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5)

NOW (5)

NOW (5)

귀가 즐거운 스피커 셋, 한옥에서 만난 이국적인 세라믹, 강철로 만든 심장

– 베오랩 17 – 베오랩 19 – 베오랩 18

귀가 즐거운 스피커 셋
올해로 90주년을 맞이한 뱅앤올룹슨(B&O)에서 끊김 없이 깨끗한 무선 음향을 전달하는 3가지 스피커를 출시했다. 주변의 방해를 받지 않고 고음질의 사운드를 전달하는 와이사(Wisa) 기술을 탑재한 제품이다. 19개의 나뭇조각을 180도로 둘러가며 연결한 ‘베오랩18’은 음이 수평으로 분사돼 멀리 있어 위치에 관계없이 원음 그대로의 음을 즐길 수 있다. 보다 산뜻한 느낌의 ‘베오랩17’은 알루미늄 캐비닛으로 제작된 스피커로 책상 위나 바닥, 천장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다. 크기는 작지만 폭발적인 사운드가 강점인 제품. 마지막으로 제트기 엔진을 닮은 ‘베오랩19’는 무선 우퍼 스피커로 탁월한 입체감을 전달한다. 3가지 스피커 모두 음량이 갑자기 커지더라도 자동으로 저음 출력을 줄여 청취자에게 편안한 사운드를 전달한다.

문의 뱅앤올룹슨 압구정점 02-218-1380 에디터 신진수

한옥에서 만난 이국적인 세라믹
정갈한 계동의 한옥 능소헌의 창호 너머로 이국적인 공간이 펼쳐진다. 양태오 디자이너가 한옥 한 켠에 직접 제작한 세라믹을 판매하는 ‘태오홈’을 오픈한 것. 그는 방콕 여행 중 태국과 중국의 문화가 융합된 씨노타이 도자기에 매료되었고 그것을 자신만의 디자인으로 재해석했다. 매혹적인 자태를 뽐내는 조명과 화병, 식기 제품들은 동 소재로 두른 테두리와 해골, 리본, 그물, 태슬 등 상징적이고 기하학적인 청색 패턴이 특징이다. 앞으로 세라믹 스툴과 와인 홀더 등 새로운 디자인도 선보일 예정이라고 하니 또다시 이국적인 곳으로 여행을 떠날 그의 여정이 기대된다.

문의 02-3672-2302 어시스턴트 에디터 이현재ㅣ포토그래퍼 김대형

강철로 만든 심장
엔지니어링을 매개로 디자인과 아트의 경계를 넘나드는 작품을 선보이는 정원석 작가. 그가 윤현상재 스페이스B-E에서 개인전 <시간의 흐름에 관하여>를 열었다는 반가운 소식을 듣고 찾아가봤다.

영국에서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 국내에서는 몇 번째 전시인가?
한국에서는 이번에 처음으로 작품을 선보이게 되었다. 윤현상재와는 예전에 공동 작업을 하면서 인연을 맺었는데 여기서 내 첫 개인전을 열게 되어서 영광이다.

이번 전시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달라.
큰 주제가 시간인데 해가 뜨고 지는 것이나 물이 흐르는 속도처럼 일반 상식을 벗어난 새로운 시간을 보여주고 싶었다. 전구에 금속으로 만든 날개를 달고 모터로 움직임을 준 것이 메인 작품이다. 진짜 새의 움직임보다 날갯짓이 매우 느린데 이 작품을 계속 보고 있으면 시간이 얼마나 지났는지 가늠하기 어려워지면서 묘한 느낌을 받을 수 있다.

관람객의 반응이 어땠을지 궁금하다.
영국에서 같은 주제로 전시를 했을 때는 연필깎이 작품이 더 인기가 많았다. 이 연필깎이는 한 달에 한 자루씩 깎도록 설계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형체가 분쇄되는 모습을 눈으로 확인 하게 되니 놀랐다고 하더라. 지나간 시간을 되돌릴 수 없다는 의미가 잘 전달된 거 같다.

관객과 소통하는 작업에 관심이 많았나?
한국에서는 로봇 공학을 전공하고 석사까지 마쳤는데 디자인을 하고 싶어서 무작정 영국으로 갔다. 영국 왕립예술학교(RCA)에 들어가서 디자인 공부를 제대로 시작했던 거다. 기존에 했던 내 전공을 살리는 것이 무기가 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해서 전자 공학이나 기계가 결합된 작품을 꾸준히 만들었다.

엔지니어, 디자이너, 예술가 중 스스로가 어디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는가?
3가지 다 해당하는 거 같다. 나는 디자인와 아트웍의 중간 선상에 있는 작품을 하려고 하는데 그걸 풀기 위한 솔루션으로 엔지니어링을 선택한 거다. 예전에는 만드는 사람이 존재했지 디자이너와 아티스트, 엔지니어가 따로 존재하지 않았다.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그랬듯이 앞으로는 세 영역이 점차 통합될 거라고 생각하고 있고 나 역시 그렇게 작업하는 사람이 되고 싶다.

