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공간에서 몸을 부대끼고 얼굴을 마주보며 지내는 네 팀을 만났다. 하는 일도 다르고 공간에 모인 사람의 수도 제각각이다. 그러나 혼자가 아니기에 더욱 에너지가 넘치는 것만은 분명했다.
↑ 그래픽 액자를 제작해 판매하는 숍 비코.
다섯 사람, 한 가지 생각
연희동 주택가 쪽으로 파고들면 ‘그림 파는 가게’라는 간판을 내건 숍 비코 Vico가 있다. 비코 숍 안쪽으로 계단을 몇 개 더 내려가면 더 재미있는 공간이 존재한다. 가장 바깥쪽 공간은 비코의 숍으로 사용하고 있지만 안에는 몇 개의 책상과 회의실을 갖춘 프리랜서들의 공간이 나타나는 것. 비코의 윤소담, 이진아 대표를 비롯해 지난가을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에서 ‘신선놀음’으로 주목받은 젊은 건축가 프로젝트 그룹 문지방의 박천강 건축가와 프로젝트 디자이너 최진규, 그래픽디자이너 김선화 등 다섯 식구가 한 공간에서 생활하고 있다.
↑ 맨 뒤부터 김선화 디자이너와 최근 합류한 디자이너 친구 장혜원, 최진규 디자이너와 박천강 소장 그리고 비코의 윤소담, 이진아 대표.
비슷한 성향을 지닌 사람을 찾던 두 대표는 이들과 만났고 그렇게 모인 다섯 사람이 함께 지낸 지도 벌써 1년이 넘었다. “혼자 하는 일이 대부분인 사람들이지만 가끔 옆에서 누군가가 일을 하고 있다는 걸 발견하게 되면 덜 외로워요. 프로젝트가 있을 때 서로의 의견을 묻기도 하고 바빠서 계속 얼굴을 보지 못하면 보고 싶기도 하고요.” 윤소담 대표가 웃으며 말했다.
↑ 비코의 뒤쪽은 프리랜스 디자이너들의 공간이다.
촬영 당일에도 서로 앞으로 진행할 일들에 대해 화기애애하게 이야기를 나누고 있던 그들. “여러 명이 생활하는 공간이지만 모두 자율적인 스타일이라 누가 뭐라고 하지 않아도 알아서 청소도 하고 관리도 잘하고 있어요. 그런 점에서 운이 정말 좋았던 것 같아요. 이렇게 다 같이 친하게 지내면서 각자 일도 잘 해내기란 쉬운 일이 아니거든요.” 건축가 박천강 소장과 최진규 디자이너는 국립중앙박물관의 로비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기도 했고 김선화 디자이너는 최근 리빙 제품을 처음 선보여 비코와 홈테이블데코전에 참가하기도 했다. 공간을 공유하는 사이이기에 서로에 대해 잘 알 수 있었고 일을 할 때 의견을 나누기도 수월했기 때문에 협업의 결과물은 늘 좋았다.
↑ 각자의 사무실에 자신의 일에 방해받지 않고 집중할 수 있다.
나이도 제각각이고 하는 일도 저마다 다른 이들의 가장 가까운 계획은 함께하는 연말 파티다. 함께 오랫동안 지금처럼 지내고 싶다는 다섯사람. 이들을 하나로 묶는 틀이 없어서 오히려 더 오랫동안 함께일 것 같은 연희동 5인방은 그렇게 두 번째 겨울나기를 시작했다.
***
관련기사 `Extension of Life(1)` 보러가기 >>
관련기사 `Extension of Life(3)` 보러가기 >>
에디터 신진수 · 최고은 | 포토그래퍼 신국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