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genda 초록빛 시작

Agenda 초록빛 시작

Agenda 초록빛 시작

아직은 꽃샘추위라는 복병이 남아 있지만 마음은 이미 봄 한가운데를 달리고 있다.

↑ 대리석 케이스는 덴마크 브랜드 노르드스티언 제품. 스탠리 콘솔은 거스 제품. 분홍색 거울은 헤이 제품으로 덴스크에서 판매.

아직은 꽃샘추위라는 복병이 남아 있지만 마음은 이미 봄 한가운데를 달리고 있다. 겨우내 얼었던 땅 위로 새싹들이 꼬물꼬물 비집고 올라오며 온 세상이 환해지는 봄날, 고고하게 가시 돋인 선인장도 두 팔 벌려 환영의 봄 마중을 나왔다.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박상국

CREDIT
4월의 선택

4월의 선택

4월의 선택

완연한 봄을 맞이한 <메종> 에디터들이 선택한 아이템은 무엇일까?

자리에 앉혀주세요
날씨가 따듯해지니 창밖을 자주 보게 된다. 파티션 너머로 흘러가는 구름 떼가 마음을 간지럽힌다. 책상 위 흥미를 불어넣어줄 아이템이 필요하다 싶어 문구를 구매했다. 흰색의 깔끔한 줄자는 사용 후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감겨 편리한다. 향나무 소재의 연필은 부드러운 연필심이 특징으로 뒷부분의 지우개는 리필도 가능하다. 책상 정비를 마쳤으니 당분간 창밖은 아쉽지 않을 것 같다. 줄자는 아르텍 제품으로 1만5천4백원. 연필은 팔로미노 제품으로 2천5백원. 모두 코발트샵에서 판매.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

주먹 돌격!
박스에 담긴 많은 선인장 중에서도 힘차게 주먹을 앞으로 내민 듯한 모습이 마음에 들었다. 선인장은 쑥쑥 크는 식물이 아니기 때문에 인내심이 필요하지만 이렇게 팔이 나온 용신목 선인장은 팔이 조금씩 커지는 재미가 있다. 내가 지은 이름은 ‘멕투스’. 해를 잘 보여주며 키우면 팔도 커지고 가시도 점점 길어진다고 하니 잘 키워볼 생각이다. 1304에서 판매. 6만원.
에디터 신진수

숲의 정령
이번 달 그린 특집을 준비하다 보니 온통 식물과 관련된 것들만 눈에 들어왔다. 작은 책처럼 생긴 박스 안에는 샌프란시스코 출신의 일러스트레이터이자 파인 아티스트 리사 콩던이 그린 20여 장의 카드가 들어 있다. 어린 시절부터 나무와 동물을 사랑하는 동심의 마음으로 그린 다람쥐, 새, 도토리 등이 빛바랜 도면지에 가득하다. 손 편지를 쓰고 싶은 날, 한 장씩 꺼내 마음을 건네고 싶은 이들에게 쓰려고 구입했다. 팀블룸에서 판매. 4만원.
에디터 박명주

열려라 참깨
취재 수첩, 파일, 관련 서적, 지갑, 명함 지갑 등이 모두 들어가는 큰 백을 선호하는 취향 때문에 그 안에서 작은 차 키를 찾다보면 매번 자갈밭에서 바늘을 찾는 기분이다. 길이 17cm의 거대한 키홀더가 있으면 매일 차 키를 찾느라 버리는 시간이 줄어들지 않을까. 18세기 이탈리아 교회의 키를 원형 그대로 본떠 만든 디자인이 매력적이다. 또 실리콘 소재로 무게가 가볍고 쉽게 오염되지 않으며 세척 또한 간편하다. 아베크나인에서 판매. 2만2천원.
에디터 이경현

CREDIT
Agenda (8)

Agenda (8)

Agenda (8)

전설의 무도회. 공간 탐구. 주방의 완성. 축하합니다!. 색다른 그래픽

1,2 1941년 첫 출시된 반클리프 아펠 발레리나 클립에서 영감을 받은 ‘다이아몬드 댄서 데코 클립’과 ‘사파이어 댄서 데코 클립’. 3 1971년 마르셀 프루스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열린 ‘프루스트 볼’에서 영감을 받은 ‘로즈 몽드 데코 클립’.

