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가 다가오는 겨울, 몇 가지 소재의 제품을 연출하는 것만으로도 북유럽의 가정집 같은 평온하고 따뜻한 부엌을 완성할 수 있다.
BEFORE
1 쉽게 볼 수 있는 유광 하이글로시 소재의 흰색 주방 가구. 벽면을 타일로 마감한 전형적인 부엌이면서 상부장을 없애고 선반을 두는 요즘의 흐름과도 맞는다.
회색 줄무늬 티타월은 에잇컬러스에서 판매. 매트한 느낌의 꽃병과 줄무늬 세라믹 포트는 하우스라벨에서 판매.
2 세라믹과 나무는 서로 잘 어울리는 소재로 자연에서 비롯되었다는 공통점도 있다. 겨울에는 따뜻한 느낌을 주는 황동이나 금색 소재를 섞어서 연출해보자.
반원 무늬 주전자와 버섯 무늬 찻잔은 모두 챕터원에서 판매. 금색 쟁반은 하우스라벨에서 판매.
3 부엌에 수납 선반을 달 수 있다면 선반 아래쪽도 적극 활용해보자. 타일 위에 고리를 달아 팬이나 오븐 장갑, 냄비 받침 등을 걸면 공간 활용에도 실용적이고 조리 시에도 유용하다.
삼각형 무늬의 찻잔은 챕터원에서 판매. 나무 마개가 달린 흰색 함은 이노메싸에서 판매. 아랫부분에 파란색을 입힌 도마와 니트 소재와 집 모양 냄비 받침은 모두 짐블랑에서 판매. 구리 소재 냄비는 폴크 Falk 제품으로 피앤피 인터네셔널에서 판매.
4 선반 위는 가지런히 정리하기보다 패턴이 잘 보이도록 제품을 장식한다면 자연스럽고 멋스러운 주방을 연출할 수 있다.
검은색 초크 보드는 짐블랑에서 판매. 질감이 느껴지는 흰색 컵은 챕터원에서 판매. 그물 모양 흰색 접시는 에잇컬러스에서 판매. 구리 소재 작은 팬은 폴크 제품으로 피앤피 인터네셔널에서 판매. 수작업한 무늬가 그려진 접시와 볼은 하우스라벨에서 판매. 코르크 소재 매트는 에잇컬러스에서 판매.
AFTER
크리스마스트리를 거실에만 두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버릴 것. 제2의 거실로 불리는 주방은 겨울이면 따뜻한 온기로 사람을 끌어당기는 공간으로 변신한다. 보기만 해도 포근함이 전해지는 소재로 꾸민 주방에 간결하게 장식한 트리를 두면 북유럽 스타일의 깔끔하고 실용적이면서 소박한 연말 분위기를 낼 수 있다.
구리 소재 탁상시계와 스텔톤 보온병은 모두 이노메싸에서 판매. 손잡이가 달린 바구니는 하우스라벨에서 판매. 줄무늬의 원기둥 틴 케이스는 모두 짐블랑에서 판매. 무늬가 새겨진 볼과 흰색 오븐 그릇은 모두 하우스라벨에서 판매. 금색 촛대는 이노메싸에서 판매. 그래픽적인 분위기의 카펫은 에잇컬러스에서 판매. 입체적인 다리가 돋보이는 사이드 테이블과 석류를 담은 그릇은 모두 하우스라벨에서 판매. 비둘기색 티포트는 이노메싸에서 판매. 트리를 넣은 바스켓과 다이아몬드 모양과 나무 소재 장식물은 모두 짐블랑에서 판매.
크리스마스 데커레이션을 즐길 수 있는 겨울이 다가왔습니다. 여름철 시원한 느낌으로 통일했던 주방에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을 때가 온 거죠. 나무 소재의 소품을 중심으로 사용하고 여기에 황동이나 세라믹 소재를 더한다면 자연스럽고 평화로운 주방을 완성할 수 있습니다. 중간 중간에 초나, 조명을 매치한다면 공간이 더욱 아늑해지겠지요. 거실에 두는 트리 역시 솔방울이나 종이로 만든 장식물을 걸어 소박하면서도 깔끔한 스타일로 연출하면 주방이라도 자연스럽게 어울릴 수 있습니다.”
에디터 신진수│ 포토그래퍼 신국범│스타일리스트 김은희(세컨드 플로어 스튜디오) | 어시스턴트 이정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