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과 마법, 이미지와 언어 사이에서 상상의 구조를 세우는 프랑스 크리에이터 듀오 M/M(파리).
두 사람이 직조한 시각적 기호의 세계는 감각과 해석이 만나는 지점에서 다시금 의미를 만들어낸다.

<사랑 / 마법 ♥ / MABEOB M / MAGIE> 전시 전경.

M /M(파리)의 미카엘 암잘라그와 마티아스 오귀스티니악. 자료제공: F1963
현실이 더 이상 상상보다 선명하지 않을 때, 예술은 그 사이를 건너는 다리를 놓는다. 파리를 기반으로 활동해온 세계적인 크리에이터 듀오 M/M(파리 Paris)의 전시 <사랑 / 마법 ♥ / MABEOB M / MAGIE>은 그 현실과 상상을 수놓는 다리이자, 이들의 손끝에서 피어난 시각적 기호와 상상력의 아카이브다. M/M(파리)의 이름은 단순한 이니셜을 넘어, 서로의 기호를 탐구하며 함께 성장해온 두 디자이너 마티아스 오귀스티니악 Mathias Augustyniak과 미카엘 암잘라그 Michaël Amzalag의 서사를 상징한다. 그들이 구축한 세계는 극적인 감정이 소용돌이치는 오페라의 무대처럼 과장되거나, 한 장의 얇은 포스터처럼 평면적이지 않다. 이미지와 언어, 상징과 공간이 겹쳐지는 다차원적 구성 속에서, 전시는 ‘사랑’과 ‘마법’이라는 두 개의 기호를 사이에 두고 끊임없이 재조합하며 그 경계를 유희한다. 이들 세계의 사랑은 단순한 감정보다는 관계의 복합성이며, 마법은 이미지를 통한 의미 생산의 메커니즘이다. ‘마지 Magie’는 프랑스어로 ‘마법’을 뜻하지만, M/M(파리)의 언어 안에서는 ‘Image’, ‘Magi’, ‘Nation’으로 해체되어 ‘IMAGINATION 상상’에 이르는 또 다른 문장으로 확장된다. 사랑과마법은 곧 상상이며, 그것은 이들이 세상을 해석하는 방식이자 도구다.
전시는 총 6개 구역으로 구성된다. 도시 이름을 딴 알파벳 스툴 <B,U,S,A,N>이 설치된 로비를 시작으로 ‘해운대’와 ‘코펜하겐’을 지나 ‘마법’, ‘마지’, ‘테베 Thebes’까지 이어지는 이 여정은 감각의 흐름으로 구성된다. 전시의 중추는 M/M(파리)가 직접 디자인한 78장의 타로 카드에 있다. 카드는 ‘미래를 예측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시각적 체계의 한계를 시험하기 위해’ 만들어진 디자이너적 시선의 상징 구조다. 그들의 시각 언어는 아이콘, 지표, 상징의 삼각 구조 안에서 끊임없이 움직인다. 퍼스의 기호학 이론에 기반한 이 철학적 탐색은 곧 의미의 조건을 묻는 행위다. 전시 마지막 공간 ‘테베’에서 상영되는 오페라 영화 <안티고네(Antigone Under Hypnosis)>는 이들이 이미지로 구현해낸 언어의 집약적 구현이다. 공간, 시간, 신화, 기억이 하나의 시퀀스로 작동하며, 관객은 어느 순간 이야기의 구성자이자 해석자가 될 것이다. M/M (파리)는 이번 전시를 통해 예술이 정지된 기호가 아닌 연주 가능한 언어임을 드러낸다. 그 악보 위에서 우리는 자신만의 사랑과 마법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전시는 오는 9월 14일까지 부산 F1963 석천홀에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