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 교포 셰프 코리 리가 운영하는 샌프란시스코의 모던 한식 레스토랑 ‘베누’가 드디어 미슐랭 3스타를 획득했다. 개리 단코, 블루버드 등 파인 다이닝 레스토랑의 격전지인 샌프란시스코에서 오로지 실력으로 한식의 위상을 높이고 있는 코리 리 셰프를 이메일로 만났다.
↑ 베누의 조리실에서 포즈를 취한 코리 리 셰프.
2010년에 레스토랑 베누 Benu를 오픈한 지 4년 만에 미슐랭 3스타를 따내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 소식을 처음 들었을 때 믿기지가 않았다. 지금까지 미슐랭은 유럽 레스토랑에 후했기 때문이다. 아시아는 물론 미국에서조차 미슐랭 3스타를 받는 것은 비현실에 가까웠다. 17살 이후로 런던과 파리 등 유럽의 유명 레스토랑에 경험을 쌓아오면서 유럽의 미슐랭 문화를 가까이서 접할 수 있었다. 이것이 나에게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베누에게 미슐랭 3스타는 어떤 의미인가? 미슐랭 3스타를 받는 것은 무척 영광스러운 일이지만 이것은 양날의 검이나 마찬가지여서 사람들의 기대를 저버리지 않는 베누가 되어야겠다고 다짐한다.
↑ 샌프란시스코의 문화 중심지인 소마 Soma에 위치한 베누의 모던한 외관.
당신은 베누를 오픈하기 전, 토마스 켈러의 미슐랭 3스타 레스토랑 프렌치 런드리 French Laundry의 수석 셰프까지 올랐다. 거기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프렌치 런드리에서 9년 동안 일하면서 요리는 물론 조리 도구 선택법, 효율적인 주방 시설 관리법, 레스토랑 경영, 홍보 등 레스토랑에 관한 모든 것을 배울 수 있었다. 세계 어떤 레스토랑이든 이 모든 것을 한번에 배울 수 있는 곳은 드물다.
삼겹살과 김치, 멸치조림 등 한국인의 일상 음식이 베누에서는 색다르게 해석된다. 나의 요리는 항상 레스토랑이 위치한 지역에 근간을 둔다. 지역에서 바로 구할 수 있는 싱싱한 식재료와 지역 문화가 요리에 영감을 불러일으키기 때문이다. 베누의 요리 주제는 한마디로 샌프란시스코라고 할 수 있다. 샌프란시스코에는 한국인을 비롯해 수많은 동양인이 산다. 그래서 기본적인 파인 다이닝 요리에 한국적인 요소를 접목하게 됐다.
↑ 베누의 인기 메뉴 중 하나. 굴을 올린 삼겹살 김치.
7살 때 미국으로 이민 간 것으로 알고 있다. 미국 음식에 더욱 익숙할 것 같은데 김장까지 직접 담근다고 들었다. 한식은 어머니로부터 배운 것인가? 김치를 비롯한 한국 음식의 기본적인 맛은 어머니에게서 배웠다. 하지만 김치를 만드는 법은 과학자 UC 데이비드를 통해 배웠다. 김치의 발효 과정을 체계적으로 설명해준 사람이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한국 식재료는 무엇인가? 요즘은 말린 멸치를 많이 사용한다. 식감과 맛의 변화가 무궁무진하다. 한식 재료는 아니지만 말린 전복에도 관심이 많다.
↑ 동양의 단아함이 느껴지는 베누의 정원.
당신에게 한국은 어떤 의미인가? 나의 모국이자 내 요리 영감의 원천. 어린 시절 미국으로 이민 와서 한국적인 정서를 본토에서 많이 느끼지 못했다는 것이 아쉽다. 한국을 더 알고 싶지만 이민자로서 한계가 있는 것이 사실이다.
좋은 셰프가 되기 위해 반드시 갖춰야 할 자질은 무엇인가? 체력과 상식. 셰프의 실력과 문화적 이해력이 사람을 감동시키는 요리를 만든다.
↑ 코리 리가 창의적으로 표현한 도토리묵.
한국 음식에 대한 위상이 달라졌다. 한국 음식 열풍은 5년 전부터 시작된 것 같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한식 하면 갈비부터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세계인들이 한식의 보다 다양한 면을 경험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앞으로의 계획은? 먼저 오랫동안 준비해온 책 <베누>가 오는 4월에 출간될 예정이다. 또한 베누의 새로운 코스 메뉴를 구성 중이다.
에디터 송정림 | 사진 제공 베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