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렛팝콘샵의 캐러멜 팝콘, 크림팝의 캐러멜 팝콘, 쿠쿠루자의 캐러멜 팝콘, 홀리팝의 캐러멜 팝콘
↑ 모두 틴 케이스 포함 가격.
1위 가렛팝콘샵의 캐러멜 팝콘
시카고에서 시작된 브랜드로 기름을 사용하지 않고 열기로만 옥수수를 튀기는 가렛팝콘샵의 캐러멜 팝콘. 1갤런, 3만1천5백원.
심혜진(<마리끌레르>뷰티 에디터) 두꺼운 캐러멜 코팅과 진한 맛이 제대로 된 캐러멜 팝콘을 먹는 느낌이 든다.
박민(<마리끌레르>피처 에디터) 설탕을 녹여 베이킹 소다를 넣은 추억의 불량식품이 연상될 정도로 단맛이 너무 진하다.
서재우(<긱>피처 에디터) 하나만 먹어도 단번에 느껴지는 캐러멜의 진한 풍미와 쌉싸래한 맛이 지금껏 먹은 캐러멜 팝콘과는 확연히 다른 제품.
송정림(<메종>푸드&컬처 디렉터) 4가지 중 가장 진한 캐러멜 풍미에 쌉싸래한 맛까지 있어 만족스러운 제품.
2위 크림팝의 캐러멜 팝콘
미국 전통 팝콘 브랜드와의 기술제휴로 미국식 정통 팝콘을 재연한 크림팝의 캐러멜 팝콘. 1쿼터, 1만2천원.
서지혜(<마리끌레르>뷰티 에디터) 먹음직스러운 색과 광택에 손이 가는 제품. 거기다 바스락거릴 정도의 경쾌한 식감과 적당히 달콤한 맛이 마음에 든다.
서율(<긱>패션 에디터) 팝콘 특유의 고소한 맛과 짠맛, 캐러멜 단맛의 삼박자가 적절히 어우러져 만족도가 높은 제품.
신진수(<메종>인테리어 에디터) 적당한 단맛과 바삭한 식감으로 지금껏 먹은 캐러멜 팝콘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무난한 맛이다.
조소현(<싱글즈>피처 에디터) 영화관에서 먹는 캐러멜 팝콘을 떠올리는 익숙한 맛으로 캐러멜 팝콘에 대한 기대치를 충족시킨다.
3위 쿠쿠루자의 캐러멜 팝콘
시애틀에서 탄생한 수제 팝콘 브랜드로 품질 좋은 미국산 옥수수만을 사용해 만드는 쿠쿠루자의 캐러멜 팝콘. 1갤런, 2만5천원.
안소영(<마리끌레르>뷰티 디렉터) 달기만 한 다른 제품과 달리 아카시아 꿀과 같은 달콤한 향이 느껴진다. 거기다 뒷맛이 깔끔해서 가장 만족스럽다.
최영은(<메종>패션&뷰티 디렉터) 무겁지 않고 은은하면서 가벼운 단맛과 깔끔한 뒷맛이 좋아 부담 없이 즐기기에 좋다.
서재우(<긱>피처 에디터) 팝콘의 고소하거나 짭조름한 맛보다는 단맛밖에 느껴지지 않아 아쉬운 제품.
홍규원(<긱>패션 에디터) 적당히 달달하지만 캐러멜 특유의 풍미가 덜해서 다소 밍밍한 느낌이 든다.
4위 홀리팝의 캐러멜 팝콘
2013년에 문을 연 대한민국 최초의 프리미엄 팝콘 브랜드 홀리팝의 캐러멜 팝콘. 라지 사이즈, 1만8천1백원.
박명주(<메종>인테리어 디렉터) 4가지 제품 중 가장 단맛이 적고 가벼운 맛으로 쉽게 물리지 않는다.
최고은(<메종>인테리어 에디터) 두껍지도 얇지도 않은 적당한 코팅이 마음에 든다. 다시 말해 과하지도 덜하지도 않은 적당한 맛이다.
김미강(<마리끌레르>뷰티 에디터) 바삭한 겉면과 달리 속이 눅눅해 마치 강냉이를 먹는 듯한 식감이 아쉽다.
김주혜(<메종>패션&뷰티 에디터) 자극적이지 않고 적당히 달콤한 맛이 좋지만 자꾸 이에 달라붙어서 손이 가지 않는다.
에디터 이경현 | 포토그래퍼 이과용 | 어시스턴트 권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