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만 플로리다

낭만 플로리다

낭만 플로리다

미국 마이애미에서 시작하는 딕시 고속도로 주변에는 골동품상과 상점이 늘어서 있다. 1950년대 모습을 간직한 이 멋진 곳을 자동차로 달리면서 즐겨보자.

↑ 예전 모습을 그대로 간직한 멋스러운 신호등. 마이애미에서 출발해 미국 북부로 가려면 이 딕시(Dixie) 고속도로를 타고 웨스트 팜비치까지 직진하면 된다.

미국 남부, 정확히 말하자면 마이애미와 웨스트 팜비치를 연결하는 딕시 고속도로가 지나가는 지역은 1950년대에 여러 구역으로 분할되었다. 100여 킬로미터에 걸친 고속도로를 따라 많은 골동품상이 들어섰는데 한 집 걸러 골동품상이 있을 정도로 많았다. 멋스러운 골동품 가게 문을 열고 들어가면 커다란 창고에 싸구려 상품과 눈에 띄는 귀한 물건들이 마구 뒤섞여 있었다. 특별한 목적과 동기를 갖고 이곳으로 온 상인들은 대부분 2차 세계대전 이후 10년간 빠른 속도로 생활의 터전을 바꾸어 나갔다.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사회적, 도덕적 성장도 함께 이루어진 것이다. 더불어 당당한 발언권을 지니게 된 주부의 요구에 따라 당시의 모든 디자이너와 실내 장식가는 램프, 책장, 소파와 그 밖의 편리한 생활 가구 등 여성을 편리하게 하는 디자인을 선보였다. 가구의 알루미늄 다리, 석유화학 내장재, 인조가죽, 멜라닌 식기류 등 많은 가재도구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이 바로 이 시기다.

↑ 딕시 고속도로 근방에 있는 한 레스토랑. 와인 컬러의 인조가죽으로 만든 의자와 철제 돔형 천장 등 전형적인 1950년대 스타일이 남아 있다.

20세기를 대표하는 미국의 산업디자이너 러셀 라이트(Russel Wright)가 처음 제시한 현대 가정의 보편적인 생활상은 많은 사람들에게 환영받았으며 미국은 물론 유럽 전역으로 확산됐다. 러셀 라이트만큼 유명하진 않지만 폴 에반스(Paul Evans)와 필리프 로이드 파월(Philipp Loyd Powell)이 디자인한 가구도 대중들에게 큰 사랑을 받았다.

1950~60년대에 플로리다 주는 미국 대륙을 여행하는 이들을 유치할 목적으로 장식미술가들을 불러모아 도시를 재정비했다. 중고품을 좋아하는 사람들에게 이 딕시 고속도로는 형형색색으로 빛나는 모텔과 네온 불빛 아래서의 저녁 식사 그리고 고풍스런 커피숍 등이 가득한 축제의 도시로 연결해주는 길이었다. 당시의 캐딜락을 타고 천국과 같은 도시를 돌아다니는 일탈 여행은 상상만 해도 낭만적이다. 또 12월 초에 이곳을 방문하면 현대미술 전시회 ‘아트 바젤 마이애미 비치(Art Basel Miami Beach)’를 구경할 수도 있다. 이 지역의 골동품 상점의 창고는 화려한 전시실을 방불케 하며, 미술 시장의 활성화에도 큰 몫을 하고 있다.

↑ 1960년대 디자인한 캠핑카 ‘에어스트림(Airstream)’을 개조한 레스토랑. 번쩍이는 표면이 마이애미의 거리를 반사하며 더욱 멋스러운 풍경을 만들어낸다.

1 마이애미 해변에 있는 미국 성조기 문양을 한 해상구조 초소.
2 워싱턴 대로 11번가에 위치한 레스토랑 ‘디너’의 내부. 붉은색 인조가죽 의자가 빈티지한 분위기를 더한다.
3 1959년형 캐딜락 젭시 레이디는 우리가 여행하는 동안 애마 역할을 해주었다.

1 해변가에 자리한 스탠더드(Standard) 호텔의 로비. 다채로운 컬러로 장식한 유리창이 아름답다.
2 자동차 박물관인 디저 컬렉션 뮤지엄(Dezer Collection Museum)에 장난감처럼 늘어서 있는 클래식한 자동차들.
3 딕시 고속도로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쉼터가 되는 아이스크림 매장 ‘카벨(Carvel)’은 커다란 아이스크림 콘 모양 덕분에 쉽게 눈에 띈다.

↑ 웨스트 팜 비치의 한 골동품 가게. 디자이너 폴 에반스와 필리프 로이드 파월이 만든 멋진 나무 책장과 금속으로 제작한 각종 공예품이 있다.

기획 다니엘 로젠츠로크(Daniel Rozensztroch)│ 앙-세실 산체스(Anne-Cécile Sanchez)│사진 제롬 갈랑드(Jérôme Galland)

CREDIT
건강한 주방을 위한 필수품

건강한 주방을 위한 필수품

건강한 주방을 위한 필수품

매일 건강한 밥상을 위해서는 엄선된 식재료도 중요하지만 조리도구와 보관용기 또한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 블루밍 빌레 블랜드사의 우드 선반은 윔지에서 판매. 흰 색상의 저울과 볼은 에잇컬러스에서 판매. 라보라토리오 페자로의 흰색 접시는 무겐인터네셔널에서 판매.