전설의 무도회
역사적으로 무도회는 세련된 사교의 장이었다. 특별한 무도회의 호스트가 되는 것은 대단한 자랑거리였고 손님들의 우아한 의상과 진귀한 주얼리는 흥미로운 볼거리였다. 태양왕 루이 14세가 베르사유 궁전에서 열렸던 볼 프레 Bals Parés를 체계화시키면서 무도회 문화는 화려하게 꽃피었고 20세기에 들어서는 전 세계 곳곳에서 고도로 세련된 무도회가 개최됐다. 반클리프 아펠의 ‘볼 드 레전드™’는 20세기를 수놓은 5개의 경이로운 무도회에서 영감을 받은 하이주얼리 컬렉션이다. 1903년 러시아 로마노프 왕조의 니콜라스 2세가 17세기 러시아를 테마로 개최한 ‘윈터 팰리스 볼’에서 1971년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의 저자인 마르셀 프루스트 탄생 100주년을 기념해 소설 속 캐릭터에서 영감을 받은 의상의 향연이 펼쳐졌던 ‘프루스트 볼’에 이르기까지 각 무도회의 히로인들을 주얼리로 형상화했다. 그 호화롭고 낭만적인 모습을 감상해보자.
문의02-3440-5660
에디터 최영은

공간 탐구
최소의 집은 크기에 대한 문제가 아니다. 삶에서 꼭 필요한 것이 무엇이며 집은 그것을 어떻게 담아낼 것인가에 대한 고민이다. 스튜디오 아키홀릭의 정영한 소장이 기획한 건축 전시 <최소의 집>은 젊은 건축가들의 생각을 여실히 담아낸다. 4회째를 맞은 <최소의 집>은 외딴 방이라는 부제로 구성되며 스튜디오 모프의 박종민, 유경건축의 권경은, 삼간일목 권현호 세 사람이 참여했다. 버려진 농가를 활용한 집, 일상의 욕심에서 벗어날 수 있는 집, 하나의 커다란 화분처럼 설계한 집 등 다양한 작품을 통해 색다른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건축가들의 놀라운 발상을 엿볼 수 있는 <최소의 집> 전시는 창성동 온그라운드 갤러리에서 3월 31일까지 진행한다.
문의 온그라운드 갤러리 02-762-9621
에디터 최고은 | 포토그래퍼 이병주

주방의 완성
2014년 밀라노 국제가구박람회에서 주목을 받은 톤첼리의 주방 가구 ‘인비저블 Invisible’을 이제 국내에서도 만나볼 수 있다. 인비저블은 재단한 듯한 곧은 선이 특징으로 손잡이나 홈이 전혀 보이지 않는 감춤식 오프닝 시스템을 적용해, 문 사이의 바 부분에 손가락을 대면 좌우 혹은 상하로 회전해 쉽게 열 수 있다. 또한 합금 신소재를 사용해 실제 금속 소재의 문에 비해 가볍고, 금속 마감 시 발생하는 결절, 용접 부위가 없는 것이 큰 장점이다.
문의 1566-2300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

축하합니다!
건축가이자 디자이너인 알레산드로 멘디니가 2014 유러피언 건축가 상 European Prize for Architecture을 수상했다. 2010년부터 매년 디자인에 대한 높은 기준을 세우고 인간성에 크게 기여하며 건축 예술의 환경을 조성한 건축가에게 수여되는 이 상은 미국의 시카고 아테네움 건축 디자인 박물관과 유럽 건축, 예술, 디자인, 도시 연구 센터가 공동으로 수상자를 선정한다. 이탈리아 건축가의 수상은 이번이 처음. 멘디니는 건축가이자 철학자, 건축 이론가, 등 다양하게 활동하는 디자인 선구자로 그의 영향력은 거의 50년간 지속되고 있다. 그의 작업 범위는 가구와 인테리어, 그림, 건축 설비, 도시 계획, 건축 잡지의 창간과 편집에 이르기까지 방대하다. 건축가로서 멘디니는 알레시 본사, 히로시마 파라다이스 타워, 그로닝거 미술관, 아로사 카지노, 베로나의 비블로스 아트 호텔, 나폴리의 지하철 역사, 하노버의 버스 정류장 등 건축사에 남을 작업을 남겨왔다. 특히 그로닝거 미술관은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세계 건축 1001`에 선정되었다.
문의라문 02-3442-3087
에디터 박명주

색다른 그래픽
우리 주변에서 흔히 마주치는 형태는 알고 보면 동그라미, 세모, 네모로부터 비롯되었다. 일러스트레이터 이찬호는 이런 입체물의 모양새를 카메라에 포착한 뒤 평면화시켜 잘라내고 병합, 확장하여 그 시작을 알 수 없는 추상적인 형태로 만들었다. 그리고 이 추상을 아날로그 방식의 실크스크린으로 찍어 가방에 담았다. 이런 복잡다단한 과정을 거쳐 만들어진 일러스트는 남다른 입체감이 느껴진다. 얇은 비닐 소재로 만든 에코백과 손지갑으로 구성된 이 제품은 코발트숍에서 만날 수 있다.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이향아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