앞으로는 어떤 작품을 보여줄 계획인가?
반짝하고 잠깐 눈길을 끄는 것이 아니라 내 작품이 사람들에게 오랫동안 사랑받을 수 있었으면 좋겠다. 먼 훗날 누군가 수리를 위해 속을 열어봤는데 속까지 아름답다는 평을 들을 수 있는 그런 작품을 만들고 싶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김대형

출처 〈MAISON〉 2014년 4월호

CREDIT
NOW (4)

NOW (4)

NOW (4)

디자이너 배상민의 습관의 힘, 갤러리아에서 만나는 프레떼, 예술과 가구의 어울림, 현우디자인에서 만나는 라 메종 에르메스

디자이너 배상민의 습관의 힘
나와 20년째 함께하고 있는 디자인 저널은 나만의 아이디어 보고이다. 이 수첩을 항상 가지고 다니면서 생각날 때마다 아이디어를 적는데 ‘내가 만약(What if)’이라는 가정 아래 어떤 공간에서 일어나는 상황과 사람들의 행동, 공간과 사물의 관계에서 벌어지는 문제점에 관한 생각을 기록한다. 그렇게 적어놓은 다음 그 문제에 대해 잊고 생활하다 보면 우연치 않은 곳에서 실마리를 발견하게 되는데 바로 그때 방아쇠를 당긴 것처럼 머릿속에 연쇄반응이 일면서 해결책이 떠오른다. 나는 이런 방식으로 늘 디자인해왔다. 문제점을 파악하는 것에서 출발한 디자인은 대중의 공감을 얻어낼 수 있고 만인에게 필요한 좋은 결과물로 이어진다고 자신한다. 디자인 저널은 디자이너가 갖춰야할 중요한 덕목인 관찰력과 꾸준함을 길러주고 자기 성찰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김대형

갤러리아에서 만나는 프레떼
이탈리아 명품 홈리빙 토털 브랜드 ‘프레떼(Erette)’가 갤러리아 웨스트 5층에 단독 부티크 매장으로 입점했다. 프레떼는 150년의 역사를 가진 이탈리아 최고의 명품 홈리빙 토털 브랜드로 전 세계 왕실과 귀족들에게 사랑받고 있는 브랜드다. 마돈나, 오프라 윈프리, 빌 게이츠, 마크 제이콥스 등 세계적인 유명 인사들이 프레떼 제품을 애용하고 있다. 또한 파리의 리츠칼튼, 런던의 사보이, 로마의 그랜드, 뉴욕의 플라자, 홍콩의 페닌슐라 및 만다린 오리엔탈, 싱가포르의 라플즈 호텔 등 세계 각국의 유명 호텔 특별 객실에 침구류 및 타월, 가운 등이 프레떼 제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레떼 제품은 쿠튀르, 에센셜 2가지 컨셉트의 제품 라인으로 구성된다. 쿠튀르 컬렉션은 캐시미어, 실크, 퍼 등을 사용한 고가 라인이며 에센셜 컬렉션은 군더더기 없는 심플한 디테일로 사랑받고 있는 베스트셀러 제품 라인이다.

문의 프레떼 02-546-0955 에디터 박명주

예술과 가구의 어울림
현대미술 작품과 디자인 가구의 조화로운 연출을 엿볼 수 있는 2가지 전시를 소개한다. 아트스페이스 벤에서 진행되는 <아트앤라이프>전은 이야기가 있는 가구를 만드는 리빙 브랜드 ‘아틀리에’의 패브릭 침대와 자연의 요소를 담아낸 ‘프레그셋’의 원목 가구를 사진작가 배병우를 비롯한 작가 5인의 사진과 회화, 조각 작품과 함께 매치했다. 또 다른 전시인 앤갤러리에서 소개하는 <휘게>전에서는 하나의 예술로 자리 잡은 아트 퍼니처와 회화 작품의 만남을 통해 일상으로 스며든 예술을 경험할 수 있다. 두 전시 모두 예술과 디자인의 특별한 만남을 감상하며 인테리어 아이디어도 얻을 수 있어서 더욱 특별하다.

문의 아트스페이스벤 02-742-0788 · 앤갤러리 070-7430-3323 어시스턴트 에디터 이현재

현우디자인에서 만나는 라 메종 에르메스
라 메종 에르메스의 패브릭 라인을 현우디자인에서도 만나볼 수 있게 됐다. 고급스러운 인테리어와 제품을 제안해온 현우 디자인의 김민정 대표는 직접 파리에 건너가서 에르메스와 계약을 맺을 정도로 에르메스를 좋아했다고. 에르메스 원단으로 액자를 만들거나 쿠션이나 커튼 등 라 메종 에르메스 컬렉션을 활용한 인테리어 컨설팅이 가능하다. 갤러리아 포레에서 라 메종 에르메스의 패브릭 라인으로 꾸며진 컨셉트 룸을 진행하고 있으니 미리 분위기를 보고 싶은 이들에게 안성맞춤일 듯.

