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 탐구 생활

기본 탐구 생활

기본 탐구 생활

작가 서정화는 2014 공예 트렌드 페어에서 돌과 알루미늄을 조합한 선반장으로 주목을 받았다. 소재와 작품 철학에 대해 깊이 고민했던 그에게 돌아온 당연한 결과였다.

작가가 되기까지의 여정은 어떠했나? 홍익대 목조형학과를 졸업하고 네덜란드에서 아인트호벤 디자인 아카데미 DAE의 석사과정을 밟았다. IM이란 학부를 다녔는데 ‘Conceptual Design in Context’가 이 학부의 부제다. 디자인의 바탕이 되는 내용을 공부하는 학부로 소재에 따라 학부가 나뉘는 한국과는 좀 다르다. 귀국해서 바로 작품 활동을 하지는 못했다. 학교에 머물면서 준비를 했고 2013년부터 본격적으로 작품을 선보였다.

특별히 소재에 집중하게 된 계기가 있었나? 작업의 주제를 소재로 정했던 이유 중 하나는 소재의 폭을 넓히면 이후 작업을 하는 데 다양한 상상력을 전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현재는 메터리얼 컨테이너 시리즈에서 반응이 좋았던 돌이나 금속 소재를 바탕으로 형태, 구조, 공간에 집중한 작업을 하고 있다.

↑ 매테리얼 시리즈의 스툴.

매터리얼 컨테이너 시리즈 Material Container Series의 첫 작품인 스툴은 어떻게 구상했나? 우연히 내가 만든 놋그릇 위에 제주도에서 가져온 작은 현무암 조각을 올려두었는데 두 소재의 어우러진 느낌이 좋았다. 현무암도 건축에서는 흔하게 사용하는 소재인데 이를 바탕으로 건축적인 디자인의 스툴을 구상하게 됐고 그중에서도 현무암과 황동 소재를 조합한 스툴이 가장 마음에 들었다.

첨단 소재도 많은데 돌과 금속 등 기본적인 소재에 매력을 느끼는가? 가장 먼저 다른 사람들이 잘 사용하지 않는 소재를 원했다. 대리석만 해도 최근 많은 작가들이 애용하고 있으며 실생활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내가 사용하는 소재 역시 흔하게 볼 수 있지만 또 다른 소재와의 만남으로 새롭게 보일 수 있다. 이런 새로운 시각을 계속해서 보여주고 싶다.

스툴에 사용한 장미목, 왕골 방석 등은 수공예적인 느낌이 많이 묻어난다. 스툴의 몸통 부분이 장미목인 경우 공이 많이 든다. 강화도의 왕골 공예 장인에게 제작을 의뢰했고 장미목 역시 원하는 형태로 깎을 수 있는 전문가에게 맡겼다. 소재 못지않게 가공 방식도 흥미로운 부분이다.

작년에 처음 공예 트렌드 페어에서 선보인 선반장은 매터리얼 컨테이너 시리즈의 연장선인가? 스툴처럼 비례적인 것과 조형적인 면을 많이 생각한 작품이다. 소재는 돌과 알루미늄으로 단순하지만 블록처럼 어떻게 쌓고 매치하느냐에 따라 다른 느낌을 준다. 용도 또한 벤치부터 벤치와 사이드 테이블, 선반장 등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형태, 기능, 소재 중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디자인은 형태, 기능, 소재가 상황과 목적에 따라 적절히 조화를 이루어야 하므로 그중 어느 하나가 더 중요하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작품을 만드는 작가 입장에서는 한 가지 요소에 집중해서 극대화하는 것이 주제를 전달하는 데 더욱 효과적이다.

그렇다면 앞으로 도전하고 싶은 소재는 무엇인가? 왕골 공예를 활용했던 것처럼 다른 전통 공예 기업도 다뤄보고 싶고 첨단 기계를 이용한 가공 기법을 적용한 결과물도 생각 중이다. 다음 작품으는 투명한 크리스털, 유리 등의 소재를 활용해보고 싶다.

상업성과 작품성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잡는가? 개인으로 활동하는 작가에게는 작품성에 더 집중하는 것이 가장 주요한 상업 수단이다. 하고 싶은 작업을 계속한다면 내 작품을 상업적으로 바라보는 수요도 생길 것이라고 믿는다. 최근 현무암을 활용해 제주도 관광 상품을 디자인했는데 내가 작가로서 가지고 있는 역량을 충분히 보여주어야 하기 때문에 이러한 프로젝트가 작품성이 낮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준비하고 있는 전시가 있다면? 2월에 뮌헨 크리에이티브 비지니스 위크에 `Tools for a Break: Korean Crafts & Design`이라는 전시에 참여한다. 5월에는 베를린 디자인 위크에서 같은 주제로 작품을 선보일 예정이라 당분간은 해외에서 열리는 전시에 집중할 계획이다.

