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까운 보석 (1)

가까운 보석 (1)

가까운 보석 (1)

척박한 리빙 시장에서 뿌리를 내리고 좋은 결실을 보여주고 있는 국내 태생의 디자인 가구, 소품 브랜드를 엄선해 소개한다.

프레그셋
산업디자인과 목공을 전공한 3명의 친구 김영준, 전세범, 김준수가 합심해 2013년에 론칭한 가구 브랜드 프레그셋은 오랜 시간 사용하면서 더욱 소중해지는 가구를 만들고자 한다. 북유럽풍의 자연 친화적인 가구 스타일에 프레그셋만의 독특한 조형 디테일을 더한 것이 특징. 또 한국의 좌식 주거 생활에 적합하도록 제작해 조형성과 사용성을 높였다. 모든 가구는 수작업을 거치며 맞춤 제작이 아닌 100% 자체 디자인한 컬렉션 형태로 선보인다. 테이블은 1백90만원대, AV장은 2백만원대이다.
ADD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254-11 2F
TEL 070-7534-5672

두닷
모던하고 감각적인 디자인 가구를 제안하는 두닷은 온라인 중심으로 판매, 소비자가 직접 조립하도록 하는 대신 거품을 뺀 저렴한 가격을 제안한다. 서재, 침실, 거실, 주방 등 여러 공간에 필요한 침대, 책상, 화장대, 옷장, 수납장, 소파 등 다양한 제품을 갖췄다. 최근에는 덴마크의 디자인 트렌드를 반영한 북유럽 감성의 가구 브랜드 ‘블라스코’를 론칭해 편안하면서도 독창적인 디자인의 가구를 합리적인 가격대로 선보이고 있다. 선반장은 50만원대, 원목 테이블은 35만원대이다.
ADD 서울시 서초구 방배중앙로29길 7
TEL 02-585-8937

더띵팩토리
철제 가구 브랜드 더띵팩토리는 딱딱하고 차갑다는 기존 철제 가구의 이미지에서 탈피해 실내에서 부담 없이 쓸 수 있는 다양한 컬러를 선보인다. 정사각형, 직사각형 형태의 수납장은 모듈형으로 기획되어 공간의 크기와 변화에 맞게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얼마 전 오픈한 정자동 쇼룸에는 모듈형 가구의 다양한 활용도를 보여줄 수 있도록 드레스룸, 유아방 등의 공간으로 연출해놓았다. 더띵팩토리의 가장 기본 아이템인 철제 수납 박스는 작은 것은 11만원대, 큰 것은 48만원대이다.
ADD 서울시 용산구 한남동 683-133 서울디자인웍스 빌딩 2층
TEL 1899-1140

마켓엠
마켓엠은 자연 친화적인 생활을 지향하고 장식을 최소화한 간결한 디자인을 추구하는 브랜드다. 최소한의 장식만 사용한 정갈한 디자인의 원목 가구 브랜드 ‘M&B 퍼니처’와 양철을 주재료로 한 핸드메이드 소품 브랜드 ‘웬즈데이71’을 자체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M&B 퍼니처의 가구는 가격대가 합리적이라 신혼부부에게 특히 인기. 웨딩 프로모션 중인 퀸 사이즈 침대 A는 1백50만원대다. 이와 함께 일본의 리빙 셀렉트숍 ‘퍼시픽 퍼니처 서비스’, 생활용품 브랜드 ‘시와’ 등 다양한 해외 브랜드를 국내에 소개하고 있다. 펜 홀더는 1만원대, 벽 옷걸이는 2만원대이다.
ADD 서울시 종로구 통인동 118-10
TEL 02-733-4769

잭슨카멜레온
잭슨카멜레온은 ‘특별함’, ‘조화로움’, ‘다양함’의 3가지 키워드로 독특한 스타일의 가구를 선보이는 브랜드다. 결합 구조를 노출시켜 다리 부분에 포인트를 준 의자는 잭슨카멜레온의 개성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다채로운 프레임에 원목 상판을 결합한 책상은 서랍 대신 원단 바구니를 넣도록 디자인해 소재의 믹스매치에서 느껴지는 재미를 극대화했다. 가구를 시리즈로 제작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 개별적으로 디자인해 개성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의자는 30만원대, 책상은 40만원대.
ADD 서울 중구 을지로7가 2-1 ddp 1F
TEL 02-413-4123

