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중해의 정수 재스민, 협죽도, 선인장, 워싱토니아 종려나무, 개머루…. 마리-엘렌은 정원에 이 지역의 여러 식물과 나무를 심었다. 재활용 팔레트로 만든 선베드와 종려나무 파라솔, 낮은 테이블로 사용하는 통 등 이 지역의 재료를 활용했다.
마리-엘렌 르 그랑은 여행에 대한 사랑을 물려받았다. 카리브 해의 딸이자 큰 범선을 탄 선원의 손녀인 그는 스타일리스트로 선교 수녀회에서 자랐고 여기에서 아프리카에 대한 사랑을 물려 받았다. 그래서 특파원으로 여러 지역을 돌아다니는 그가 전혀 놀랍지 않다. 그전에 그는 마르세유에서 데코숍 란 블뢰 L’Ane Bleu를 운영했는데 딸 비르지니 뒤몽에게 이 숍을 맡기고 세네갈의 한 마을로 가서 15년 동안 머물렀다. 가족이 있는 프랑스로 돌아왔지만 아프리카를 그리워했고, 인터넷에서 찾은 모로코 오두막에 마음을 빼앗겼다. 많은 아르간나무 한가운데에 자리한 이 베르베르족의 흙집은 그의 ‘네이마티 Neijmati(아랍어로 ‘나의 별’을 뜻함)’가 되었다. 그는 이곳에서 세 마리의 강아지와 열 마리의 고양이에 둘러싸여 두 딸과 손주들을 맞이한다. 이 지역의 전통을 존중하는 마리-엘렌은 아르간나무로 된 천장의 들보와 문, 창 등을 세심하게 보존했고, 벽에는 모로코의 방수 마감 방식인 타델라크트 Tadelakt로 모래색 회칠을 했다. 오두막을 넓히기 위해 제작한 벽돌은 이 지역의 재료(수영장을 파서 얻은 흙과 석회, 짚을 섞은 것)로 만들었다. 완벽주의자인 그는 모로코 장인들에게 직접 디자인한 가구를 이 지역의 재료로 만들어달라고 부탁했다. 사계절 내내 온종일 햇빛을 즐기기에 좋은 테라스와 사방으로 열린 거실이 자리한 이 오아시스에서는 낯설고 새로운 기분을 느낄 수 있다. “마치 영원한 여행을 떠난 것 같아요.”

실내와 실외 다이닝룸은 바로 옆의 안뜰과 커튼으로만 구분된다. 커튼의 프린지 장식은 종려나무 끈으로 만들었고 두꺼운 천 커튼은 시장에서 찾은 카페 가방을 활용했다. 벽에는 베르베르족의 언어를 활용한 테라코타 사인을 붙였다. 마리-엘렌이 디자인한 삼나무 테이블은 ‘샹탈 토마스의 레이스’에서 영감을 얻었다. 타부레는 이 지역의 레몬나무로 만들었다. 펜던트 조명은 시장에서 구입. 앞에 보이는 태피스트리는 타루당의 벼룩시장에서 구입. 뒤로 보이는 또 다른 태피스트리는 종려나무로 만든 것.

아틀라스 산맥이 보이는 뷰 여름 거실처럼 꾸민 이 테라스에는 페스의 벼룩시장에서 구입한 앤티크 나무 암체어가 있는데, 이 집 데커레이션의 출발점이 되어준다. 주문 제작한 카나페에는 매트를 깔았다. 카나페 패브릭은 타루당 시장에서 구입. 아프리카 패브릭인 왁스로 만든 쿠션은 세네갈에서 가져왔다. 주문 제작한 낮은 테이블은 베르베르족의 문으로 만들었다. 태피스트리는 패브릭을 엮어 제작했다. 거울은 마리-엘렌 디자인. 커튼은 카페 가방으로 제작. 타부레는 부샤루이트 Boucharouite 태피스트리로 제작. 천장 조명은 마리-엘렌이 바구니로 제작했다.
“서향인 다이닝룸은 여름에도 시원해요.”
“베르베르족의 언어인 타마지트에 특별한 애정을 갖고 있어요.”

하늘로 열린 공간 벤치는 깨진 타일로 장식했다. 쿠션은 세네갈 패브릭 왁스로 제작. 함석 타부레는 세네갈에서 가져왔다. 낮은 테이블은 메탈 통으로 만들었다. 바닥에는 양모 태피스트리를 깔았다. 왼쪽 페이지 “여기에서 모로코 거실에 대한 저만의 해석을 볼 수 있어요.” 종려나무 벤치에는 베르베르족의 머플러로 만든 쿠션과 이 지역의 양모 담요를 놓았다. 벽에 붙인 테라코타 타마지트 Tamazight는 여성성에 대한 오마주. 벽 조명으로 도기 가마에서 제작한 기와를 사용했고 펜던트 조명으로는 닭장을, 낮은 테이블로는 메탈 통을 사용했다.

부엌에 있는 벽장과 가구, 협죽도 거울이 대나무 천장과 조화를 이룬다. 유칼립투스 채광 창, 아르간나무 난간, 종려나무 커튼 등 여러 수종이 서로 어우러진다. 시멘트 타일은 이 지역에서 제작. 베르베르족 단지는 앤티크. 오른쪽 페이지 파티오로 열린 다이닝룸은 이 지역의 특색을 담고 있다. 벽에는 타델라크트 방식으로 회칠을 했고 펜던트 조명은 벌통으로, 테이블과 의자는 레몬나무와 종려나무로 만들었다. 정원에는 화이트 부겐빌리아가 자란다. 태피스트리는 튀니지 제품. 마리-엘렌을 표현한 부르키나파소 아티스트의 조각이 서 있다.
“이곳을 왜곡한다는 건 말도 안 돼요. 저는 이 지역의 재료만 사용했어요.”
“단 위에 매트를 올린 침대는 이비자 가구를 떠올리며 만들었어요.”

목욕탕은 마리-엘렌이 제작했다. 바닥에 바로 놓은 구리 대야 아래에는 물을 데우기 위한 나무 화덕이 있다. 시멘트 타일은 타루당에서 구입. 대나무 가구는 마리-엘렌이 디자인했다. 왼쪽 페이지 마리-엘렌의 침대가 아르간나무의 가지로 보호받는 것처럼 보인다. 단 위에 매트를 올려 침대로 사용한다. 침대보와 이불, 베개 커버는 마리-엘렌이 비시 Vichy 면과 왁스로 제작. 벽에는 붉은색으로 그린 베르베르족 여인의 초상화를 걸었다. 벽 조명은 이곳에서 제작. 침대 뒤에는 마라케시의 쿠투비아 Koutoubia 탑 복제품 두 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