에디터 신진수 | 포토그래퍼 신국범

CREDIT
LP 듣는 날

LP 듣는 날

LP 듣는 날

동그란 판을 꺼내 턴테이블에 얹는다. 그 위에 바늘을 올린다. 바늘이 미끄러지며 숨어 있던 음표들을 하나씩 불러낸다. 불편함을 감수할 즐거움과 가치는 경험해본 사람들만 안다. LP 음악을 들을 수 있거나 구입할 수 있는 아홉 곳을 모았다.

뮤즈온
용산 필레코드를 운영하는 김원식 대표가 선보인 음악 감상실 겸 바. 1960년대 록, 올드 팝부터 재즈, 가요와 남미, 쿠바의 희귀 앨범까지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레코드로 직접 들을 수 있다. 듣고 싶은 음악이 있다면 각 테이블에 놓여 있는 종이에 신청곡을 적어 디제이에게 건네면 된다. 대표가 영국의 벼룩시장에서 직접 사온 빈티지 진공관 라디오, 뮤직박스, 레코드를 직접 보고 만져볼 수 있는 ‘컬렉터스 테이블’ 등 볼거리도 다양한 공간. 맥주, 와인, 보드카, 럼 등을 판매한다.
주소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544-16
문의 02-514-4541

추천 앨범 비틀즈의 5대 명반 중 하나로 꼽히는 RUBBER SOUL

돌레코드
바둑을 좋아하는 대표의 취향을 반영한 이름, 돌레코드. 긴 복도를 레코드로 빼곡히 채운 돌레코드는 4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레코드 매장 중 하나이다. 재즈, 클래식, 가요 등 장르를 불문한 중고 LP와 CD가 알파벳 순으로 정리되어 구입하고자 하는 가수의 이름만 알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매장 안쪽엔 작은 의자가 있어 음악을 들으며 구입에 대해 부담 없이 묻고 조언을 들을 수 있다.
주소 서울시 종로구 황학동 41
문의 02-2235-7130

시트 레코드
사람 좋은 웃음으로 방문객을 맞아주는 유지환 대표는 19살 때부터 LP를 모아왔다. 이곳 시트 레코드에서는 그동안 모은 LP 외에 미국에서 직접 구입해온 LP를 판매한다. 재즈, 소울, 펑크, 디스코 등 젊은 층이 좋아할 만한 장르를 취급한다. 여러장 소장하고 있는 lp는 1천원에 판매하는 코너도 있으며, 팝아트 작품처럼 개성 넘치는 LP 재킷으로 벽면을 꾸민 모습이 멋진 곳이다.
주소 서울시 마포구 서교동 464-1 2층
문의 070-7803-6813

추천 앨범 재즈 드러머 막스 로치의 It`s Time

레코드이슈
13년간 ‘엠비엘 MBL’, ‘피에가 Piega’ 등 하이엔드 오디오를 수입해온 음향 전문가 김한진 대표와 레코드 컬렉터 백승민 대표가 운영하는 레코드이슈는 음악을 들으며 커피를 마실 수 있는 카페 겸 LP 숍이다. 일본, 독일 등에서 직접 구해온 중고 및 신보 LP와 CD를 주로 판매하며 구매자의 예산과 취향에 맞춰 턴테이블, 오디오 등을 구성해주기도 한다. 매장 밖으로 벤치가 있어 날이 좋으면 밖에 앉아 음악을 감상할 수 있다.
주소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258-227
문의 010-5248-9842

추천 앨범 바비 콜드웰의 What You Won’t Do for Love

김밥레고즈
음반계에 몸담아온 김영혁 대표가 2012년 선보인 김밥레코즈는 그가 좋아하거나 누군가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LP를 판매한다. 김밥레코즈는 음반을 발매하는 레이블이기도 하며, 다양한 아티스트의 내한공연을 기획하기도 한다. 중고 LP는 구입하기 전 청음이 가능하며, 밀봉된 경우 유튜브나 스트리밍으로 음악을 듣고 구입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주소 서울시 마포구 동교동 155-36
문의 02-322-2395

추천 앨범 TV 시리즈 <피너츠>의 사운드트랙인 빈스 과랄디의 Jazz Impressions of A Boy Named Charlie Brown

순결
등 공예가인 이종현 대표가 전통 등을 만들기 위해 마련한 공간이었다가 LP를 들을 수 있는 찻집으로 변모한 순결. ‘몸에 나쁜 것은 팔지 말자’는 생각에 설탕을 첨가하지 않은 담금차를 판매한다. 옛날 다방 소파, 비디오 등으로 공간을 꾸며 예스러운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음악은 주로 대표가 선곡하지만 때에 따라 신청곡을 틀어주기도 한다. 한 달에 한 번 인디 밴드들이 사용했던 옷, 악기, LP를 2천원에 판매하는 뮤지션 벼룩시장도 진행한다.
주소 서울시 마포구 상수동 342-1
문의 010-6609-0111

추천 앨범 추천 앨범 로커빌리와 로큰롤 탄생에 기여한 조니 캐시의 the Johnny Cash show

리빙사
리빙사는 본래 외국 서적을 팔던 서점이었다. 당시 수입되지 않는 책과 LP를 미군부대에서 구해 판매하다가 LP만 취급한 지 벌써 60여 년에 이른다. 현재 모든 LP는 유럽, 미국, 일본에서 이석현 대표가 직접 수입하며 다양한 장르의 LP를 취급한다. 초등학생이 진지하게 비틀즈의 음반을 찾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던 곳.
주소 서울시 중구 충무로1가 50-10 회현지하상가 나24-26호, 라25호
문의 02-778-8868