매스티지데코
빠르게 변화하는 트렌드와 라이프스타일에 맞추어 매 시즌 신제품을 기획, 생산해 합리적인 가격으로 제안하는 매스티지데코는 특히 20~30대 젊은 층의 지지를 얻고 있다. 아기자기한 디자인, 톡톡 튀는 색감이 돋보이는 ‘마카롱 패밀리’는 매스티지데코의 대표 시리즈. 가장 인기를 끌고 있는 ‘레트로’ 시리즈는 북유럽 감성의 가구로 원목과 무늬목이 주는 편안함과 절제된 디자인이 돋보인다. 화장대는 22만원, 2인소파는 29만원대이다.
ADD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내곡로 151 삼도타워 3F
TEL 031-767-4626

카레클린트
목조형을 전공한 3명의 동기 디자이너 안오준, 정재엽, 탁의성이 2010년 론칭한 카레클린트는 수제 가구의 대중화를 이끌고 있는 브랜드로 100% 자체 디자인 국내 제작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카페와 가구 쇼룸을 결합한 ‘카레클린트 더 카페’로 차별화된 방식의 매장을 운영하는 것이 특징. 편안한 분위기의 카페에서 마음껏 소파에 앉고 만지는 등 직접 가구를 체험해볼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젊은이들에게 특히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가장 인기인 D라인 소파는 1백50만원대, 화장대는 89만원대이다.
ADD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3-11
TEL 1599-4797

스탠다드에이
김승일, 안민규, 류운하, 이학준 4명의 디자이너가 2013년에 론칭한 스탠다드에이는 가장 정직한 첫 번째 제안이라는 의미로 지은 이름이다. 사람과 장소에 의해 완성되는 가구, 사용하는 장소에 스며들어 오랜 시간 함께할 수 있는 가구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하며, 모든 가구를 선주문 후생산하는 방식을 고수한다. 나무가 가진 특유의 컬러, 촉감, 질감을 살려 자연스럽게 디자인하며 제작, 마감까지 직접 디자이너가 참여해 작은 디테일까지 신경 써서 완성한다. 1인 가죽 소파는 이탈리아산 천연 소가죽에 오리털 내장재를 채운 것으로 1백70만원대, 오토만은 77만원대. 원목 그릇장은 1백20만원대이다.
ADD 서울시 마포구 상수동 324-11
TEL 02-335-0106

어시스턴트 에디터 김수지·송유진ㅣ포토그래퍼 이향아·차가연

***
관련기사 ‘가까운 보석 (2)’ 보러가기>>

CREDIT
메이드 인 코리아

메이드 인 코리아

메이드 인 코리아

지금 우리의 디자인은 심플한 간결함과 은근히 웃음을 자아내는 위트 있는 표현,
솔직한 소재를 사용하는 실용주의가 대세다. 시대와 세대가 공감하는 디자인으로 주목받고 있는 국내 작가들과 브랜드에서 출시한 제품으로 꾸민 네 개의 공간.

Living Room
어느 집에나 있을 법한 기본 디자인 소파는 그대로 두면서 거실 풍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 책장을 사이에 두고 다른 느낌의 소파와 독특한 소품을 주변에 배치하면 한결 재미있는 풍경을 연출할 수 있다.

1,2 스틸 소재의 컵과 접시는 자연주의. 3 흰색 티테이블은 박보미 작가의 작품. 4 꽈배기 등받이가 독특한 아이보리 색상의 머쉬멜로우 소파는 캄캄 디자인. 5 검정색 철제 프레임과 패널로 제작한 사방 시리즈 책장은 알루퍼스. 6 회색 마블링 화병은 챕터원. 7,9 책장 위에 올려놓은 금색 열쇠 오브제와 액자는 모두 땅뜨디자인. 8 흰색 콘크리트 시계 오클락은 비믹스 제품으로 KT&G 상상마당. 10 ㄱ자형 플로어 램프는 땅뜨디자인. 11 회색빛의 3인용 소파는 잭슨카멜레온. 12 삼각 철제 프레임과 유리 상판으로 구성된 테이블은 알루퍼스. 13 테이블 위에 올린 와인 스토퍼는 세나구. 14 검정색 러그는 한일카페트. 15 밝은 그레이 톤의 페인트 NR4016은 칼라메이트.

Dining Room
개성이 느껴지는 색깔 있는 주방. 기분에 따라 고무밴드를 교체할 수 있는 수납장과 다리의 색이 다른 테이블은 날마다 색다른 분위기를 낼 수 있는 아이템이다.

