가 아버지의 영향을 깊게 받은 마틸드는 다양한 지역의 아트와 문화, 화가 같은 예술가들로부터 영감받은 디자인을 선보이며 테이블웨어에 조각적인 요소를 더한다. 꽃병, 접시, 볼, 컵 등 손으로 만들어지는 까홍의 컬렉션은 검은색 테라코타에 우유색의 유약을 발라서 굽는다. 리본과 매듭 장식이 강조된 마리 앙투아네트 Marie-Antoinette는 까홍의 대표적인 컬렉션이다. 꽃이 펼쳐진 것 같은 형태의 마드모아젤 Mademoiselle, 화려한 조개 껍데기 장식이 특징인 찰스 Charles, 천사 모티프가 사랑스러운 몽 앙쥐 Mon Ange 등까홍에서 선보이는 컬렉션은 고전적인 동시에 현대적이고, 투박하면서 섬세하다.

CREDIT

FREELANCE EDITOR

신진수

TA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