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 장신구로 꾸민 말을 보고 있으면 아르헨티나의 화려한 전통과 풍요로움이 느껴진다. 부에노스아이레스를 중심으로 펼쳐진 대초원 팜파스에서 과거로의 시간 여행을 떠나보자.
근대식 건물과 도로, 테라스가 있는 카페가 즐비한 아르헨티나의 수도 부에노스 아이레스 Buenos Aires는 유럽에서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유럽과 닮아 있다는 점이 매우 흥미롭다. 하지만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북서쪽으로 한 시간 반가량 차를 몰면 과거 속으로 돌아간 듯한 착각이 드는 산 안토니오 데 아레코 San Antonio de Areco에 도착한다. 이곳은 아르헨티나의 대초원 팜파스 Pampas 지역 중앙에 있는 작은 마을이다. 숙련된 장인이 가죽과 은, 뿔로 만든 전통 장신구를 볼 수 있는데 이 장신구에서 남미의 카우보이인 가우초 Gaocho에 대한 그리움을 느낄 수 있다. 19세기에 검소하게 살던 유목민의 삶이 생생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말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했던 이들의 정신은 마을 지역 축제를 통해 이어가고 있다.
↑ 호텔 밤바에 있는 식당 밖에 있는 사무실은 예전에 말과 마차를 보관하던 곳이였다. 마구 두 개가 자연스럽게 건물을 장식하며 완벽하게 조화를 이루고 있고 벽의 흑백사진이 현대적인 이미지를 연출하고 있다.
목장의 황금기를 재현한 축제는 도시에서 꿈꾸는 전원 생활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는 소설가 리카르도 구이랄데스 Ricardo Güiraldes (1886~1927)가 1926년에 발표한 성장 소설인<돈 세군도 솜브라 Don Segundo Sombra>에서도 엿볼 수 있다. 리카르도는 이 책에서 가우초를 묘사하며 외부에 널리 알리는 데 기여했다. 이 책이 출간되고 여러 해가 지난 뒤 가우초의 문화에서 소재를 얻은 마을 축제가 생겨났다.
↑ 지어진 지 오래되어 보이는 이 마구간은 사실 말을 좋아하는 프랑스인이 매입하면서 얼마 전 재건축한 것이다. 그는 근처에 있는 폴로 경기장에서 승마를 즐기기 위해 이곳으로 이사를 왔다.
매년 11월이 되면 일주일 동안 말 조련 시합과 고리 걸기 놀이, 가우초 전통 춤과 노래, 민속 시장 등 다양한 전통 프로그램을 진행하는데 마을을 대표하는 행사로 자리 잡았다. 덕분에 카우초의 후손들이 지켜온 위업과 옛 유목 문화, 평야에서 자유로이 말을 달리는 사람들의 모습을 보고 싶어하는 관광객들이 남미의 이 작은 마을로 모여든다.
↑ 전통 의상을 차려입은 마틴은 말 몸통에 끈을 두르고 올라탔다. 가죽으로 만든 발걸이에 양말을 신지 않은 채 발가락을 걸어 놓은 모습이 시원해 보인다. 그는 말을 다루는 기술을 뽐내기 위해 온 신경을 집중하고 있다.
본래 농장 건물이었던 호텔 ‘밤바 Bamba’는 지역 장인이 건물의 개성을 살려 개보수한 곳으로 이방인에게 과거 유목민의 삶과 느린 생활 방식을 경험하게 해준다. 저녁이 되면 이슬로 촉촉해진 잔디밭에 수 백마리의 반딧불이 반짝이는 이곳에서 우리는 도시와는 아주 거리가 먼 또 다른 세상에 온 기분을 느낄 수 있다.
↑ 바람을 막기 위해 플라타너스를 심은 가로수길을 따라 가다 보면 드넓은 잔디밭 한가운데 있는 전통적인 양식의 건물에 도착하게 된다. 1830년에 지은 대지주의 농가였던 밤바는 현재 호텔로 바뀌었다. 작은 마차로 방문객을 맞이하는 이곳에 도착하면 느리게 흐르는 시간에 적응해야 할 것이다.
↑ 허리띠 아래에 찬 호화로운 은 장식품은 가우초의 또 다른 긍지이다. 화려하고 멋진 칼자루와 칼은 산 안토니오 데 아레코의 장인이 만든 세공품이다.
에디터 앙-세실 상세 Anne-Cécile Sanchez | 포토그래퍼 르노 마리옹 Renaud Mar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