1 푸른색 페인트 NR5040은 칼라메이트. 2 한옥의 문창살과 색동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해 만든 소은명 작가의 더 라인 수납장. 수납장 표면을 감싸고 있는 고무밴드는 다른 색으로도 교체가 가능하다. 캄캄 디자인. 3,4 다채로운 색상의 연잎 접시, 연한 청색, 백색의 면기는 모두 광주요. 5 회색 콘크리트 펜던트는 챕터원. 6,7 흰색 주병과 푸른색 테두리의 접시는 모두 정준영 작가의 작품으로 엘스토어. 8,9 파란색 꽃을 그린 컵과 접시는 모두 이혜미 작가의 작품으로 챕터원. 10 라벤더 향이 나는 흰색 곰 모양 초는 멜로우송. 11 신안군 증도에서 생산한 천일염을 담은 알루미늄 캔 팩토리 마이 송 솔트는 챕터원. 12 사방이 다른 색상으로 마감된 링크 테이블은 브라운핸즈. 13 채도가 낮은 민트 색상의 콤마 스툴은 챕터원. 14 빈티지한 블루 마루는 맥시강의 케리비안 블루 제품으로 구정마루. 15 블루 색상의 블록으로 패치워크한 러그는 자연주의. 16 밝은 그레이 톤의 페인트 NR4016은 칼라메이트. 17 등받이부터 다리까지 이어지는 간결한 선이 멋스러운 에스 체어는 땅뜨디자인. 18 육각형 아트 타일은 윤현상재.

Workroom
휴식과 재충전의 공간이 되는 서재. 편안하게 쉬며 영감을 얻는 공간인 만큼 차분한 느낌이면서도 개성있는 가구와 소품들로 공간을 꾸며본다 .

1 종이에 그린 드로잉을 그대로 옮겨놓은 듯한 철제 화이트 책장은 박진일 작가의 작품. 2 콘크리트에 백열전구를 접목시킨 LED 램프, 푸어 몰드 버티컬은 비믹스 제품으로 KT&G 상상마당. 3 빙산이 연상되는 흰색 초는 서성협 작가의 작품으로 KT&G 상상마당. 4 포스트잇으로 구성된 시계 모양 스케줄 시계는 강순모 작가의 작품으로 KT&G 상상마당. 5 오뚝이 연필꽂이 롤리폴리 펜 컵은 비믹스. 6 바오밥나무 모양의 북엔드는 레이지스미스 제품으로 KT&G 상상마당. 7 철재로 만든 수납장 슬렉트 박스는 더띵팩토리. 8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은 망토 조명은 모노컴플렉스 제품으로 KT&G 상상마당. 9 상자에서 고양이가 나오는 그림 캣은 이한나 작가의 작품으로 에이콜렉션. 10,11 벽에 걸린 종이 시계는 메이크텐 제품으로 상상마당. 12 우드 프레임에 회색 패브릭으로 주머니를 만들어 책을 수납할 수 있는 잡지꽂이는 무니토. 13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소재를 조합해 만든 테이블 램프는 602공작소 제품으로 KT&G 상상마당. 14 석고 신발 오브제는 땅뜨디자인. 15 아티브북9 2014 에디션 노트북은 삼성전자. 16 반원 모양의 펜 베이스 도넛 연필꽂이는 챕터원. 17 검정색 피라미드 모양의 오브제 120℃는 주현하 작가의 작품으로 KT&G 상상마당. 18 둥근 모양의 디디 서클 브론즈 스위치는 브라운핸즈. 19 클래식한 느낌의 디디 클래식 스위치는 브라운핸즈. 20 금색으로 포인트를 준 원목 책상과 의자는 모두 땅뜨디자인.

Bedroom
우리의 전통 색채와 원목의 따스함으로 꾸민 침실. 전통을 위트 있게 재해석한 수납장과 평상형 침대, 요즘 유행하는 황동 소재 조명의 조화가 개성 있는 침실을 연출한다.

1 깃털 패턴의 벽지는 디아이디벽지. 2 벽을 마감한 회색 페인트 NR4141은 칼라메이트. 3 금색 두상 오브제는 이은희 작가의 작품으로 엘스토어. 4 떠오르려는 열기구 같은 흰색 테이블 램프는 매터앤매터. 5 두상 앞에 놓인 다이아몬드 보트 화병은 세라믹 플로우 제품으로 KCDF. 6 전통 가구를 재해석한 수납장 다찌는 하지훈 작가의 작품으로 웰즈. 7 침대 위에 설치한 조명 오리온 브론즈 라이팅은 브라운핸즈. 8 견고한 디자인과 구조적인 아름다움이 살아 있는 원목 플라이 베드는 마누파쿰. 9,10 은은한 하늘색 누비 이불과 베개 커버는 자연주의. 11 디자이너 이상봉의 산수화 쿠션은 체리쉬. 12 붉은색 꽃 정물화는 엘스토어. 13 철재 소재로 만든 검은색 꽃병은 박보미 작가의 작품. 14 아래로 갈수록 좁아지는 노란색 마운틴 테이블은 챕터원. 15 빈티지한 느낌의 마루는 맥시강의 섀도우 크라우드 제품으로 구정마루. 16 회색빛 극세사 카펫은 더얀카페트.