문의 02-549-2993 에디터 신진수ㅣ포토그래퍼 김대형

출처 〈MAISON〉 2014년 4월호

CREDIT
NOW (3)

NOW (3)

NOW (3)

반짝이는 인테리어, 가구를 위한 공간, 빈티지 보물 창고 앤트빈트, 미래를 엿보다

– 엠비레이 시리즈의 촛대 – 해피 덕스 시리즈 – 차이니즈 조디악 시리즈

반짝이는 인테리어
스와로브스키가 2014년 S/S 시즌을 맞이해 크리스털 리빙 컬렉션으로 꾸미는 인테리어를 제안했다. 생생한 컬러로 자연물을 재현한 ‘크리스털 파라다이스 컬렉션’, 크리스털 장인의 손길을 느낄 수 있는 ‘크리스털 미리어드’ 등을 활용해 거실을 화려하게 꾸미거나 욕실의 경우 어항 안에 크리스털 오브제를 연출하는 방법 등 공간별 아이디어를 살펴볼 수 있었다. 스와로브스키에서는 자체적으로 디자인한 각종 캐릭터와 십이지 동물을 표현한 ‘차이니즈 조디악’ 등 동양적인 인테리어에 어울리는 아이템도 출시하고 있다. 특히 크리스털이 박힌 모던한 컬렉션인 ‘크리스털린’의 와인잔과 촛대, 액자 등을 구성한 다이닝 공간이 눈길을 끌었으며 스와로브스키의 크리스털 수집가 모임이 참여해 이들의 컬렉션을 구입할 경우 물이 부족한 국가를 위한 ‘워터 스쿨’에 기부돼 더욱 의미가 있었다.

에디터 신진수 문의 02-1661-9060

가구를 위한 공간
대부분의 북유럽 브랜드를 소개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이노메싸가 새롭게 확장했다. 지하에 위치한 숍은 소품 위주로 꾸미고 2층 공간은 가구를 위한 쇼룸으로 탈바꿈했다. 크기가 작은 소품은 몰려 있어도 둘러보는 데 무리가 없지만 가구는 공간에 따라 달라 보이기 마련이다. 계속해서 입고되는 가구를 소화하기 위해 마련한 2층은 브랜드별로 디스플레이해 가구의 디자인을 한껏 살려준다. 매년 발전된 컬렉션을 보여주고 있는 구비, 컬러 매치가 아름다운 무토, 베스트셀러인 스트링 시스템을 벽 한 면에 설치해 시원스럽다. 이외에도 조명과 앤드트레디션 코너도 따로 나눠져 있어 가구를 구입하려는 이들이 편안하게 둘러볼 수 있다.

문의 이노메싸 02-3463-7752 에디터 신진수│포토그래퍼 조용기

빈티지 보물 창고 앤트빈트
신정동에 자리한 빈티지 숍 앤트빈트는 시어머니와 며느리가 깐깐한 안목과 확고한 기준으로 발품 팔아 모아온 빈티지 상품을 판매한다. 빈티지 중에서도 아메리칸 빈티지에 집중하는데 그중에서도 1920~30년대와 1950~60년대 제품이 많다. 앤트빈트 블로그에서 아이쇼핑을 하던 중 눈길을 끌었던 1960년대 RCA VICTOR 진공관 라디오는 나무로 된 외관이 멋스러울 뿐 아니라 중저음의 소리도 묵직하다. 꽃 속에 파묻힌 라디오에서는 봄 소식을 알리는 노랫소리가 나올 것만 같다.

문의 앤트빈트 blog.naver.com/antvint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조용기

미래를 엿보다
지난 3월, 트렌드 전문 그룹 인터패션플래닝이 ‘2015 트렌드 워치’ 세미나를 통해 변화하는 문화 현상을 짚어보고 그 키워드를 공개했다. ‘프라이머리 세리머니(Primary Ceremony)’는 지금 이 순간 얻을 수 있는 감정을 누리려고 하는 소비자를 말한다. 결과보다 과정 자체를 향유하고자 하는 인간상으로부터 출발하며, 원시적인 형태나 천연 재료가 주는 순수함과 신비감이 핵심임을 설명했다. 또 ‘인터랙티브 페노메논(Interactive Phenomenon)’을 통해 호기심을 자극하는 동시에 실험적인 시도를 유도할 수 있는 새로운 플랫폼이 필요함을 강조했다. 또 감각을 자극하는 교감의 중요성을 말하며 상호작용이 디자인 요소로 부각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문의 인터패션플래닝 02-6925-6637 에디터 최고은

출처 〈MAISON〉 2014년 4월호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