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밍이 세 번째 보금자리에 둥지를 틀었다. 자신만의 색깔을 펼쳐온 그들의 시즌 3를 응원하며 루밍의 새로운 출발을 도운 조력자들과 한자리에서 만났다.
↑ 부피가 큰 가구와 조명을 널찍하게 전시할 수 있는 지하 1층 쇼룸.
리빙 브랜드에 관심 좀 있다는 이들이라면 빨간색 문을 열고 들어가면 만났던 9평 남짓한 루밍의 첫 번째 숍을 기억할 것이다. 방배동 한갓진 골목에서 숨겨온 선물 보따리를 풀 듯 다양한 디자인 브랜드를 소개해온 루밍. 트렌드를 이끄는 디자이너부터 감각 있다는 엄마들과 스타일리스트들의 발걸음으로 루밍의 빨간 대문은 바삐 열리고 닫혔다. 소개하는 브랜드가 많아짐에 따라 2013년 따뜻한 단독주택 같은 두 번째 숍으로 둥지를 옮겼는데 이곳 역시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다. 그리고 세 번째 둥지는 방배동 중심 거리에서 유일하게 곡선 형태로 지어진 건물에 자리했다. 지난 두 곳의 숍을 박근하 대표가 직접 매만졌다면 이번에는 인테리어 디자인 회사 ‘플랏엠’의 선정현 실장과 그래픽디자인 스튜디오 ‘워크룸 프레스’의 김형진 실장이 이끌었다. “직원도 늘었고, 소개하는 브랜드도 많아지면서 공간이 더 넓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그러다 우연히 새로 지어진 이 건물을 보게 됐고 지하와 1, 2층을 덜컥 계약해버렸죠. 그만큼 건물이 마음에 들었거든요. 처음엔 지금껏 그래왔듯 직접 인테리어를 하려다가 이 공간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겠다는 생각을 했어요. 로고도 루밍의 성격을 드러내는 형태로 바꾸면 어떨까 했고요.” 박근하 대표는 주위의 추천으로 플랏엠과 워크룸 프레스를 알게 되었는데 이 두 팀은 이미 여러 번 호흡을 맞춘 사이였기에 둘의 시너지는 믿고 장담할 수 있었다.
↑ 어떤 제품을 연출할지 미리 디자인했기 때문에 공간과 제품이 조화롭게 어우러진다.
“박근하 대표가 생각했던 것은 바우하우스 시대에 사용된 도형과 색깔이었어요. 모두가 북유럽을 외칠 때 루밍은 이탈리아의 디자인과 조형적이고 건축적인 디자인을 꾸준히 소개해왔죠. 그런 부분을 공간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지 고민했어요. 루밍이 판매하는 제품과도 어울리는 공간이어야 했기에 숍에 자주 가서 제품을 보기도 했죠.” 플랏엠의 선정현 실장은 사소한 것까지 고려해 바우하우스 시대의 느낌을 살렸다. 세모 형태로 배열한 중간 벽과 원형을 떠올리게 하는 둥근 벽, 2층 바닥에 칠하고 싶었지만 예산 때문에 고민했던 노란색은 2층 키즈 코너에 칠해서 따뜻한 분위기를 살리는 등 더 나은 아이디어로 발전시킨 데에는 플랏엠의 공이 컸다. 루밍은 조 콜롬보의 이지 체어부터 임스 리클라이너 체어 등 장소가 협소해 그동안 보여주지 못했던 가구와 조명을 지하 1층에 마음껏 풀어냈다. 루이스 폴센과 아르텍 조명 등 조명 코너를 마련했고 방문하는 이들이 미리 공간 구성을 예상해볼 수 있도록 스타일링을 곁들인 디스플레이를 제안하고 있다.
↑ 왼쪽부터 워크룸 프레스 김형진 실장, 루밍 박근하 대표, 플랏엠 선정현 실장.
↑ 다양한 부엌 용품을 만나볼 수 있는 1층.
↑ 1 워크룸 프레스에서 디자인한 루밍의 새로운 로고. 2 1층 공간의 백미인 나무 바닥재.
가장 많은 이들이 드나드는 1층은 부엌 용품과 사무 용품, 러그, 꽃병 등 생활 소품 위주로 구성했다. 1층에서 가장 눈에 띄는 부분은 단연 바닥이다. 생산이 중단돼 이제는 만나볼 수 없는 30년 이상 된 오래된 바닥재를 루밍에 사용한 것이다. 요즘 유행인 헤링본 패턴이 아닌 예스러운 모자이크 바닥재가 자칫 딱딱해 보일 수 있는 건물의 인상을 부드럽게 만든다. “1층의 부엌 코너도 신경 썼어요. 바우하우스 시대의 절제미와 기능성을 겸비한 부엌을 보여주고 싶었죠. 무채색 집기류와 색깔이 화려한 부엌 용품이 대조를 이루면서 의외로 잘 어울려요.” 2층은 오직 아이들을 위한 제품으로 채워졌다. 놀이 장소부터 침대, 공부하는 책상 등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브루노 무나리의 아비따꼴로 침대를 비롯해 우프 가구, 빌락, 하이코 조명, 페르몹 키즈 라인 등 아이 방에 필요한 제품군을 총망라했다.
↑ 실제 아이 방을 옮겨온 듯한 2층 키즈 코너.
↑ 아이 방에 어울리는 각종 가구와 조명도 전시하고 있다.
↑ 야심차게 디스플레이한 아비따꼴로 침대.
입구에서부터 마주하게 되는 새로운 루밍의 로고도 신선하다. 1층 카운터 쪽 벽에 a부터 z까지의 알파벳 폰트도 붙여놓았는데 이것은 워크룸 프레스의 작품이다. “로고 의뢰 시 가독성에 대한 고민을 하는 고객들이 많아요. 잘 읽힐지, 사람들이 한눈에 알아볼 수 있는 디자인인지를 고민하는 거죠. 루밍 역시 그랬어요. 하지만 루밍이란 이름과 발음에서 동그라미가 연상됐고 그렇게 원을 활용해 로고를 만들다 보니 지금의 폰트를 디자인하게 됐죠. 짧은 시간 동안 루밍에 대해 모든 것을 알아내기란 어려웠지만 플랏엠 실장님의 이야기도 듣고 실제로 숍에 가보기도 하면서 떠오른 많은 생각을 표현했더니 이런 디자인이 나왔네요.” 워크룸 프레스 김형진 실장이 로고의 작업 과정을 소개했다. 박근하 대표는 사람들이 루밍의 새로운 로고를 어떻게 받아들일지 많은 고민을 했었다고. 결정하기 전날엔 밤을 꼴딱 새우면서 고민할 정도였으니 말이다. “직원들에게 로고를 핸드폰 바탕화면으로 저장하고 계속 보라고 했어요. 처음엔 낯설어하는 직원들도 로고가 점점 예뻐 보인다는 말을 하더라고요. 결국 마음을 정하게 됐죠.” 동그란 원에는 모서리가 없다. 소외나 열외 없이 보듬어 안는 원의 포용력으로 루밍은 안락하고 견고한 세 번째 둥지를 틀 수 있었을까. 2015년 봄, 만개한 루밍은 청년 같은 싱그러움으로 더 멀리 도약할 준비를 마쳤다.
에디터 신진수 | 포토그래퍼 박상국