에디터 박명주 | 포토그래퍼 이과용 | 스타일리스트 심필영(스타일 내음) | 어시스턴트 박현정·김수지

CREDIT
뜨개질의 신세계

뜨개질의 신세계

뜨개질의 신세계

손뜨개가 지겹다면 올가을에는 수편기에 도전해보자. 여러 색깔의 실을 바꾸기 쉽고 복잡한 무늬도 간편하게 넣을 수 있어 다양한 패턴의 편물을 만들 수 있다.

코바늘, 대바늘을 이용한 손뜨개가 아닌 수편기를 이용하면 색다른 뜨개를 할 수 있다. 수편기는 19세기에 등장한 가정용 수동 기계로 빠른 시간 안에 뜨개질을 끝낼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 손뜨개보다 더욱 세밀한 조직의 편물이 완성되는데 시판되는 니트 제품과 흡사하게 만들 수 있다. 수편기로는 목도리, 담요, 매트, 쿠션 커버, 가방, 스웨터 등 뜨개로 만드는 제품이면 무엇이든 가능하며, 특히 무늬를 넣거나 배색을 할 때 탁월해 다양한 패턴의 편물을 제작할 수 있다. 기계이기는 하지만 코를 바늘에 거는 작업부터 마무리까지 모두 수작업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손뜨개에 버금가는 손맛과 정성을 느낄 수 있는 것도 수편기의 매력이다. 이번에는 수편기를 이용해 다양한 패턴이 있는 러그를 만들어 보았다. 주방이나 문 앞에 깔아두기 좋은 사이즈로 밟을 때마다 실의 포근함이 느껴진다. 수편기의 사용법을 배우고 싶다면 클래스원데이 www.classoneday.com에서 진행하는 ‘인트로 니팅머신 클래스’를 추천한다. 1시간 정도의 오리엔테이션을 들으면 목도리, 담요 같은 간단한 소품을 만들 수 있다. 수강 시간은 3시간가량 소요되며 수강료는 6만9천원이다.

만드는 법
1 수편기에 갈색 실을 연결한 후 바늘을 앞으로 빼낸다.
그다음 바늘에 실을 알파벳 소문자 e 모양으로 하나씩 감아가며 코를 잡는다.
2 갈색 실을 캐리지(수편기에 왼쪽에 손잡이가 달린 부분)에 연결하고 캐리지를 좌우로 한 번 움직인다. 이렇게 캐리지를 한 번 움직일 때마다 한 줄이 만들어진다.
3 실이 빠지지 않게 손으로 고정시키면서 바늘만 빼준 다음
2,3 번의 과정을 4~5번 정도 반복한다.
4 짜낸 직물에 수편기용 콤브를 걸고 양쪽에 추를 걸어준다. 이때 추는 편물을 평평하게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5 추를 건 후에는 바늘을 뺄 필요가 없다. 좌우로 계속 캐리지를 움직이며 원하는 만큼 직물을 짠다.
6 니트에 패턴을 넣고 싶다면 펀치 카드를 기계에 넣는다.
그다음 다이얼을 돌리며 펀치 카드에 쓰여 있는 숫자 ①이 시작점에 오도록 맞춘다.
7 캐리지 손잡이 옆에 있는 휠을 KG 방향으로 바꿔주고 중앙에 있는 MC Multi color 버튼을 누른 다음 베이지색 실을 넣는다.
8 캐리지를 좌우로 움직이기만 하면 펀치 카드에 표시된 패턴대로 편물이 만들어진다. 이를 원하는 길이만큼 반복한다.
9 뜨개가 끝났으면 마지막 한 줄은 수편기용 도구를 이용해 코를 하나씩 없애가며 마무리한다.
10 양쪽 끝에 술을 달면 완성.

준비물
1 수편기 2 펀치 카드 패턴 3 코바늘 4 수편기용 추 5 수편기용 콤브 67 수편기용 도구 8 쪽가위

만든 이
니트니트 영국 센트럴 세인트 마틴에서 니트 웨어를 전공한 디자이너 박혜림, 최혜선은 올해 2월부터 니트니트 KNITKNIT라는 이름으로 활동하며 니팅 클래스를 진행하고 있다. 니트니트 블로그 www.blog.naver.com/novemberain7에서 두 디자이너의 소소한 니트 작업 이야기를 엿볼 수 있으며, 페이스북 페이지 www.facebook.com/knitknit10에서는 니트니트의 클래스 소식을 접할 수 있다.

에디터 최고은│포토그래퍼 차가연

CRED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