매일 건강한 밥상을 위해서는 엄선된 식재료도 중요하지만 조리도구와 보관용기 또한 신중히 결정해야 한다. 친환경 밀폐용기의 대표주자 글라스락(Glasslock)은 환경호르몬 걱정이 없어 전자레인지에서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또 색이나 냄새 배임이 없어 깔끔하고 위생적이다. 프리미엄 쿡웨어인 셰프토프(Chef topf)의 라 쁘띠 역시 친환경 소재로 유해 물질이 배출되지 않는다. 대형 마트와 홈쇼핑, 공식 온라인 쇼핑몰 유하스몰(www.uhasmall.com)에서 판매한다.
문의 080-080-3100

1 글라스락 클래시 텀블러 충격에 강한 내열 강화유리 소재로 만든 기능성 텀블러. 가벼워 휴대가 간편하고 색이나 냄새 배임이 없다. 유리컵, 실리콘 뚜껑과 홀더 모두 분리 가능해 세척이 편리하다. 특히 뚜껑의 구멍과 홀더의 고리를 통해 티백을 걸 수도 있다. 8천5백원.

2 글라스락 마린볼 원터치 방식의 캡을 적용해 밀폐 기능은 기본, 한 손으로도 손쉽게 개폐가 가능하다. 모서리에 튀어나온 림이 없어 냉장고에서 꺼내 식탁 위에 바로 올릴 수 있다. 3천~5천원대.

3 글라스락 퓨어 투명도를 한층 높인 퓨어캡 뚜껑으로 내용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 뚜껑 상단에 홈을 넣어 용기를 겹겹이 쌓을 때도 미끄러질 염려 없이 안정적으로 수납이 가능하다. 실리콘 패킹을 뺄 수 있는 홈이 있어 깔끔하게 세척할 수 있다. 400ml 7천4백원, 490ml 8천9백원, 920ml 8천9백원, 1025ml 9천9백원.

4 글라스락 플러스 글라스락의 스테디셀러. 음식물 보관 후 따로 옮겨 담을 필요 없이 바로 식탁에 내놓을 수 있다. 돔 형태의 뚜껑으로 케이크, 샐러드 등의 부피 있는 내용물의 형태 변화 없이 그대로 보관할 수 있다. 350ml 7천9백원, 800ml 1만1천5백원, 1750ml 1만6천9백원.

5 스윙병 압축 스테인리스 고리와 실리콘 마개를 사용해 밀폐력이 뛰어나고, 진공 보존으로 내용물을 장기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250~750ml 등 다양한 용량으로 출시되어 용도에 맞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 250~700ml 5천~6천원대.

6 셰프토프 라 쁘띠 친환경 코팅으로 음식이 쉽게 눌어붙지 않고 뚜껑의 손잡이에 스팀 구멍이 있어 요리 시 물이 넘치지 않는다. 간단한 찜이나 탕, 고기 요리까지 건강하게 조리할 수 있고 양수냄비, 편수냄비, 프라이팬을 3 in 1 디자인으로 겹쳐 쌓아 보관할 수 있어 수납 또한 간편하다. 12만5천원.

에디터 이경현 | 포토그래퍼 진희석 · 김대형 | 어시스턴트 김지희

CREDIT
주방 속 필수 아이템

주방 속 필수 아이템

주방 속 필수 아이템

한 끗 차의 선택에 따라 살림 솜씨가 좌우된다. 한식과 양식에 두루 활용할 수 있는 그릇 세트부터 냄비와 프라이팬까지 합리적인 가격에 디자인, 실용성, 기능성까지 만족시키는 주방용품을 소개한다.

1 복고풍의 디자인이 돋보이는 쿡웨어. 가마솥 원리를 적용해 조리 시간이 단축되고 음식의 풍미를 그대로 살릴 수 있다. 천연 광물로 코팅해 내구성이 좋다. 네오플램(Neoflam). 18cm 편수냄비, 22cm 양수냄비, 24cm 프라이팬 등 총 3종 세트로 22만2천7백원.

2 향균 물질을 첨가해 냄새가 배거나 세균 오염 걱정이 없는 인덱스 도마. 경사진 디자인으로 물기가 한쪽으로 쉽게 모이는 도마를 비롯한 크기별 총 3가지. 홀더에 꽂을 수 있어 수납이 편리하다. 네오플램(Neoflam). 6만8천원.

3 신소재 트라이탄을 사용해 전자레인지, 냉동실, 식기세척기 등에도 모두 사용 가능하다. 층층이 쌓아 보관해도 흔들림 없어 공간 활용도가 높다. 락앤락(Locknlock). 크기별 5개 세트 2만1천4백원.

4 은은한 베이지 컬러에 미니멀한 디자인이 돋보이는 쿠킹 마미 시리즈. 모던하우스(Modernhouse). 거름망이 포함된 티포트는 1만5천9백원, 머그와 디저트 접시 세트는 7천9백원.

5 친환경 실리콘 소재로 무게가 가볍고 내열성이 강해 장기간 사용할 수 있는 쿠킹 툴. 솔트앤페퍼(Saltandpepper). 거품기 2만6백원, 국자 2만3천원, 스패튤라 1만8천4백원.

6 무게도 가볍고 강도와 향균력 또한 좋은 세라믹 식도.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오랜 시간 사용해도 손에 무리가 가지 않는다. 마이셰프(Mychef). 식도 4만8천원, 과도 2만5천원, 필러 5천9백원.

7 영국의 친환경 디자이너 레이철 바커가 디자인한 그릇 세트. 공기, 대접, 면기, 생선 접시, 수프볼 등 다양하게 구성되어 활용도가 높다. 젠한국(Zenhankook). 2인 기준 13피스 33만9천원.

8 모던한 체크 패턴의 세인트 시리즈. 볼, 머그, 샐러드 접시, 디저트 접시 등으로 캐주얼한 다이닝을 즐기기에 제격이다. 까사미아(Casamia). 볼, 머그, 샐러드 접시 등 7천~9천원대.

에디터 이경현 | 포토그래퍼 진희석 · 김대형 | 어시스턴트 김지희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