추천 앨범 이석현 대표가 가수 김두수의 공연을 찾아 직접 사인을 받은 레코드

골목바이닐앤펍
레코드를 의미하는 ‘바이닐 Vinyl’에 ‘펍 Pub’을 더한 골목바이닐앤펍. 15년간 다니던 광고회사를 그만두고 2013년 이곳을 연 황세현 대표는 중고등학생 때부터 모아온 1만여 장의 레코드를 골목바이닐앤펍으로 옮겨왔다. 동네에서 가볍게 술 한잔할 수 있는 분위기로 크래프트 비어, 칵테일 등을 판매한다. 아이돌 음악을 제외한 1960년대 팝, 록, 80년대 뉴웨이브 등을 들을 수 있으며, 뮤지션 공연, 영화 상영 등 문화 프로그램도 진행 중이다.
주소 서울시 용산구 이태원동 557 2층
문의 02-790-5979

추천 앨범 쳇 페이커의 Built on Glass

rm.360
방배동에 위치한 룸360은 디제이 모임인 ‘360사운즈’에서 활동하는 디제이들이 선택한 신보와 중고 LP, CD를 취급한다. 디스코, 펑크, 소울 등의 장르를 취급하며 그중에서도 디제이를 꿈꾸는 사람에게 영감을 줄 수 있는 음악을 선별해 판매한다. LP는 장당 3만원대이며 흑인 음악 전문지인 <왁스 포에틱스 Wax Poetics>, 낱장의 포스터 묶음인 <스니즈 매거진 Sneeze magazine>, 360사운즈가 디자인한 옷들도 함께 판매해 디제이 문화에 관심이 많은 이에게 추천할 만하다.
주소 서울시 서초구 방배동 985-11
문의 02-3474-0360

추천 앨범 재즈 힙합 프로듀서 로랑주의 신보인 The Orchid Day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 | 포토그래퍼 이향아 · 차가연

CREDIT
준비하는 2월

준비하는 2월

준비하는 2월

봄을 기다리는 마음에 왠지 설레는 2월. <메종> 에디터들은 어떤 마음으로 봄을 준비하고 있을까?

수정아, 축하해
나와는 성격도 외모도 다른 동생은 어릴 때부터 외모 꾸미는 것을 좋아했다. 책상보다 거울 앞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길래 언니로서 한마디 하니 눈을 흘기며 알아서 한다더니 며칠 전 대학 합격 소식을 전해왔다. 귀고리, 목걸이 등 액세서리와 친구들에게 선물 받는 소중한 물건이 많아질 텐데 수납공간이 넉넉한 유리 함을 보니 동생 생각이 났다. 수정아, 수고했다. 축하해. 메종드실비에서 판매. 큰 것 12만8천원, 작은 것 9만8천원.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

주방을 부탁해
핀란드의 작가 토베 얀손에 의해 태어난 캐릭터, 무민. 뽀얗고 포동포동한 몸매의 무민은 핀란드의 국민 캐릭터이자 유럽과 미국에 이어 한국에도 많이 알려진 전 세계적인 스타다. 무민이 그려진 숱한 제품을 보았지만 보자마자 바로 구입한 법랑 냄비. 무표정이지만 잼이 타지 않고 맛있게 졸여지는 데 열중인 듯한 모습이 사랑스럽기 그지없다. 밋밋한 주방에 따뜻한 생기를 불어넣으리라 믿는다. 이노메싸에서 판매. 4만7천원 에디터 이경현

조명 같은 초
직접 새어나오는 불빛보다 초에서 간간이 새어나오는 불빛을 좋아해 지갑을 자주 여는 편이다. 얼마 전 덴스크에서 구입한 이 초는 따스한 빛을 머금은 그래픽 패턴이 좋아 구입했다. 14cm 높이에 한 손에 잡히지 않는 묵직함이 느껴지는 크기로 오래 두고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 단, 향초가 아니라는 점이 좀 아쉽지만 그만큼 가격이 합리적이다. 덴스크에서 판매. 3만원. 에디터 박명주

엉덩이를 위한 사치
방 안의 침대에 눕거나 기대서 TV를 보곤 한다. 그러다 보니 식사 후엔 속이 더부룩해지기 십상. 그런 이유로 바닥에 앉아서 TV를 보기 시작했는데, 그러던 중 티네 케이 홈의 쿠션 방석을 발견했다. 단추 장식이 지나치게 여성스럽지 않고 비둘기색 줄무늬가 마음에 들어서 구입! 피크닉이나 캠핑에서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 같아 만족스럽다. 이제 바닥에 앉아 오랫동안 TV를 볼 수 있게 됐다. 하우스라벨에서 판매. 6만3천원. 에디터 신진수

메종 편집부 | 포토그래퍼 이향아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